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초기 지표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
Prediction of Patient Discharge Status Based on Indicators on Admission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1 no.3, 2018년, pp.75 - 83  

정성인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이승훈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김윤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이상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교육실) ,  이정규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이유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조영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탁영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황혜림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박은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김경미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환자의 기대 여명 예측뿐 아니라 퇴원형태를 예측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원 초기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에 유의한 요소들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완화의료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P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568명 중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원 시 사정한 환자의 수행 지수, 증상 및 징후, 사회 경제적 상태와 혈액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입원 당시 높은 수행지수, 양호한 증상 및 징후, 정상에 가까운 혈액검사 수치를 보일 때 생존 퇴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환자의 퇴원형태 예측에 ECOG, KPS, Global health, Mental status와 같은 수행지수, dyspnea, anorexia, dysphagia, fatigue와 같은 증상 및 징후, CBC, LFT, BUN, CRP 혈액검사 수치가 유의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provide effective palliative ca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not only patients' life expectancy but their discharge status at a time of inpatient admission to a hospice care facility.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meaningful life expectancy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p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여명과 관련된 인자들과 퇴원형태(생존퇴원, 전원, 임종)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유의한 지표들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했던 말기암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입원 초기 사정한 지표들과 혈액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퇴원 형태 즉 임종, 전원, 생존퇴원을 예측하여 보호자및 환자에게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불어 환자를 구별화한 맞춤형 케어를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한 후향적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진단 초기에 여명 예측에 사용되는 것은? 암 진단 초기에는 암의 종류, 암세포 종류와 분화도, 진단 시점 에서의 병기 등이 여명 예측에 이용되는 반면 말기암환자에서는 환자의 수행지수(performance status), 환자의 증상과 징후 그리고 검사결과 등을 이용하여 여명을 예측하게 된다(3). 잘 알려져 있는 있는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 도구 중 완화의료 예후지 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경구 섭취량, 휴식 시 호흡곤란, 섬망, 부종과 같은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여명을 예측할 수 있게 고안되었으며, 완화의료 수행지수(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는 보행상태(ambulation), 활동수준(activity level), 질병 정도(evidence of disease), 자가 돌봄(self-care), 경구 섭취 및 의식상태의 5가지 면을 통해 예측을 한다(4,5).
국내 호스피스 지정기관과 병상수가 증가 추세인 이유는? 국내 호스피스의 상황을 살펴보면 1965년 국내 호스피스에 대한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호스피스 지정기관은 2018년 현재 82개소 병상수 1,351개로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1). 이것은 의학 기술의 발달과 질병구조의 변화 등으로 말기암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가족 구성원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문제가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었으며, 또한, 인간다운 죽음 즉, 죽음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하기 위해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호스피스에서 가족 및 환자가 의료진과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고 임종을 단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기대여명등 생존기간 예측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2).
국내 호스피스의 상황은? 국내 호스피스의 상황을 살펴보면 1965년 국내 호스피스에 대한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호스피스 지정기관은 2018년 현재 82개소 병상수 1,351개로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1). 이것은 의학 기술의 발달과 질병구조의 변화 등으로 말기암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가족 구성원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문제가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었으며, 또한, 인간다운 죽음 즉, 죽음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하기 위해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net]. Goya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2015. [cited 2018 Jan 23]. Available from: http://hospice.cancer.go.kr/home//contentsInfo.do?menu_no443&brd_mgrno. 

  2. den Daas N. Estimating length of survival in end-stage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ain Symptom Manage 1995;10:548-55. 

  3. Yoon HS, Kim CM, Lee YJ, Yoon JH, Jung HJ, Sin EK, et al. Clinical prediction of survival in terminal cancer patients: individual assessment vs. interdisciplinary assessment. Korean J Fam Pract 2015;5:89-94. 

  4. Morita T, Tsunoda J, Inoue S, Chihara S. The Palliative Prognostic Index: a scoring system for survival predic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upportive Care Cancer 1999;7:128-33. 

  5. Anderson F, Downing GM, Hill J, Casorso L, Lerch N.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a new tool. J Palliat Care 1996;12:5-11. 

