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접근성 개념을 적용한 문화서비스 평가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Accessibility Analysis in Mapp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 of Namyangju-si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4, 2018년, pp.367 - 377  

전배석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강완모 (청주대학교 이공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이재혁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김성훈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김벼리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김일권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이주은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권혁수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취하는 비물질적인 혜택인 문화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최근 국민총소득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정량적 가치평가를 위해 국내외에서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개인의 사회, 문화적 이질성 등의 주관적 성향과 규모의 차이로 인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문화서비스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자연생태계와 인간의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기존 문화서비스 가치평가방법이 가지는 사회, 문화적 주관성을 보완하고자 한다. 국내 전 지역 규모에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공감대를 형성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문화서비스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을 근거로 개발된 유럽의 여가 서비스 평가방법 고찰을 통해 국내에 구축된 도로 네트워크와 인구분포현황과 함께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생태자산 간이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문화서비스 접근성 평가 (CSOS)'를 남양주시에 시범 적용하였다. 그 결과 남양주시에 산재한 특정 생태자산 및 주거지를 중심으로 우수한 문화서비스 접근성이 존재하는 특정 공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SNS 데이터를 활용한 InVEST의 Recreation 평가 모형과 조망점을 활용한 Scenic quality평가 모형간의 차별성과 시범연구로서 가지는 가중치 설정에 대한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ultural ecosystem service(CES), which is non-material benefit that human gains from ecosystem, has been recently further recognized as gross national income increases. Previous researches proposed to quantify the value of CES, which still remains as a challenging issue today due to its socia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가지 입력 자료에 대한 객관적인 가중치 선정은 폭넓은 이해관계자가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정보를 구축할 수 있으나 시범적용 단계에서는 설문과 AHP와 같은 전문가의 검증 단계를 거치지 않고 각 요인에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별 최대가중치를 부가한 경우를 고찰하였다.
  •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서는 자료 구축에 이어 근교 여행거리에 대한 방문확률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인간이 주거공간에서부터 주변 생태자산까지 도달함으로써 문화서비스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여행거리가 증가할수록 인간의 방문 확률 또한 낮아질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교 여행거리라고 명명하였다.
  • 본 연구는 인간과 특정 환경이 상호작용하면서 문화서비스가 발생한다는 근거를 배경으로 지역주민들이 주거지에서 출발하여 생태자산의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접근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Figure 6과 같이 문화서비스 접근성 평가는 기존에 높은 편의성에 의해 보편적으로 이용되어온 SNS 데이터를 활용한 Recreation 평가 모형, 조망점을 활용한 Scenic Quality 평가 모형과 확연한 차이점을 가진다.
  • 이에 따라 주거인구밀도, 생태 자산 분포 현황 및 평가결과에 따라 문화서비스 혜택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도로 네트워크 구축 또는 불필요한 도로 네트워크 개설을 지양하기 위한 기반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교 여행거리 설정에 있어 대상지에 거주하는 주민의 행태를 반영하기 위한 기초자료 부족으로 유럽 전지역을 대상으로 Recreation Opportunity Spectrum 분석을 시행한 Paracchini et al.(2014)의 근교 여행거리를 참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다양한 이해 당사자 및 이용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지역의 주요 생태자산 간이평가 결과와 인구분포밀도와 도로 네트워크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에서 주민들이 잠재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문화서비스 혜택의 수치를 지도화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생태자산까지의 높은 접근성을 가진 특정 주거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분석 절차는 생태자산 간이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 및 인구밀도의 수치 등급화, 근교 여행확률 설정, 등급화 자료와 여행확률을 접목한 네트워크 분석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네트워크 (Geofabrik 2017)가 접근성 분석의 축이 되기 때문에 그 외의 입력 자료를 등급화 하였다. 국립생태원 (2017)이 평가한 남양주시의 50여 개의 생태자산에 대한 7개의 문화서비스 항목별로 5등급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의 공공데이터, 생태자산 간이평가 결과를 접근성이라는 개념과 조합함으로써 국외에서 개발된 InVEST의 Recreation, Scenic Quality 모형을 대체하고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가지는 문화서비스 평가지표 시범 적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기반의 문화서비스 평가 결과가 이용자 또는 관리자의 관점에서 도시기본계획의 일부인 공원 녹지계획, 교통처리계획, 토지 이용계획의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자료로서의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기존에 주로 행해져 온 방문객 인식 자료를 활용한 문화서비스와 달리 본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접근성은 인간의 선호도가 아닌 인간이 특정 문화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까지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며 지역에 거주하는 개개인에게 적용 가능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주요 생태자산과 인구분포 및 도로 네트워크 현황을 활용하여 남양주 지역을 시범으로 접근성 기반의 문화서비스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수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화서비스는 서비스가 발생하기 적합한 환경까지 인간이 도달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접근성을 핵심적인 평가 요인으로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접근성 기반의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는 공신력이 있거나 대중적인 공간 데이터를 활용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룬다. 그 중 Ala-Hulkko et al.
  • 그 결과 우수한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생태자산까지의 높은 접근성을 가진 특정 주거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의 공공데이터, 생태자산 간이평가 결과를 접근성이라는 개념과 조합함으로써 국외에서 개발된 InVEST의 Recreation, Scenic Quality 모형을 대체하고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가지는 문화서비스 평가지표 시범 적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기반의 문화서비스 평가 결과가 이용자 또는 관리자의 관점에서 도시기본계획의 일부인 공원 녹지계획, 교통처리계획, 토지 이용계획의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자료로서의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 에서는 인간이 주거공간에서부터 주변 생태자산까지 도달함으로써 문화서비스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여행거리가 증가할수록 인간의 방문 확률 또한 낮아질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교 여행거리라고 명명하였다. 국내 근교 여행거리에 대한 방문 확률 설정을 위해 국민여가활동 조사(문화체육관광부 2016)를 검토하였으나 선호 여행거리에 대한 근거 부족으로 해외사례를 참고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서비스는 무엇인가? 2017). 생태계서비스의 일부인 문화서비스는 인간이 생태계에서 얻는 비물질적인 혜택으로 인간과의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심미적, 교육적, 사회적, 역사적, 영감 적, 문화유산과 영적 가치가 발생한다(MA 2005; Haines-Young & Potschin 2017). 인간과 생태계가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문화서비스는(MA 2005; Haines-Young & Potschin 2017) 높은 주관성을 띠는 평가방법으로 오늘날까지는 의사결정과정에 대중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으나 생태계서비스 중 인간이 가장 우선적으로 공감하는 서비스이기도 하다 (Chan et al.
문화서비스 평가모형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중 SNS에 노출된 이미지 공간정보를 활용한 InVEST의 Recreation 모형, 또는 조망점과 지형을 활용한 Scenic Quality 모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 문화적 이질성 등의 주관적 성향으로 인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Gomez-baggethun & Barton 2013; Steiner 2014; Nahuelhual et al. 2014).
문화서비스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생태계서비스의 일부인 문화서비스는 인간이 생태계에서 얻는 비물질적인 혜택으로 인간과의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심미적, 교육적, 사회적, 역사적, 영감 적, 문화유산과 영적 가치가 발생한다(MA 2005; Haines-Young & Potschin 2017). 인간과 생태계가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문화서비스는(MA 2005; Haines-Young & Potschin 2017) 높은 주관성을 띠는 평가방법으로 오늘날까지는 의사결정과정에 대중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으나 생태계서비스 중 인간이 가장 우선적으로 공감하는 서비스이기도 하다 (Cha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a-Hulkko T, Kotavaara O, Alahuhta J, Helle P, Hjort J. 2016. Introducing accessibility analysis in mapp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Ecological indicators 66: 416-427. 

