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미 태음조위탕을 투여한 성인 비만 여성에서 수면과 체중감량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weight loss among adult women with obesity administered with Gamitaeeumjowee-ta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41 no.3, 2020년, pp.22 - 31  

이엄지 (누베베 한의원) ,  박영배 (누베베 미병 연구소) ,  임영우 (누베베 한의원) ,  김서영 (누베베 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status and weight loss among adult women with obesity administered with Gamitaeeumjowee-ta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7 patients who were were administered with Gamitaeeumj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미태음조위탕을 투여한 성인 비만 여성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수면과 체중감량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인 경우와 7시간 미만인 경우의 감량 체중은 차이가 없었으며, 숙면인과 비숙면인의 감량 체중 또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가미태음조위탕을 처방 받아 복용한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PSQI를 통하여 평가한 평소 수면 시간, 수면의 질과 가미 태음조위탕 복용 시의 체중감량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강 등10)의 연구에서는 수면이 체중감량의 유의한 영향 요인은 아니었으나 수면시간이나 수면의 질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내원한 성인 비만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차트 분석을 진행하여 평소 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평가 결과와 가미태음조위탕 투여 전후의 체중 변화 경과를 이용해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체중감량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8%에 이르게 되었다3).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인종, 연령, 식습관은 물론 수면과 같은 생활 습관까지 다양하며,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련 있는 경우가 많다4). 이 중 수면은 일상 생활에 있어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수면 부족은 비만을 포함한 제2형 당뇨,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의 유병률 증가와 연관이 있고5), 특히 비만과 수면 시간 및 수면의 질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음식의 과잉 섭취와 불충분한 신체 활동에서 비롯된 신체 내 에너지의 불균형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 발생하며1),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상동맥질환 등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 뿐만 아니라 제 2형 당뇨, 비알콜성 지방간, 통풍, 대사증후군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만성 질환의 하나이다2), 보건복지부에서 보고한 건강통계연보에 따르면 1998년에서 2017년까지의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2017년 기준 34.8%에 이르게 되었다3).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따라서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2-4주차와 10-12주차의 체중감량 경과를 비교한 결과는?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따라서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2-4주차와 10-12주차의 체중감량 경과를 비교하였다 (Table 3). 2-4주차의 감량 결과는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경우가 7시간 이상인 경우에 비해 감량 비율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수면의 질에서는 숙면인이 비숙면인에 비해 감량 비율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수면시간, 수면의 질에 다른 10-12주차의 감량 결과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즉, 2-4주차, 10-12주차의 감량 체중 및 감량 비율은 모두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ill JO, Wyatt HR, Peters JC. Energy balance and obesity. Circulation. 2012;126(1):126-32. 

  2. Kim MK, Lee WY, Kang JH, Kang JH, Kim BT, Kim SM,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4;29(4):405-9. 

  3.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7 [Internet].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3/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1&vw_cdMT_ZTITLE&list_id117_11702_B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Accessed February 3, 2020. 

  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reatment guideline of obesity 2012.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5. Buxton OM, Marcelli E. Short and long sleep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2010;71(5):1027-36. 

  6. Coughlin JW, Smith MT. Sleep, obesity, and weight loss in adults: Is there a rationale for providing sleep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Rev Psychiatry. 2014;26(2):177-88. 

  7. Bonanno L, Metro, D, Papa M, Finzi G, Maviglia A, Sottile F, et al. Assessment of sleep and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Observational study. Medicine. 2019;98(46):e17642. 

  8. Jeong KS, Lee SW, Kim Hs, Baek YH.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and obesity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7;29(1):40-9. 

  9. Nam SH, Kim SY, Lim YW, Park YB. Review on Predictors of Weight Loss in Obesity Treatment. J Korean Med Obes Res. 2018;18(2):115-27. 

  10. Kang EY, Park YB, Kim MY, Park YJ.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by 'Gamitaeeumjowee-tang'. J Korean Med Obes Res. 2017;17(2):68-76. 

  11. Mong JA, Cusmano DM. Sex differences in sleep: impact of biological sex and sex steroi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16;371.1688: 20150110. 

  12.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nd Breathing. 2012;16(3):803-12.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Accessed December 5, 2019. 

  14. Buysse DJ, Reynolds III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2):193-213. 

  15. Han KS, Lee MJ, Kim HJ. Systematic review on herbal treatment for obesity in adults. J Korean Med Rehabil. 2016;26(4):23-35. 

  16. Hur HS, Kang OS. A review study of treatments for Taeeumin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2019;31(4):28-40. 

  17. Seo NJ, Nam DW, Lee EO, Shim BS, Ahn KS, Kim SH. Clinical study of Gamitaeeumjowi-tang for obese patien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2):446-52. 

  18. Yoon NR, Yoo YJ, Kim MJ, Kim SY, Lim YW, Lim HH, Park YB. Analysis of adverse events in weight los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Gamitaeeumjowee-Tang' and low-calorie diet. J Korean Med Obes Res. 2018;18(1):1-9. 

  19. Li JE, Song YK, Lim HH. Clinical trial of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on obese patients -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J Oriental Rehab Med. 2010;20(4):197-213. 

  20. Filiatrault ML, Chaput JP, Drapeau V, Tremblay A. Eating behavior traits and sleep as determinants of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Nutrition & diabetes. 2014;4(10):e140. 

  21. Wang X, Sparks JR, Bowyer KP, Youngstedt SD. Influence of sleep restriction on weight loss outcomes associated with caloric restriction. Sleep. 2018;41(5):zsy027. 

  22. Thomson CA, Morrow KL, Flatt SW, Wertheim BC, Perfect MM, Ravia JJ, Sherwood NE, Karanja N, Rock CL.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quantity and weight loss in women participating in a weight-loss intervention trial. Obesity. 2012;20(7):1419-25. 

  23. Elder CR, Gullion CM, Funk KL, DeBar LL, Lindberg NM, Stevens VJ. Impact of sleep, screen time, depression and stress on weight change in the intensive weight loss phase of the LIFE study. Int J Obes. 2012;36(1):86-92. 

  24. O'Brien EM, Fava J, Subak LL, Stone K, Hart CN, Demos K, Wing R. Sleep duration and weight loss among overweight/obese women enrolled in a behavioral weight loss program. Nutrition & diabetes. 2012;2(9):e43. 

  25. Reed JR, Yates BC, Houfek J, Briner W, Schmid KK, Pullen CH. Motivational factors predict weight loss in rural adults. Public Health Nurs. 2016;33(3):232-41. 

  26. Lee YH, Go NG, Min DL. Retrospective study abou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254 patients visited obesity clinic. J Korean Med Obes Res. 2015;15(1):33-7. 

  27. Coughlin JW, Smith MT. Sleep, obesity, and weight loss in adults: Is there a rationale for providing sleep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Rev Psychiatry. 2014;26(2):177-88. 

  28. Jeong HS. The Trend and Prospect of Healthcare Wearable Device.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bailable from: URL: https://www.bioin.or.kr/InnoDS/data/upload/industry/A29D6B21-F7DB-29D8-DEE6-DDD4080F22C9.pdf 

  29. Song MY, Kim HJ, Lee MJ. The safety guidelines for use of Ma-huang in obesity treatment. J Korean Med Obes Res. 2006:6(2):17-27. 

  30. Song YK, Lim HH. Clinical application of Ma Huang in the obesity treatment. J Korean Med Obes Res. 2007;7(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