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환경분야 이해당사자 인식을 반영한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 분석 - 안산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n Ecosystem Service Hotspots Based on Regional Environmental Stakeholders' Perception - A case study of Ansan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5, 2018년, pp.417 - 430  

김일권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김성훈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이재혁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권혁수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을 적용한 공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계서비스가 주변보다 높은 지역을 의미하는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 평가와 지도화는 생태계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역 환경분야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반영한 우수지역 평가는 지역에서 관리가 필요한 우선지역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본 연구는 안산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조절서비스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조절서비스 우수지역을 파악하였다. 환경분야 이해당사자 분석결과, 조절서비스의 중요도는 수질조절, 대기조절, 침식조절, 기후조절의 순서로 나타났다.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은 주로 안산 북동부에 위치한 산림지역에서 나타났다. 이해당사자 가중치를 반영한 경우에도 우수지역의 공간분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환경분야 이해당사자 인식을 반영한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 평가는 지역에서 생태계서비스 관리정책 수립 시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dentification and mangement of ecosystem service hotspots are necessary to set environmental policies that include concepts of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and mapping of ecosystem service hotspot referring areas with high amount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to manage ecosy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전에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받은 안산시 소속 공무원들, 환경단체,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11월 2회에 걸쳐 지역공무원 9명, 환경단체 14명, 지역주민 6명을 대상으로 이해당사자 그룹별 대면조사로 수행되었다.
  • 다만 가중치를 반영할 경우 일부 북동부 산림지역이 우수지역에서 제외되고, 도심의 산림이 우수지역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개별적인 생태계서비스 평가결과를 통합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을 파악하는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안산의 환경분야 이해당사자들은 지역의 환경이슈와 관련된 생태계서비스들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 안산시 환경분야 이해당사자들은 다양한 환경이슈들을 경험하면서, 이를 조절하는 생태계서비스들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과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경험했던 안산시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고, 환경분야 이해당사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여 우수지역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환경분야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AHP 기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조절서비스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다만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낮은 상황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경우에 일관성이 낮게 평가될 우려가 있다(Koschke et al.
  • 하지만, 생태계서비스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을 공간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지역환경분야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AHP 기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생태계서비스 가중치를 산정한 뒤, 이를 반영하여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을 추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는 생태계서비스 분석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 분석적 위계과정 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은 다양한 기준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의사결정과정에 활용하는 방법이다(Nam & Im 2011). AHP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가중치를 반영하여 수행되는 적지분석에 널리 활용되며(Chae & Oh 2003; Nam & Im 2011), 개별 생태계서비스들 간의 상대비교를 통해 가중치를 계산할 경우에도 활용된다(Zhang & Lu 2010; Koschke et al. 2012).
생태계서비스란 무엇인가? 생태계서비스는 자연생태계가 인간사회에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의미한다(MA 2005). 최근 생태계의 질적 하락과 자연자원의 남용이 심각한 상황에서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은 지역 환경보전정책에서 점차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Fisher and Turner 2008; Koschke et al.
생태계서비스 관리 우선지역을 선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hotspot)은 주변보다 높은 수준의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생태계서비스 관리 및 보전지역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지역이다(Cimon-Morin et al. 2013). 생태계는 하나의 생태계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기능성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Raudsepp-Hearne et al. 2010), 생태계서비스 우수지역은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들이 높은 수준에서 제공되는 지역을 의미하기도 한다(Cai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lessa L, Kliskey A, Brown C. 2008. Socialecological hotspots mapping: a spatial approach for identifying couple-social ecological spa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5(1): 27-39. 

  2. Beverly JL, Uto K, Wilkes J, Bothwell P. 2008. Assessing spatial attributes of forest “landscape values: an internet based participatory mapping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8(2): 289-303. 

  3. Burkhard B, Petrosillo I, Costanza R. 2010. Ecosystem services-bridging ecology, economy and social sciences. Ecological Complexity 7: 257-259. 

  4. Cai W, Gibbs D, Zhang L, Ferrier G, Cai Y. 2017. Identifying hotspots and management of critical ecosystem services in rapidly urbanizing Yangtze River Delta region,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91: 258-267. 

  5. Chan KMA, Shaw MR, Cameron DR, Underwood EC, Daily GC. 2006. Conservation planning for ecosystem services. PLos Biology 4(11): e379. 

  6. Cimon-Morin J, Darveau M, Poulin M. 2013, Fostering synergies between ecosystem services and biodiversity in conservation planning: a review. Biological Conservation 166: 144-154. 

  7. Cho HL, Jeong E, Koo BK. 2015. Development of a hybrid watershed model STREAM: Model structures and theo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5): 491-506. [Korean Literature] 

  8. Choi YJ, Kim KH, Jeon EC. 2006. Odorous pollutant concentration levels in the Ban- Wall industrial are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2): 209-220. [Korean Literature] 

  9. Eigenbrod F, Armsworth PR, Anderson BJ, Heinemeyer A, Gillings S, Roy DB, Thomas CD, Gaston KJ. 2010. The impact of proxy-based methods on mapping the distribution of ecosystem servic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7(2): 377-385. 

  10. Fisher B, Turner KR. 2008. Ecosystem services: classification for valu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41: 1167-1169. 

  11. Fruh-Muller A, Hotes S, Breuer L, Wolters V, Koellner T. 2016. Regional patterns of ecosystem services in cultural landscapes. Land 5(2): 17. 

  12. Gimona A, van der Horst D. 2007. Mapping hotspots of multiple landscape functions: a case study on farmland afforestation in Scotland. Landscape Ecology 22(8): 1255-1264. 