  2. Burkhard B, Maes J. 2017. Mapping ecosystem services. Advanced Books 1 

  3. Chan KM, Guerry AD, Balvanera P, Klain S, Satterfield T, Basurto X, Bostrom A, Chuenpagdee R, Gould R, Halpern BS, Hannahs N. 2012. Where are cultural and social in ecosystem services? A framework for constructive engagement. BioScience 62(8): 744-56. 

  4. Gomez-Baggethun E, Barton DN. 2013. Classifying and valuing ecosystem services for urban planning. Ecological Economics 86: 235-245. 

  5. Haines-Young R, Potschin MB. 2017.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ICES) V5.1 and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tructure. 

  6. Hansen W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5(2): 73-76. 

  7. Hernandez-Morcillo M, Plieninger T, Bieling C. 2013. An empirical review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 indicators. Ecological indicators 29: 434-444. 

  8. Jensen FS, Koch NE. 1997. Recreation in Forests 1976/77-1993/94 Forskningsserien nr 20. Forskningscentret for Skov& Landskab. Horsholm. 

  9. Jensen FS. 2003. Recreation in 592 Forests and other Nature Areas Skovbrugsserien nr. 32-2003. Forskningscentret for Skov & Landskab. Horsholm. 

  10. Kim EY, Kim JY, Jung HJ, Song WK. 2017.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 26(4): 227-241. [Korean Literature] 

  11.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8. Visitors of Main tourist destination 2004-2018.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2.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8. Yearly Visitors to National park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n Literature] 

  13. La Rosa D, Spyra M, Inostroza L. 2016. Indicators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for urban planning: A review. Ecological indicators 61: 74-89. 

  14. MA(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biodiversity synthesis. World Resources Institute. Washington DC. 

  15. Nahuelhual L, Carmona A, Aguayo M, Echeverria C. 2014. Land use change and ecosystem services provision: a case study of recreation and ecotourism opportunities in southern Chile. Landscape ecology 29(2): 329-344. 

  16.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9. Terminologies of special education. [Korean Literature] 

  1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7. Mapp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National Insistute of Ecology. [Korean Literature] 

  18. Natural England. 2011. Monitor of Engagement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e National Survey on Peopl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 Annual Report from the 2010-11 Survey. Natural England Commissioned Report083. 

  19.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http://market.nsdi.go.kr/ [Korean Literature] 

  20. Sen A, Darnell A, Crowe A, Bateman I, Munday P, Foden J. 2011. Economic Assessment of the Recreational Value of Ecosystems Report to the Economics Team of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University of East Anglia. 

  21. Sievanen T, Neuvonen M. 2011. Working Papers of the Finnish Forest Research Institute 212. Finnish Forest Research Institute. 

  22. Steiner F. 2014. Frontiers in urban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resear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5: 304-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