$\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미 태음조위탕과 저열량 식이를 병행한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이상 반응 분석
Analysis of Adverse Events in Weight Los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Gamitaeeumjowee-Tang' and Low-Calorie Diet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8 no.1, 2018년, pp.1 - 9  

윤나라 (누베베 한의원) ,  유영재 (누베베 한의원) ,  김민지 (누베베 한의원) ,  김서영 (누베베 한의원) ,  임영우 (누베베 한의원) ,  임형호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  박영배 (누베베 미병 의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afety of 'Gamitaeeumjowee-tang' by analyzing adverse events in weight los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Gamitaeeumjowee-tang' and low-calorie diet.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adverse events in weight los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미 태음조위탕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주간 가미 태음조위탕과 저열량 식이를 병행한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이상 반응을 분석하였다.
  • 비만 치료에서 한약을 활용한 연구들의 대부분이 유효성 입증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임상에서 치료 중 발 생하는 이상 반응에 대한 보고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한 의원에 내원한 1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상 반응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만 치료에서 가미 태음조위탕의 안전성 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무엇인가? 비만은 지방이 체내에 과잉 축적된 상태로, 제2형 당뇨, 심혈관계 질환, 골 관절염, 담낭 질환 등의 유병률을 높이 는 건강의 위협 요인이다1). 2016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 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25 kg/m2 이 상인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 유병률이 1998년 25.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요법은 언제 고려되는가? 비만의 치료 방법으로 약물 요법은 운동, 식사, 행동 수정 요법의 보조적인 치료 수단으로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이거나 23 kg/m2 이상에서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 이 동반된 경우 일차적으로 고려되고 있다3) . 약물 치료 요법으로는 위장관계 지질 분해효소 길항제, 세로토닌 수 용체 효현제,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등을 사용하며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4) .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치료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은 지방이 체내에 과잉 축적된 상태로, 제2형 당뇨, 심혈관계 질환, 골 관절염, 담낭 질환 등의 유병률을 높이 는 건강의 위협 요인이다1). 2016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 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25 kg/m2 이 상인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 유병률이 1998년 25.8%에서 2016년 35.5%로 상승하였다2).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치료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linical bariatrics. 3rd ed. Seoul : Korea Medical Book. 2008 : 143.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s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II-1) [Internet]. Seoul(KR): KCDC; 2016 [cited 2018 Jan 4]. Available from: URL: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3.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12 spring academic conference. Seoul :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12 : 163-8. 

  4. Kim KK. Safety of anti-obesity drugs approved for long-term use. Korean J Obes. 2015 ; 24(1) : 17-27. 

  5. Jeong JW, Cho SW. Trend research of the human body-oriented obesity studies on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Rehab. 2016 ; 26(1) : 49-61. 

  6. Hwang MJ, Shin HD, Song MY. Literature review of herbal medicines on treatment of obesity since 2000; mainly about Ephedra Herba. J Korean Med Obes Res. 2007; 7(1) : 39-54. 

  7. Lee JM.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2nd. Seoul : Hanglimsa. 1993 : 19-24, 137-41. 

  8. Park KM, Song YK, Lim HH, Lee JA, Ko HY, Park JH, et al. Review on the research relative to Tae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J Korean Med Obes Res. 2009 ; 9(1) : 23-36. 

  9. Lee JE, Song YK, Lim HH. Clinical trial of Tae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on obese patients: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Oriental Rehab Med. 2010 ; 20(4) : 197-213. 

  10. Park SJ, Won N, Cheon C, Park JS, Jang BH, Shin Y,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taeeumjowi-tang in obese Korean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an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 2013 : 498935. doi: 10.1155/2013/498935. Epub 2013 Aug 26. 

  11. Seo NJ, Nam DW, Lee EO, Sim BS, Ahn KS, Kim SH. Clinical study of Gamitaeeumjowi-tang for obese patien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 ; 22(2) : 446-52. 

  12. Song MY, Kim HJ, Lee MJ. The safety guidelines for use of Ma-huang in obesity treatment. J Korean Med Obes Res. 2006; 6(2) : 17-27. 

  1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MCPG-obesity. 1st ed. Seoul : Elsevier Korea. 2016 : 84-9. 

  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besity 2012. 1st ed. Seoul : KOSSO. 2012 : 61-71. 

  15.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Causality categories [Internet]. Uppsala (Sweden):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2018. [cited 2012 Oct 22]. Available from: https://who-umc.org/media/164200/who-umc-causality-assessment_new-logo.pdf. 

  16.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Adverse Drug Reaction Assessment Report. 1st ed. Seoul :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2013 : 60-3. 

  17. Kim M, Han CH. Analysi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using data from spontaneous reporting system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J Korean Med. 2015 ; 36(1) : 45-60. 

  18. Kyung EJ, Ryu JH, Kim EY. Evaluation of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in the hospital. Br J Radiol. 2013 ; 86(1032) : 20130418. 

  19. Classen DC, Pestotnik SL, Evans RS, Lloyd JF, Burke JP. Adverse drug events in hospitalized patients. Excess length of stay, extra costs, and attributable mortality. JAMA. 1997 ; 277 : 301-6. 

  20.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Terminology Guide for Reporting Adverse Drug Reactions. Seoul :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2014 : 1-6. 

  21. Chang MS, Shim KJ, Kim HY, Park EH, Ko EB, Choi BJ et al. Acute oral toxicity of Taeumjowi-tang in SD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 ; 22(6) : 1439-43. 

  22. Jin YH, Kim KS, Han IY, Lee HB. Influence of prescribed Gamitaeeumjowi-tang on liver function: prospective single-center pilot study. J Korean Med Obes Res. 2010 ; 10(1) : 29-40. 

  23. Kim HJ, Kim JY. Clinical report about the adverse reactions of Taeeumin.Soeumin.Soyangin by Taeeumjowi-ta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 ; 22(6) : 1600-5. 

  24. Jo GW, OK JM, Kim SY, Lim YW.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huang and ephedr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focused on RCT. J Korean Med. 2017 ; 38(3) : 170-84. 

  25. Jang IS, Yang CS, Hwang EH. The need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usage of Mahuang in weight loss.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1) : 23-9. 

  26. Shekelle PG, Hardy ML, Morton SC, Maglione M, Mojica WA, Suttorp MJ,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ephedra and ephedrine for weight loss and athletic performance: a meta-analysis. JAMA. 2003 ; 289(12) : 1537-45. 

  27. Boozer CN, Daly PA, Homel P, Solomon JL, Blanchard D, Nasser JA, et al. Herbal ephedra/caffeine for weight loss: a 6-month randomized safety and efficacy tri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 26(5) : 593-604. 

  28. Greenway FL, Ryan DH, Bray GA, Rood JC, Tucker EW, Smith SR. Pharmaceutical cost savings of treating obesity with weight loss medications. Obes Res. 1999 ; 7(6) : 523-31. 

  29. Christensen P, Bliddal H, Riecke BF, Leeds AR, Astrup A, Christensen R. Comparison of a low-energy diet and a very low-energy diet in sedentary obese individuals: a pragmat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es. 2011 ; 1(1) : 31-40. 

  30. Yancy WS Jr, Olsen MK, Guyton JR, Bakst RP, Westman EC. A low-carbohydrate, ketogenic diet versus a low-fat diet to treat obesity and hyperlipidem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04 ; 140(10): 769-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