  13. Heo JW, Kim DG, Song IS, Lee G. 2010. Concentration and gas-particle partition of PCDDs/Fs and dl-PCBs in the ambient air of Ans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5): 517-532. [Korean Literature] 

  14. Jung KH, Kim WT, Hur SO, Ha SK, Jung PK, Jung YS. 2004.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Literature] 

  15. Jung KH. 2006.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industrial city, Ansan focused on theory of 'Industrial district',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4(1): 46-67. 

  16.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7. The lungs of the City, urban fores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64pp. [Korean Literature] 

  17. Koo M. 201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model for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the case study on 4 Bogeumjari Residential Areas. Ph.D. dissertation, Seoul Natl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8. Kopperoinen L, Itkonen P, Niemela J. 2014. Using expert knowledge in combining green infrastructure and ecosystem services in land use planning: an insight into a new place-based methodology. Landscape Ecology 29: 1361-1375. 

  19. Koschke L, Furst C, Frank S, Makeschin F. 2012. A multi-criteria approach for an integrated land-cover-base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provision to support landscape planning. Ecological Indicators 21: 54-66. 

  20. Lautenbach S, Maes J, Kattwinkel M, Seppelt R, Strauch M, Scholz M, Schulz-Zunkel C, Volk M, Weinert J, Dormann CF. 2012. Mapping water quality-related ecosystem services: concepts and applications for nitrogen retention and pesticide risk re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diversity Science, Ecosystem Services & Management 8(1-2): 35-49. 

  21. Lee HK. 2012. Shihwa regional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 and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9, 153-173. [Korean Literature] 

  22. Liu J, Li J, Gao Z, Yang M, Qin K, Yang X. 2016. Ecosystem services insights into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China: a case of Xi’an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3(12): 1169. 

  23. Locatelli B, Imbach P, Wunder S. 2014. Synergies and trade-offs between ecosystem services in Costa Rica. Environmental Conservation 41(1): 27-36. 

  24. Luck GW, Chan KMA, Klien C. 2012. Identifying spatial priorities for protecting ecosystem services. F1000Research 1:17. 

  25. MA (Milleniu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C. 

  26. Maes J, Egoh B, Willemen L, Liquete C, Vihervaara P, Schagner JP, Grizetti B, Drakou EG, Notte AL, Zulian G, Bouraoui F, Paracchnin LM, Braat L, Bidoglio G. 2012. Mapping ecosystem services for policy support and decision making in the European Union. Ecosystem Services 1(1): 31-39. 

  27. Martin-Lopez B, Iniesta-Arandia I, Garcia-Llorente M, Palomo I, Casado-Arzuaga I, Del Amo DG, Gomez-Baggethun E, Oteros-Rozas E, Palacios-Agundez I, Willaarts B, Gonzalez JA, Santos-Martin F, Onaindia M, Lopez-Santiago C, Montes C. 2012. Uncover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through social preferences. PlosOne 7(6): e38970. 

  28. Meyer MA, Schulz C. 2017. Do ecosystem services provide an added value compared to existing forest planning approaches in Central Europe? Ecology and Society 22(3): 6. 

  29. Nam YS, Lim HS. 2011. A study for MICE multiplex location attributes which use AHP.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5(1): 125-136. [Korean Literature] 

  30.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7. Mapp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403pp. [Korean Literature] 

  31. Queiroz C, Meacham M, Richter K, Norstrom AV, Andersson E, Norberg J, Peterson G. 2015, Mapping bundles of ecosystem services reveals distinct types of multifunctionality within a Swedish landscape. Ambio 44(1): 89-101. 

  32. Quyen NTK, Berg H, Gallardo W, Da CT. 2017. Stakeholders' perceptions of ecosystem services and Pangasius catfish farming development along the Hau River in the Mekong Delta, Vietnam. Ecosystem Service 25: 2-14. 

  33. Raudsepp-Hearne C, Peterson GD, Bennett EM. 2010. Ecosystem service bundles for analyzing tradeoffs in diverse landscape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ic Society 107(11): 5242-5247. 

  34. Renard KG, Foster GR, Weesies GA, McCool DK, Yoder DC.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gricultural Handbook 703, US Government Print Office, Washington, DC. 

  35. Roh YH, Kim CK, Hong HJ. 2016. Time-series changes to ecosystem regulating services in Jeju: focusing on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and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stration 24(2): 29-44. [Korean Literature] 

  36. Saaty TL. 2005. The Analytic hierarchy and analytic network process for the measurement of intangible criteria and for decision-making. In: Figueira, J.(Ed.),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pp. 345-407. 

  37. Schlup CJE, Lautenbach S, Verburg PH. 2014. Quantifying and mapping ecosystem services: demand and supply of pollination in the European Union. Ecological Indicators 36: 131-141. 

  38. Schroter M, Remme RP. 2016. Spatial prioritisation for conserving ecosystem services: comparing hotspots with heuristic optimization. Landscape Ecology 31(2): 431-450. 

  39. Tidball KG, Krasny ME. 2011. Toward an ec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arning. Ecosphere 2(2): 1-17. 

  40. Willemen L, Hein L, van Mensvoort EF, Verburg PH. 2010. Space for people, plants, and livestock? Quantifying interactions among multiple landscape functions in a Dutch rural region. Ecological Indicators 10(1): 62-73. 

  41. Yoon SC, Kim BS. 2004. Troposhperic ozone pollutions in Korea during 1998-2002 using two ozone indices for vegetation prote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1): 38-48. [Korean Literature] 

  42. Zank B, Bagstad KJ, Voigt B, Villa F. 2016. Modeling the effects of urban expansion on natural capital stocks and ecosystem service flows: a case study in the Puget Sound, Washington, US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9: 31-42. 

  43. Zhang X, Lu X. 2010. Multiple criteria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for the Ruoergai Plateau Marshes in southewest China. Ecological Economics 69(7): 1463-1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