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 위험의 연관성: 성별차이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Risk of Internet Gaming Disorder in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2, 2018년, pp.79 - 87  

한현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임현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선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현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은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손혜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the risk of Internet gaming disorder according to gender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1,920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at the baseline of the Internet user Coh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 위험의 연관성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에 대해 각각이 어떠한 연관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 발생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인 Internet user Cohort for Unbiased Recognition of gaming disorder in Early Adolescence(iCURE)에서 기저시점에 수집된 자료를 내려받아 분석한 단면 연구이다[22].
  • 본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인 iCURE의 기저시점에 등록된 중학생 1,92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의 연관성에서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친구관계에서 인터넷 게임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중재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 위험의 연관성을 성별로 나누어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 위험의 연관성이 남학생에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에서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 위험의 관련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인 iCURE의 기저시점에 등록된 중학생 1,92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과 인터넷게임장애의 연관성에서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친구관계에서 인터넷 게임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중재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남학생 군에서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이 있는 대상자가 인터넷게임장애 고위험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던 반면, 여학생에서는 두 변인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존재하기 않았다.
  • 학교따돌림 피해 위험 수준 증가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 고위험자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인터넷게임장애 고위험자 비율과 함께 하루 평균 인터넷게임 2시간 이상 이용자의 비율도 종속변수로서 함께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SM-5에서 인터넷 게임장애를 어떻게 진단하라고 제시하였는가? DSM-5[3]에서는 인터넷게임장애 진단 기준을 게임에 대한 집착(preoccupation), 금단(withdrawal), 내성(tolerance), 줄이려는 시도에도 반복적인 실패(loss of control),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게임지속(continued use despite of problems), 취미나 여가활동에 대한 흥미감소(loss of interest and other activities), 사용시간을 속임(deception), 중요한 관계나 직업/교육 기회상실(Jeopardized or lost a relationship, job or educational or career opportunity), 부정적 기분 회피/경감을 위해 인터넷게임을 사용(escape)과 같은 9개 진단 준거 중 지난 1년간 5개 이상이 충족될 때 인터넷 게임장애라고 진단하도록 제시하였다. 하지만 DSM-5에 제시된 진단준거가 확정적인 것이 아니며 진단준거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3].
인터넷게임장애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한편,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인터넷게임장애 청소년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게임을 하는데 소비하여 수면부족으로 인한 발육부진이 발생할 수 있고,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어야 하는 사회적관계의 부족으로 사회성이 결여될 수 있다[4]. 더욱이, 인터넷게임장애는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더 쉽게 빠질 수 있다.
인터넷게임장애가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더 쉽게 빠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더욱이, 인터넷게임장애는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더 쉽게 빠질 수 있다. 왜냐하면 청소년기 발달과정에 있는 뇌 영역 중 변연계 영역은 전두엽 영역에 비해 빠르게 발달한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기에는 생리적 욕구나 충동성의 지배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게 되고, 판단 능력과 통제력이 성인에 비해 약해 인터넷게임장애에 더 빠지기 쉬운 상태에 놓여있다[5]. 또한,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극심한 압박을 받는 환경에 놓여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취미, 문화 활동의 접근성이 성인에 비해 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6 Survey on the internet usage[internet].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6 [cited 2017 March 15]. Available from: https://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60100&bbsId7&itemId817&searchKey&searchTxt&pageIndex1. 

  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Internet]. Dae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cited 2017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8390&deptCode'&parentSeq18390. 

