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의 현장 적용 및 평가
Field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based on Dietary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4, 2018년, pp.277 - 288  

이혜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judgment criteria setting of a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based on dietary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Methods: A total of 474 middle-aged women who visited the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at Hanmaeum Hospital in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건강과 보건에 관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도구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보를 통해 본 연구진이 개발한 20문항으로 구성된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보고하였으며[12],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현장 적용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판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의 현장 적용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판정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0.
  • 이에 본 연구진은 전보[12]에서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건강과 보건에 관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판정 도구의 현장 적용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판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이라는 현상을 겪으면서 대사증후군 위험률이 상승하며, 폐경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요소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크다고 보고된 바 있어 폐경 전과 후에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18, 19, 26]. 이러한 연구 보고들은 대사증후군이 건강상태에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발병 유무를 판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임상 지표로 설정하여 판정 도구와 임상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도구 점수는 대사증후군이 없는 군의 점수가 대사증후군이 있는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p<0.
  • 특히 중년 여성들의 경우 폐경과 함께 오는 여러 가지 신체적인 변화로 노화를 실감하게 되고 만성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취약집단으로 노년기를 맞이하기 전에 성공적인 노년을 준비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24, 25]. 이에 본 연구진은 전보[12]에서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건강과 보건에 관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판정 도구의 현장 적용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판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건강과 보건에 관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도구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보를 통해 본 연구진이 개발한 20문항으로 구성된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를 보고하였으며[12],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현장 적용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판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과 관련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건강과 관련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은 이미 다수의 연구를 통해 강조되고 있는데, Cho 등[2]은 건강상태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한국 노인에서의 특징적인 중재 지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하여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Koh 등[5]은 건강상태 평가 도구의 활용은 제한된 비용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고자 하거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으며, Kang[1] 의 연구에 따르면 흡연, 신체활동 저하, 낮은 식사의 질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의 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생활습관을 평가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건강과 관련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은 이미 다수의 연구를 통해 강조되고 있는데, Cho 등[2]은 건강상태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한국 노인에서의 특징적인 중재 지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하여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Koh 등[5]은 건강상태 평가 도구의 활용은 제한된 비용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고자 하거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으며, Kang[1] 의 연구에 따르면 흡연, 신체활동 저하, 낮은 식사의 질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의 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생활습관을 평가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더욱이 건강 상태는 환경적 배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개발된 도구를 단순히 번역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우리나라의 생활환경적인 요소들과 그리고 연령의 특성을 고려한 도구의 사용이 강조되고 있다[6].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중점을 두기위한 효율적인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 건강에 대한 국가 보건 정책의 방향은 질병의 치료에 중점을 두었던 과거와는 달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는 추세이다[1]. 이에 따라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첫 단계로 현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 결과에 따라 건강 증진 및 관리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2]. 특히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양식은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이들을 포괄한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Kang S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 17(4): 487-497. 

  2. Cho BL, Son KY, Oh BJ, Kim SJ, Kwon IS, Park BJ et al. Development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s for geriatric ambulatory care. J Korean Geriatr Soc 2013; 17(1): 18-27. 

  3. Kant AK, Schatzkin A, Ziegler RG.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cause-specific mortality in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J Am Coll Nutr 1995; 14(3): 233-238. 

  4. Drewnowski A, Henderson SA, Shore AB, Fischler C. Diet quality and dietary diversity in France: implications for the French paradox. J Am Diet Assoc 1996; 96(7): 663-669. 

  5. Koh SB, Chang SJ, Kang MG, Cha BS, Park J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7; 30(2): 251-266. 

  6. Park HS, Sung SW, Ou SW, Lee KY, Kim BS, Han JH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J Korean Med Obes Res 2003; 12(4): 280-293. 

  7. Park HS, Kim SK, Cho GY.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3; 9(4): 479-488. 

  8. Afshari P, Barzin P, Najar S, Haghighizade M.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 middle-aged women. Jundishapur J Chronic Dis Care 2014; 3(4): e23347. 

