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재원 다문화 가정 영아의 양육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
Present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Children under 3 Years Old Enrolled at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4, 2018년, pp.85 - 108  

최호정 (시립풍동어린이집) ,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arenting characteristic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t had children under 3 years old, in order to develop their supporting resources.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7 mothers from multi-cul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기 가정환경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영아기 적절한 자극과 교육 환경 제공의 중요성은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영아에 대한 양육지원이 필요함도 시사하고 있다(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생애발달적인 측면에서 볼 때 영아기의 경험이나 환경은 이후의 신체, 사회, 인지, 정서발달의 기초가 되며, 나아가 이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아기 보다 큰 점을 고려할 때 영아기 가정환경은 매우 중요하다(노미향, 2008). 즉, 가정환경에서 맺는 부모자녀와의 관계에서 물리적인 가정환경의 상호작용은 영아기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김정민, 김지현, 정현심, 2011).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 자녀의 수 및 비율은 어떠한가? 결혼이민자 가정이 늘어나면서 사회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자연스럽게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에 대한 관심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자녀는 197,550명으로 1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초등학생 이하(61,625명)는 31.2%를 차지하고 그 중에 미취학 아동(만6세 이하)은 116,068명 58.8%로 만 6세 이하 영유아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행정안전부, 2016).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은 결혼과 함께 한국 사회에 진입한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한국 사회에 대한 적응과정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배경과 다른 자녀 양육 방법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이소희, 박영례, 김애림, 박성은, 2014), 특히 자녀 교육에 심리적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권복순, 2009; 이선미, 이경아, 2010).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신들도 한국어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아이들의 언어 발달을 위한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주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많으며(안원석, 2007), 자녀와의 안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촉진해 줄 수 있는 영아의 언어발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임순화, 박선희,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선자, 손수민 (2011). 영아기 자녀를 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 결혼이주여성 4인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161-188. 

  2. 곽금주 (2008. 1).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서울. 

  3. 곽금주 (2002). 아동 심리 평가와 검사. 서울: 학지사. 

  4. 교육부 (2014). 2012-2013 유아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5. 구영산,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2014).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1069-1082. doi:10.5392/JKCA.2014.14.12.1069 

  6. 권경숙, 봉진영 (2013). 다문화가정 방문교육 지도사의 실제적인 역할과 어려움에 관한 탐구. 유아교육연구, 33(3), 59-81. doi:10.18023/kjece.2013.33.3.003 

  7. 권복순 (2009).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1(2), 5-32. doi:10.20970/kasw.2009.61.2.001 

  8. 권희연, 이미숙, 전병운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문헌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4), 283-306. doi:10.20971/kcpmd.2010.53.4.283 

  9. 김기홍 (2012). 한.일 다문화가정 장애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79-111. doi:10.21075/kacsn.2012.14.3.79 

  10. 김선희 (2016). 다문화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결혼이주여성 정책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리, 이현정 (2016).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어휘력과 문해능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학지 21, 7(6), 263-279. doi:10.22143/HSS21.7.6.16 

  12. 김정민, 김지현, 정현심 (2011).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2(3), 1-17. doi:10.5723/KJCS.2011.32.3.1 

  13. 김훼린, 한선경, 김영태 (2014).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특수교육, 13(3), 371-385. 

  14. 김희태, 권영덕 (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5. 노미향 (2008). 결혼이민자가정의 자녀양육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미경 (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신규, 이성희 (2015). 다문화가족의 영유아 양육환경과 발달 상태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다문화 영유아교육지원방안을 위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159-187. 

  18. 박윤경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지능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찬옥, 이은경 (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3), 527-547. 

  20. 보건복지부 (2008). 다문화가족지원법. 서울: 보건복지부. 

  21. 보건복지부 (2014). 2014년 보육통계(2014.12.31. 기준). 서울: 보건복지부. 

  22. 서문희, 양미선, 조혜주, 정은미 (2011).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지원 실태와 요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13호. 

  23. 성미영, 김정현, 박석준, 정현심, 권윤정 (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아동교육, 19(4), 33-47. 

  24.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5.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6. 안원석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표현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양시내, 김우영, 김영옥 (2013).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71-94. 

  28. 여성가족부 (2016). 2015년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분석.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9. 연합뉴스 (2015.05.29.). 비자 심사 강화로 외국인 며느리 7개월째 감소.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5/28/0200000000AKR20150528187700371.HTML?input1179m 2015년 5월 29일 인출 

  30. 이민주 (2015).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해능력 증진을 위한 가족문해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95, 81-103. 

  31. 이상호, 김대군, 박균열 (2015).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응력 함양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36, 239-258. 

  32. 이선미, 이경아 (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71-105. 

  33. 이소희, 박영례, 김애림, 박성은 (2014).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유아기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9(4), 805-829. doi:10.13049/kfwa.2014.19.4.805 

  34. 임순화, 박선희 (2010).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 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1-278. 

  35. 오혜정 (2015).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7(1), 215-237. doi:10.21075/kacsn.2015.17.1.215 

  36. 유영은 (2006).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장혜성, 하지영, 서소정 (2007). 장애위험군에 처한 영아 조기선별진단도구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1), 265-287. doi:10.21075/kacsn.2007.9.1.265 

  38. 전혜정, 민성혜, 신혜원 (2009). 다문화 가정 영유아 사회.정서 발달 증진 프로그램 효과분석.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39. 전혜정, 민성혜, 이민영, 최혜영, 장수지, 조을순, 정주희, 윤지은, 박보미 (2007). 국제결혼가정자녀 실태조사 및 성장지원 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40.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애착안정성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민감성이 12개월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6), 335-352. 

  41. 정민자, 윤선아 (2014). 다문화가정의 모의 특성과 가정환경변인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4, 259-282. 

  42. 정정희, 정민영, 김민정, 허경아, 홍희주 (2010).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변인들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3-44. 

  43. 조미영, 배지희 (2011).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유아기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멘토링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31(6), 427-453. doi:10.18023/kjece.2011.31.6.019 

  44. 조영철, 윤혜영, 최민지 (2013). 다문화가정 학생 멘토링 참여 멘토와 멘티의 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교류연구, 2(3), 25-42. 

  45. 조윤경 (2015). 아시아계 다문화 가정의 장애 유아 어머니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15(3), 127-155. 

  46. 최나야, 우현경, 정현심, 박혜준, 이순형 (2009).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55-268. 

  47. 최은영 (2015). 다문화가정 영유아 교육 보육정책 현황 및 과제. 현대사회와 다문화, 5(2), 161-180. 

  48. 한경님 (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71-190. 

  49. 홍영숙 (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행정안전부 (2016). (한글분석자료)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 조사결과. 서울: 행정안전부. 

  51.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52. Seidman, I.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박혜준, 이승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