  6. Coussens LM, Werb Z. Inflammation and cancer. Nature 2002;420:860-7. 

  7. Maltoni M, Caraceni A, Brunelli C, Broeckaert B, Christakis N, Eychmueller S, et al. Prognostic factors in advanced cancer patients: evidence-based clinical recommendations-a study by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Palliative Care. J Clin Oncol 2005;23:6240-8. 

  8. Geissbuhler P, Mermillod B, Rapin CH. Elevated serum vitamin B12 levels associated with CRP as a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in palliative care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over five years. J Pain symptom Manage 2000;20:93-103. 

  9. McMillan DC, Canna K, McArdle C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predicts survival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of colorectal cancer. Br J Surg 2003;90:215-9. 

  10. Maltoni M, Pirovano M, Nanni O, Marinari M, Indelli M, Gramazio A, et al. Biological indices predictive of survival in 519 Italia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talian Multicenter Study Group o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1997;13:1-9. 

  11. Zahorec R. Ratio of neutrophil to lymphocyte counts-rapid and simple parameter of systemic inflammation and stress in critically ill. Bratisl Lek Listy 2001;102:5-14. 

  12. Hawkins WG, DeMatteo RP, Jarnagin WR, Ben-Porat L, Blumgart LH, Fong Y. Jaundice predicts advanced disease and early mortality in patients with gallbladder cancer. Ann Surg Oncol 2004;11:310-5. 

  13. Walenta S, Mueller-Klieser WF. Lactate: mirror and motor of tumor malignancy. Semin Radiat Oncol 2004;14:267-74. 

  14. Lee DH, Kim SH, Choi YS, Chun BC, Hong MH, Cho KH, et al. The effects of performance status,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y data on length of survival of advanced cancer patients. Korean J Fam Med 2001;22:1794-805. 

  15. Lee JA, Yoon HM, Choi YS, Yeon JE, Lee JY. The effects of plasma endotoxin level on survival tim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57-65. 

  16. Kim ES, Lee JK, Kim MH, Noh HM, Jin YH. Validation of the prognosis in palliative care study predictor model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Korean J Fam Med 2014;35:283-94. 

  17. Mor V, Laliberte L, Morris JN, Wiemann M.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ale: an examination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 research setting. Cancer 1984;53:2002-7. 

  18. Repetto L, Fratino L, Audisio RA, Venturino A, Gianni W, Vercelli M, et al.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dds information to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in elderly cancer patients: an Italian Group for Geriatric Oncology Study. J Clin Oncol 2002;20:494-502. 

  19. Hodkinson HM. Evaluation of a mental test score for assessment of mental impairment in the elderly. Age Ageing 1972;1:233-8. 

  20. Seo MS, Lee YJ. Delirium management: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in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19:201-10. 

  21. Pirovano M, Maltoni M, Nanni O, Marinari M, Indelli M, Zaninetta G, et al. A new palliative prognostic score: a first step for the stag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talian Multicenter and Study Group o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1999;17:231-9. 

  22. Halazun KJ, Aldoori A, Malik HZ, Al-Mukhtar A, Prasad KR, Toogood GJ, et al. Elevated preoperative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predicts survival following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Eur J Surg Oncol 2008;34:55-60. 

  23. Cho WJ, Hwang HJ, Lee YJ, Son GH, Oh SM, Lee HR, et al. Neutrophil-lymphocyte ratio as a prognostic factor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181-7. 

  24. Maher EJ. How long have I got doctor? Eur J Cancer 1994;30A:283-4. 

  25. Yang SH, Park SJ, Lee JS, Kwon OY, Choi HS, Hong HP,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short-term mortali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visit a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465-73. 

  26. Kutner JS, Blake M, Meyer SA. Predictors of live hospice discharge: data from the National Home and Hospice Care Survey (NHHCS). Am J Hosp Palliat Care 2002;19:331-7. 