  3. Associatio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p. 795-798. 

  4. Park HS, Kwon YH, Park KM. Factors on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5):754-761. https://doi.org/10.4040/jkan.2007.37.5.754 

  5. Steinberg 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005;9(2):69-74. https://doi.org/10.1016/j.tics.2004.12.005 

  6. Kim JY, Lee H, Kim JM.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internet-game addi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 Focused on the male game addiction group among adolescents -. Family and Culture. 2015;27(3):126-152. https://doi.org/10.21478/family.27.3.201509.005 

  7. Park BS, Park S.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friend and teacher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6;36(1):61-88. https://doi.org/10.15709/hswr.2016.36.1.61 

  8. Ju YH, Lim SH. Effects of stress coping behaviors o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6;29(3):226-234.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226 

  9. Kweon YR, Park MS.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o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2):99-107. https://doi.org/10.12934/jkpmhn.2012.21.2.99 

  10. Milani L, La Torre G, Fiore M, Grumi S, Gentile DA, Ferrante M, et al. Internet gaming addiction in adolescence: risk factors and maladjustment correl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2017;e:1-17. https://doi.org/10.1007/s11469-017-9750-2 

  11. Dong G, Potenza MN.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internet gaming disorder: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clinical implication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14;58(1):7-11.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4.07.005 

  12. Sampasa-Kanyinga H, Roumeliotis P, Xu H. Associations between cyberbullying and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among canadian schoolchildren. Plos One. 2014;9(7):e10214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02145 

  13. Olweus D. Victimization by peers: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enneth H, Jens B, Jens. editors.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1993. p. 315-341. 

  14. Cook CR, Williams KR, Guerra NG, Kim TE, Sadek S. Predictor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10;25(2):65-83. https://doi.org/10.1037/a0020149 

  15. Fink G. Stress: definition and history. In: Squire, Larry R, editors. Encyclopedia of neuroscience. Oxford, OX: Academic Press; 2009. p. 549-555. 

  16. Patricia A. Stress and trauma.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2014. p. 1-10. 

  17. Choi JO. Internet game addi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violence and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3;8(6):175-184. 

  18. Lee G.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tress coping style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26(1):34-44. 

  19. Dong G, Wang Z, Wang Y, Du X, Potenza MN. Gender-related functional connectivity and craving during gaming and immediate abstinence during a mandatory break: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internet gaming disorder.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and Biological Psychiatry. Forthcoming. 2019 January 10. https://doi.org/10.1016/j.pnpbp.2018.04.009 

  20. Lee YH, Yoo SH. A study on influencing internet game addiction to need dissatisfac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entered on mediated effect of impulsivenes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2;40(4):57-85. 

  21. Kim K, Youm Y. Game use and school life of korean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753-76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53 

  22. Jeong HS, Yim HW, Jo SJ, Lee SY, Kim E, Son HJ, et al. Study protocol of the internet user cohort for unbiased recognition of gaming disorder in early adolescence (iCURE), Korea, 2015-2019. BMJ Open. 2017;7(10):e018350. https://doi.org/10.1136/bmjopen-2017-018350 

  23. Jo SJ, Yim HW, Lee HK, Lee HC, Choi JS, Baek KY. The internet game use-elicited symptom screen proved to be a valid tool for adolescents aged 10-19 years. Acta Paediatrica. 2018;107(3):11-516. https://doi.org/10.1111/apa.14087 

  24. You S, Jung E.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games in youth focusing on the heavy users. Studies on Korean Youth. 2001;12(1):35-63. 

  25.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0;29(4):943-956. 

  26. Yang JW, Kim YJ, Kim HS, Shin KM, Shin YM.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reports on depression and parents assessment of children's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2;23(2):76-81. https://doi.org/10.5765/jkacap.2012.23.2.76 

  27. Seo S, Kwon S.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21(2):487-501. 

  28. Veltri N, Krasnova H, Baumann A, Kalayamthanam N. Gender differences in online gaming: a literature review. Twentieth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2014 August 7-9; Savannah International Trade & Convention Center. Savannah, GA: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2014. p. 3884-3894. 

  29. Glew GM, Fan M-Y, Katon W, Rivara FP, Kernic MA. Bullying, psychosocia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05;159(11):1026-1031. https://doi.org/10.1001/archpedi.159.11.1026 

  30. Ingalhalikar M, Smith A, Parker D, Satterthwaite TD, Elliott MA, Ruparel K, et al. Sex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connectome of the human bra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4;111(2):823-828. https://doi.org/10.1073/pnas.1316909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