  9. Black PA. A smooth start to a new age: Helping women cope with the menopause. Prof Nurs 1991; 6(7): 409-413. 

  10. Shin HM, Jee SH, Kim JH, Kim MR. The influence on cardiovascular mortality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2; 18(1): 6-14. 

  11. Jung JJ, Kim NC. Risk factors, subjective symptoms, knowledge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reventive health practices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6; 12(1): 29-36. 

  12. Lee HJ, Lee KH.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dietary pattern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37-52. 

  13. Levesque J, Lamarche B. The metabolic syndrome: definitions, prevalence and management. J Nutr Nutr 2008; 1(3): 100-108. 

  14. Shin HM, Jee SH, Kim JH, Kim MR. The influence on cardiovascular mortality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2; 18(1): 6-14. 

  15. Mottillo S, Filion KB, Genest J, Joseph L, Pilote L, Poirier P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Coll Cardiol 2010; 56(14): 1113-1132. 

  16. Trevisan M, Liu J, Bahsas FB, Menotti A. Syndrome X and mortality: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Epidemiol 1998; 148(10): 958-966. 

  17.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 24(4): 683-689. 

  18. Park YW, Zhu S, Palaniappan L, Heshka S, Carnethon MR, Heymsfield SB.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 finding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 Intern Med 2003; 163(4): 427-436. 

  19. Hu G, Qiao Q, Tuomilehto J, Balkau B, Borch-Johnsen K, Pyorala K.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 to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nondiabetic European men and women. Arch Intern Med 2004; 164(10): 1066-1076. 

  20. Grundy SM, Becker D, Clark LT, Cooper RS, Denke MA, Howard J et al.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2002; 106(25): 3143-3421.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cited 2013 May 1]. Available from: http://iris.wpro.who.int/bitstream/handle/10665.1/5379/0957708211 _eng.pdf. 

  22. Jung HY, Sung KM. The development of healthy aging scale for middle aged women: convergent approach. J Digit Converg 2018; 16(5): 361-372. 

  23. Lee EH, Choi SS, So AY. A study on women's health status for setting up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and developing health program.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9; 5(1): 146-165. 

  24. Jeong GH, Yang SO, Lee KO, Pye OJ, Lee M, Baik SH et al. Bone mineral density,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3; 9(2): 170-178. 

  25. Kim JH, Mun HS.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J Korean Acad Nurs 2006; 36(3): 449-456. 

  26. Lin JW, Caffrey JL, Chang MH, Lin YS. Sex, menopause, metabolic syndrome,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cohort analysi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Clin Endocrinol Metab 2010; 95(9): 4258-4267. 

  27. Kim JS, Cho BL. Associ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behavior in routine health examines. Korean J Fam Med 2010; 31(9): 688-696. 

  28. Nuotio M, Tammela TL, Luukkaala T, Jylha M. Association of urgency symptoms with self-rated health, mood and functioning in an older population. Aging Clin Exp Res 2007; 19(6): 465-471. 

  29. Lee HJ, Chung YJ, Kim HJ, Suh HS, Lee HS, Shim KW et al. Determinants of self-assessed health among elderly adults. J Korean Acad Fam Med 2002; 23(10): 1210-1218. 

  30. Johnson RJ, Wolinsky FD. The structure of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disease, disability, functional limitation, and perceived health. J Health Soc Behav 1993; 34(2): 105-121. 

  31. Kim JH, Jin YS, Park JT, Jee YS, Kim KS, Lee 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999; 16(1): 83-100. 

  32. Ahn CS. A study on correlation among physical fitness, diet intakes and serum lipid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Food Nutr 1993; 6(4): 255-267. 

  33. Katzmarzyk PT, Gagnon J, Leon AS, Skinner JS, Wilmor JH, Rao DC et al. Fitness, fatness, and estimate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the heritage family study. Med Sci Sports Exerc 2001; 33(4): 585-590. 

  34. Lee KJ, Chang CJ, Yoo JH, Yi YJ.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2005; 35(3): 494-502. 

  35. Suh JA, Lee KA. A study on feminist approach of cognitive psychology to menopause experiences. Korean J Woman Psychol 2002; 7(1): 15-28. 

