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외측 발목 불안정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2 no.2, 2018년, pp.55 - 61  

김대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성기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is a major complication of acute ankle sprains, which can cause discomfort in both daily and sports activity. In addition, it may result in degenerative changes to the ankle joint in the long term. An accurate diagnostic approach and successful treatment plan can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성 외측 불안정성은 현재의 불편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절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병적 상태이므로, 정형외과 의사로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필수적일 것이다. 본문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을 토대로 만성 외측불안정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 외측 염좌시 어디에 손상이 발생하는가? 급성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손상이며, 이 중 80%가 내번으로 인한 발목 외측 염좌이다. 발목 외측 염좌 시에는 족저 굴곡 상태로 내번력을 받으면서 인장력이 가해지는 외측 인대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발목의 족저굴곡보다 과도한 내번 혹은 내회전을 주된 기전으로 보기도 한다. 대부분의 손상은 먼저 전거비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가 받으며,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또한 추가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만성 외측불안정성의 분류는? 발목관절의 만성 외측불안정성은 기계적(mechanical) 및 기능적(functional) 불안정성으로 분류되는데, Freeman3)은 급성 염좌 시에 손상된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의 불완전한 회복에 의해 환자들이 관절의 불안정성을 호소할 때 이를 기능적 불안정(functional instability)이라고 최초로 기술하였다. 기계적 불안정은 관절의 정적 안정화 구조물인 인대의 손상이 적절하지 않게 치유되어 나타나는 구조적인 결함에 의한 것이다.
발목 외측 염좌시 대부분의 손상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발목 외측 염좌 시에는 족저 굴곡 상태로 내번력을 받으면서 인장력이 가해지는 외측 인대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발목의 족저굴곡보다 과도한 내번 혹은 내회전을 주된 기전으로 보기도 한다. 대부분의 손상은 먼저 전거비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가 받으며,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또한 추가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다. 급성 염좌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70%∼80%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가 있으나, 20%∼40%에서는 만성 외측 발목 관절 불안정 등의 후유증이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van Rijn RM, van Os AG, Bernsen RM, Luijsterburg PA, Koes BW, Bierma-Zeinstra SM. What is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ankle sprai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m J Med. 2008;121:324-31.e6. 

  2. DiGiovanni CW, Brodsky A. Current concepts: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06;27:854-66. 

  3. Freeman MA. Instability of the foot after injuries to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Br. 1965;47:669-77. 

  4. Hiller CE, Kilbreath SL, Refshauge KM. Chronic ankle instability: evolution of the model. J Athl Train. 2011;46:133-41. 

  5. Gribble PA, Delahunt E, Bleakley C, Caulfield B, Docherty C, Fourchet F,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controlled research: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Br J Sports Med. 2014;48:1014-8. 

  6. Caprio A, Oliva F, Treia F, Maffulli N.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with allograft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Clin. 2006;11:597-605. 

  7. Louwerens JW, Ginai AZ, van Linge B, Snijders CJ. Stress radiography of the talocrural and subtalar joints. Foot Ankle Int. 1995;16:148-55. 

  8. Cho JH, Lee DH, Song HK, Bang JY, Lee KT, Park YU. Value of stress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compared to manual anterior drawer test, stress radi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rthroscop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6;24:1022-8. 

  9. Maffulli N, Ferran NA.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m Acad Orthop Surg. 2008;16:608-15. 

  10. Ajis A, Maffulli N. Conservative management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Clin. 2006;11:531-7. 

  11. Donovan L, Hertel J. A new paradigm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Phys Sportsmed. 2012;40:41-51. 

  12. Karlsson J, Lansinger O.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1). Non-surgical treatment is the first choice--20 per cent may need ligament surgery]. Lakartidningen. 1991;88:1399-402. Swedish. 

  13. Karlsson J, Bergsten T, Lansinger O, Peterson L.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A new procedure. Am J Sports Med. 1989;17:268-73; discussion 273-4. 

  14. Karlsson J, Eriksson BI, Bergsten T, Rudholm O, Sward L. Comparison of two anatomic reconstructions for chronic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Am J Sports Med. 1997;25:48-53. 

  15. Cho BK, Kim YM, Kim DS, Choi ES, Shon HC, Park KJ. Comparison between suture anchor and transosseous suture for the modified-Brostrom procedure. Foot Ankle Int. 2012;33:462-8. 

  16. Lee KT, Lee JI, Sung KS, Kim JY, Kim ES, Lee SH, et al. Biomechanical evaluation against calcaneofibular ligament repair in the Brostrom procedure: a cadaveric stud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8;16:781-6. 

  17. Jeong BO, Kim MS, Song WJ, SooHoo NF. Feasibility and outcome of inferior extensor retinaculum reinforcement in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Foot Ankle Int. 2014;35:1137-42. 

  18. Corte-Real NM, Moreira RM. Arthroscopic repair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09;30:213-7. 

  19. Guelfi M, Zamperetti M, Pantalone A, Usuelli FG, Salini V, Oliva XM. Open and arthroscopic lateral ligament repair for treatment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ystematic review. Foot Ankle Surg. 2018;24:11-8. 

  20. Kerkhoffs GM, Kennedy JG, Calder JD, Karlsson J. There is no simple lateral ankle sprai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6;24:941-3. 

  21. Shakked RJ, Karnovsky S, Drakos MC. Operative treatment of lateral ligament instability.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17;10:113-21. 

  22. Schenck RC Jr, Coughlin MJ. Lateral ankle instability and revision surgery alternatives in the athlete. Foot Ankle Clin. 2009;14:205-14. 

  23. Matheny LM, Johnson NS, Liechti DJ, Clanton TO. Activity level and function after lateral ankle ligament repair versus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2016;44:1301-8. 

  24. Sha Y, Wang H, Ding J, Tang H, Li C, Luo H, et al. A novel patient-specific navigational template for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Int Orthop. 2016;40:59-64. 

  25. Vuurberg G, Pereira H, Blankevoort L, van Dijk CN. Anatomic stabilization techniques provide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functional outcome in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ankle instability compared to non-anatomic technique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Published online November 14, 2017; doi: 10.1007/s00167-017-4730-4. 

  26. Park JS, Kim BS. Risk factors for failure after lateral ankle ligament repair. J Korean Foot Ankle Soc. 2016;20:62-6. 

  27. Viens NA, Wijdicks CA, Campbell KJ, Laprade RF, Clanton TO.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ruptures, part 1: biomechanical comparison of augmented Brostrom repair techniques with the intact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m J Sports Med. 2014;42:405-11. 

  28. Cho BK, Park KJ, Park JK, SooHoo NF. Outcomes of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augmented with suture-tape for ankle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Foot Ankle Int. 2017;38:405-11. 

  29. Knop C, Knop C, Thermann H, Blauth M, Bastian L, Zwipp H, et al. [Treatment of recurrence of fibular ligament rupture.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Unfallchirurg. 1999;102:23-8. German. 

  30. Pearce CJ, Tourne Y, Zellers J, Terrier R, Toschi P, Silbernagel KG, et al. Rehabilitation after anatomical ankle ligament repair or reconstruc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6;24:11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