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교육실재감, 시스템사고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3 no.2, 2016년, pp.147 - 154  

조옥희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simulation-based educ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type of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Method: Subjects were 69 senior college students recruited through conven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ho와 Hwang(2016)의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 중 보고하지 않은 중재의 효과를 이차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K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으로, 1,000시간 이상의 정규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수료하였고, 시뮬레이션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를 편의 추출하였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 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을 증가시키고, 시스템 사고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수-학습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교육실재감, 시스템 사고능력의 질적 변수와 문제해결 적극성의 효과를 파악한데 의의가 있으며.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교육실재감, 시스템 사고 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학생의 교육실재감(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과 시스템 사고능력을 증가시켰으나 문제해결 적극성은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교육실재감, 시스템 사고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개발, 적용하여 실재감, 시스템 사고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학습법이란? 시뮬레이션 학습법은 학생들이 실제적인 임상 상황을 재현한 안전한 실습실 환경에서 실습하는 교육전략이다(Arthur, Levett-Jones, & Kable, 2012). 환자안전과 권리가 강화됨에 따라 행동보다 관찰중심의 임상실습 간호교육이 주를 이루면서, 모의상황에서 다양한 환자 사례를 구현하여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핵심간호술기와 집중간호를 적용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Son & Song, 2012; Wong et al.
시뮬레이션 교육은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가?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과 사전지식 확인 과정, 시뮬레이터 활용 실습과정 및 디브리핑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 교육방법에서는 교수자의 가이드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Gillespie, 2001).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은?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과 사전지식 확인 과정, 시뮬레이터 활용 실습과정 및 디브리핑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 교육방법에서는 교수자의 가이드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Gillespie, 2001).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은 간호대학생에게 교육의 실재감을 높이고, 단시간 내에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2-17. 

  2. Arthur, C., Levett-Jones, T., & Kable, A. (2012). Quality indicators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experiences: a delphi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3(11), 1357-1361. 

  3. Bledow, R., & Frese, M. (2009). A situational judgement test of personal initiative and its relationship to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2(2), 229-258. 

  4. Campbell, S. H., & Daley, K. M. (2012). Simulation scenarios for nursing educators, (2nd ed.): making it real. New York:Springer Publishing Company. 

  5. Cho, O. H., & Hwang, K. H. (2016).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640-650. 

  6. Cioffi J. (2001). Clinical simulat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Nurse Education Today, 21(6), 477-486. 

  7. Cortegiani, A., Russotto, V., Montalto, F., Iozzo, P., Palmeri, C., Raineri, M. S., & Giarratano, A. (2015).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on medical students' knowledge about advanced life support: a randomized study. The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10(5), e0125685. 

  8. Dong, Y., & Dunn, W. F. (2012). Accidental decannulation:systems thinking,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Respiratory Care, 57(12), 2133-2135. 

  9. Dolansky, M. A. & Moore, S. M. (2013).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QSEN): the key is systems thinking.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8(3), 1-12. 

  10. Dunnington, R. M. (2015). The centricity of presence in scenario-based high 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ion: a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8(1), 64-73. 

  11. Feingold, C. E., Calaluce, M., & Kallen, M. A. (2004). Computerized patient model and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s:evaluation with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0(4), 156-163. 

  12. Fraser K, Huffman J, Ma I, Sobczak M, McIlwrick J, Wright B, & McLaughlin K. (2014). The emotional and cognitive impact of unexpected simulated patient dea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est, 145(5), 958-963. 

  13. Gillespie, M. (2001). Student-teacher connection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6), 566-576. 

  14. Hung, W. (2008). Enhancing systems-thinking skills with modell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9(6), 1099-1120. 

  15. Horsley, T. L. (2012). The effect of nursing faculty presence on students' level of anxiety, self-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during a clinical simulation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Kansas, USA. 

  16. Jun, W. H., & Lee, E. J. (2013). Effects of S-PBL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comparison analysis of a ordinary least square and a quantile regression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036-1045. 

  17. Kang, M. J., Kim, J., & Park, M. (2008).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 In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8 (pp. 4175-4180). Chesapeake, VA: AACE. 

  18. Kim, H. R., Choi, E. Y., & Kang, H. Y. (2011). Simulation module development and team competen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92-400. 

  19. Kim, N.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of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Kim, U., J., & Park, J. H.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cyber univers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3(3), 143-170. 

  21. Kwon, E. (2009).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Lee, H., Kwon, H., Park, K., & Lee, H. (2013). A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33(5), 995-1006. 

  23. Marshall, L. C.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A. 

  24. Murphy, S., Hartigan, I., Walshe, N., Flynn, A. V., & O'Brien, S. (2011). Merg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simulation as an innovative pedagogy in nurse educ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7(4), e141-e148. 

  25. Senge, P. M. (2006). The fifth discipline :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rown Business. 

  26. Smith, S. J., & Rochers, C. J. (2009). High-fidelity simulation:factors correlated with nursing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74-78. 

  27. Son, Y. J., & Song, Y. A. (2012).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43-52. 

  28. Swan, K., Richardson, J. C., Arbaugh, J. B., Cleverland-Innes, M., Diaz, S., Garrison, D. R., Ice, P., & Shea, P. (2008). Researching online communities of inquiry: New Col Survey Instrument. Vienna: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 telecommunications (ED-MEDIA 2008). 

  29. Teixeira, C. R. S., PereiraI, M. C. A., KusumotaI, L., GaiosoII, V. P., Mello, C. L., & CarvalhoI, E. C. (2015).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about learning with clinical simulation.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68(2), 284-291. 

  30. Wong, F. K., Cheung, S., Chung, L., Chan, K., Chan, A., To, T., & Wong, M. (2008). Framework for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in a simulated clinical sett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1), 508-5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