  36. Park SE, Kim HM, Kim DH, Kim J, Cha BS, Kim DJ.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and 2005. Obesity 2009; 17(4): 767-771. 

  37. Gottlieb DJ, Redline S, Nieto FJ, Baldwin CM, Newman AB, Resnick HE et al.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006; 29(8): 1009-1014. 

  38. Dew MA, Hoch CC, Buysse DJ, Monk TH, Begley AE, Houck PR et al. Healthy older adults' sleep predicts all-cause mortality at 4 to 19 years of follow-up. Psychosom Med 2003; 65(1): 63-73. 

  39. Yaggi HK, Araujo AB, McKinlay JB. Sleep duration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6; 29(3): 657-661. 

  40. Lam JCM, Ip MSM. Sleep & the metabolic syndrome. Indian J Med Res 2010; 131(2): 206-216. 

  41. Oh JD, Lee SY, Lee JG, Kim YJ, Kim YJ.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Med 2009; 30(2): 120-128. 

  42. Park HS, Oh SW, Cho SI, Choi WH, Kim YS.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ults. Int J Epidemiol 2004; 33(2): 328-336. 

  43. Hong Y, Pedersen NL, Brismar K, de Faire U. Genetic and environmental architecture of the features of the insulinresistance syndrome. Am J Hum Genet 1997; 60(1): 143-152. 

  44. Gaziano JM, Buring JE, Breslow JL, Goldhaber SZ, Rosner B, VanDenburgh M et al. Moderate alcohol intake, increased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and its subfractions, and de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1993; 329(25): 1829-1834. 

  45. Djousse L, Arnett DK, Eckfeldt JH, Province MA, Singer MR, Ellison RC. Alcohol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does the type of beverage matter? Obes Res 2004; 12(9): 1375-1385. 

  46. Lee KS, Park CY, Meng KH, Bush A, Lee SH, Lee WC et al. The associa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with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en from Seoul, Korea. Ann Epidemiol 1998; 8(1): 31-38. 

  47. Facchini F, Chen YD, Reaven GM. Light-to-moderate alcohol intake is associated with enhanced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Care 1994; 17(2): 115-119. 

  48. Jung JW, Shin HC, Park YW, Kim CH, Cheong SY, Sung EJ.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35-64 years old clients of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in on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4(1): 10-17. 

  49. Lee MS.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isk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aged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6): 695-705. 

  50. Park JK, Kweon SH, Kim YH, Jang MJ, Oh KW.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64-675. 

  51. Yoo JS, Jeong JI, Park CG, Kang SW, Ahn JA.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Nurs 2009; 39(4): 594-601. 

  52. Chung HK, Kang JH, Shin MJ.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in Korean women according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94-703. 

  53. Seo KH, Lee HJ, Lim BD, Choi YJ, Oh HM, Yoon JS. Association of nutritional status with obesity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hypertensive elderly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831-845. 

  54. Jovanovic GK, Zezelj SP, Malatestinic D, Sutic IM, Stefanac VN, Dorcic F. Diet quality of middle age and older women from Primorsko-Goranska county evaluated by healthy eating index and association with body mass index. Coll Antropol 2010; 34(2): 155-160. 

  55. Freire RD, Cardoso MA, Gimeno SG, Ferreira SR. Dietary fat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Japanese Brazilians. Diabetes Care 2005; 28(7): 1779-1785. 

  56. Devaraj S, Wang-Polagruto J, Polagruto J, Keen CL, Jialal I. High-fat, energy-dense, fast-food-style breakfast results in an increase in oxidative stress in metabolic syndrome. Metabolism 2008; 57(6): 867-870. 

  57. Yoo HJ, Kim Y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2008; 41(6): 510-517. 

  58. Grynberg A. Hypertension prevention: from nutrients to (fortified) foods to dietary patterns: Focus on fatty acids. J Hum Hypertens 2005; 19(3): S25-33. 

  59. Hoffmann IS, Cubeddu LX. Salt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9; 19(2): 123-128. 

  60.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 Prev Vet Med 2000; 45(1-2): 2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