  27. Forster LE, Lynn J. Predicting life span for applicants to inpatient hospice. Arch Intern Med 1988;148:2540-3. 

  28. Shin HS, Lee HR, Lee DC, Shim JY, Cho KH, Suh SY. Uric acid as a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time: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6;31:493-501. 

  29. Yeom CH, Choi YS, Lee HR, Hong YS, Park YG. Prediction of life expectanc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clinical parame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2;5:111-24. 

  30. Caraceni A, Nanni O, Maltoni M, Piva L, Indelli M, Arnoldi E, et al. Impact of delirium on the short term prognosis of advanced cancer patients. Cancer 2000;89:1145-9. 

  31. Jang JE, Kim SW, Kim YH, Kim SY, Kim JM, Shin IS,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delirium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1;17:131-9. 

  32. Faris M. Clinical estimation of survival and impact of other prognostic factors o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Oman. Support Care Cancer 2003;11:30-4. 

  33. Reuben DB, Mor V, Hiris J. Clinical symptoms and length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rch Intern Med 1988;148:1586-91. 

  34. Song DS, Yeo CD, Park JM, Sun DS, Hwang HS, Park SA, et al. The prevalence of fatigue in cancer patients at St. Vincent's hospital. Korean J Med 2007;73:512-8. 

  35. Kim JH, Choi YS. The last hours of living: practical advice for clinicians. J Korean Med Assoc 2009;52:697-704. 

  36. Koh SJ, Lee KS, Hong YS, Yoo YS, Park HJ. Clinical chang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tim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99-105. 

  37. Byers TE, Wolf HJ, Bauer KR, Bolick-Aldrich S, Chen VW, Finch JL, et al.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survival after cancer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the National Program of Cancer Registries Patterns of Care Study. Cancer 2008;113:582-91. 

  38. Albano JD, Ward E, Jemal A, Anderson R, Cokkinides VE, Murray T, et al. Cancer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by education level and race. J Natl Cancer Inst 2007;99:1384-94. 

  39. Lee JY, Jang JS, Park YI, Kim NK, Choe CY, Kim WH, et al. The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and tumor draining lymph node lymphocytes in advanced stomach cancer. J Korean Cancer Assoc 1992;24:656-65. 

  40. Walsh SR, Cook EJ, Goulder F, Justin TA, Keeling NJ. Neutrophil-lymphocyte ratio as a prognostic factor in colorectal cancer. J Surg Oncol 2005;91:181-4. 

  41. Sasaki A, Kai S, Endo Y, Iwaki K, Uchida H, Tominaga M, et al. Prognostic value of preoperative peripheral blood monocyte count in patients with colorectal liver metastasis after liver resection. J Gastrointest Surg 2007;11:596-602. 

  42. Hirashima M, Higuchi S, Sakamoto K, Nishiyama T, Okada H. The ratio of neutrophils to lymphocytes and the phenotypes of neutrophil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J Cancer Res Clin Oncol 1998;124:329-34. 

  43. Nakahara Y, Mochiduki Y, Miyamoto Y, Nakahara Y, Katsura Y.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lymphocyte-to-neutrophil ratio in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specimens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Cancer 2005;104:1271-80. 

  44. Lee GJ, Ahn HS, Go SE, Kim JH, Seo MW, Kang SH, et al. Patient's factors at entering hospice affecting length of survival in a hospice center. Cancer Res Treat 2015;47:1-8. 

  45. Son HR, Kim DE, Kang HW, Kim HN, Seo IK, Yoon JY, et al.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aboratory variables and prospective validation of the palliative prognostic index. Korean J Med 2011;81:359-65. 

  46. Hannan JL, Radwany SM, Albanese T.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with very low albumin levels. J Pain symptom Manage 2012;43:631-7. 

  47. Kao YH, Chen CN, Chiang JK, Chen SS, Huang WW. Predicting factors in the last week of survival in elderl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 prospective study in southern Taiwan. J Formos Med Assoc 2009;108:231-9. 

  48. Shin EK, Kim CM, Lee YJ, Yoon JH, Jung HJ, Yoon HS, et al. Association between blood calcium level and survival tim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Korean J Fam Pract 2015;5(Suppl 3):S599-S6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