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29년 순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자경전 정일 진찬 미수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oonjo GichukJinchanEuigwe JagyeongjeonJeongil Misu in 1829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3 no.4, 2018년, pp.322 - 329  

김하윤 (연성대학교 호텔외식경영) ,  김명희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김아현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의 순서에 따라서 음식이 올라가고 내려졌는데, 음식상 중간에, salt water (鹽水), dumpling soup (饅頭), daeseon (大膳), soseon (小膳), tea (茶) 등도 곁들여 올려졌다. 본 논문은 자경전 정일 진찬이라는 왕실의 연회에서 헌수에 따라 차례대로 올리는 미수의 상차림 형태와 조리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ichuk Jinchan Euigwe (기축진찬의궤)의 문헌 미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순조 기축년의 진찬 중 자경전 진찬의 미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축진찬의궤는 효명세자가 순조의 40세 생신과 즉위 30년을 경축하기 위하여 순조를 위해 연향을 올린 연회에 대한 기록이다.
  • 이상으로 기축진찬의궤의 자경전진찬의 미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연회의 의주에 따른 의례절차와 의례식을 행하며 올리는 미수의 음식의 종류와 개수 조리법에 대한 연구이지만 전반적인 의례의 음식에 대한 것을 알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경전 정일진찬에서 대전에게 올린 상차림은 무엇인가? 기축진찬의궤 원문에 실려있는 자경전 정일진찬 반차도 좌석배치는 [Figure 1]과 같다. 자경전 정일진찬에서 대전께 올린 상차림은 Jineochanan (進御味數), JineoByulhangua (進御別行果), Jineomisu (進御味數), Jinyeomsu (進鹽水), Jinyesoseon (進御小膳)), Jinyedaeseon (進御大膳), Jintang (進湯), Jinmandu (進饅頭), Jinda (進茶)였다. 왕비께 올린 상은 내진헌이라 명칭을 붙이는데, 이날 왕비인 순원왕후는 전년도에 어머니 상(喪)을 당하여 내진찬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조선왕조의 연회에서 왕이 실제로 먹는 음식이 별행과나 미수, 염수, 만두 등인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왕조에서 연회의 음식 상차림은 두 종류로 분류하는데, 하나는 신(神)을 위한 상차림인 아가상과 과상 등의 간반이고, 다른 하나는 연회를 받는 주체 대상인 사람(대전, 중전, 세자, 세자빈 등)을 위한 상차림인 별행과(別行果) 미수(味數), 염수(鹽水), 만두(饅頭) 등으로 분류 된다고 한다. 따라서 왕이 실제로 먹는 음식은 별행과나 미수, 염수, 만두 등이었다.
純祖己丑進饌儀軌는 무엇인가? 「SoonjoGichukJinchanEuigwe (純祖己丑進饌儀軌)」는 1829년 순조가 왕에 즉위한지 30년이 되고, 보령 40세를 맞이함을 기념하기 위한 진찬을 기술한 문서이다. JagyeongjeonJeongilJinchan (慈慶殿正日進饌)은 2월 12일에 치러졌는데, 2월 9일 명정전 진찬이 거행된 3일 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n BJ, Han BR, Hwang HS. 2005. One hundred kinds of food we really need to know 1. Hyunamsa; Publishers, Seoul, Korea. pp 101-171 

  2. Han BR, Jeong KJ, Lee HG. 2013. Joobangmoon. Publisher, Gyeonggi-Do, Korea, pp 38-78 

  3. Heo J(許浚). 1610. Dongeuibogam(東醫寶鑑). Seoul University Kyujanggak, Korea 

  4. Hong KH. Sangryebopyeon(國朝喪禮補編). Seoul University Kyujanggak, Korea 

  5. Jae Lee(李縡). 1844. Saryepyeollam(四禮便覽). Seoul University Kyujanggak, Korea 

  6. Jo CS, Park KM, Jang JO, Baek JE, Hong SY, Jyeong NW, Kim TH, Son JU, Kim KJ, Cha KH, Han YS, An SJ, Yeom CA, Lee CJ, Han KS, Kim KY, Choi YJ, Son HS, Baek SE, Heo CO. 1999. HankookUmsikDaegwan, No 2.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Korea, pp 79-97 

  7. Junbuin Andong Gang(貞夫人 安東長氏). Umsikdimibang. In: Han BR. Han BS, Han BJ, editors. 2010. Palace Food laboratory; Publishers, Seoul, Korea, pp 25-80 

  8. Jung KJ, Lee JM, Park EH, Baek JJ. 2008. Bread and sweets of royal. Sopoong ;Publisher, Seoul, Korea, pp 25-58 

  9. Kim AH. 2013. Study on Food Culture of the Royal Banquet in the Soonjo Gichuk Jinchan Euigwe. Doctoral degree thesis, Kyunggi university, Korea, pp 17-144 

  10. Kim S. 2013. An Analysis of Xindingxiashiyizhu(新定夏使儀注) in Jinshi(金史), Journal of Eastern studies, 84:69-104 

  11. Kim SB. 1995. Joseon Dynasty Royal Banquet Euigwe Food. Soohacsa; Publishers, Seoul, Korea. pp 138-254 

  12. Lee YK(李用基). 1924. Jeonsunmussangsinnsikyorijebup(朝鮮 無雙新式料理製法). Korea 

  13. Pinghugak Lee(憑虛閣 李氏). 1809. Kyuhapchonseo(閨閤叢書). National Library of Korea, Korea 

  14. Pinghugak Lee(憑虛閣 李氏). Kyuhapchonseo(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2008. Bojinjea Co., Gyeonggi-Do, Korea, pp 54-112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Kyukonyoram. Umsikbangmoon. Joobangmoon. Brew alcoholic beverages.Kamjeakyeongjangseol. Walyeonongga. Korean traditions Old References Related to Agriculture in Korea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6-75 

  16. Seo UK(徐有). Imwonsibyukji(林園十六志). In: Jo SH, Jeong NW. editor. 2007. Gyomunsa; Publishers, Gyeonggi-Do, Korea, pp 100-111 

  17. Sin SJ(申叔舟), Jung C(鄭陟). 1474. Kukjo-oryeui(國朝五禮儀),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Korea 

  18.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19.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2003. The latter part of Joseon Royal Banquet Culture, No 2. Minsokwon publisher, Seoul, Korea, pp 490-752 

  20. Unknown authorship. Umsikbangmoon In: Han BR, Jeong KJ, Lee HG, Jeong NW, Kim HS. editor. 2007. Gyomunsa; Publishers, Gyeonggi-Do, Korea 

  21. Unknown authorship. 1800. Brew alcoholic beverages, National Library of Korea, Korea 

  22. Unknown authorship. 1896. Kyukonyoram(閨要覽). Yonsei university library, Korea 

  23. Unknown authorship. Gyongguk Daejon(經國大典), Korea. 

  24. Unknown authorship. Siuijeonseo(是全). In: LeeHG. et al 11editor, 2004.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28-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