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 건강검진에서 허실 변증 진단 설문지 개발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2 no.3, 2018년, pp.171 - 177  

장은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윤지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The number of subjects enrolled in this study was 248, from July 2015 to March. 2016. The surveys was conducted two times with 3 month interval. The Cronbach'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허실이라는 특성이 병리적 현상으로 질병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또한 정기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허실을 지수화 하여 허실지 수가 만성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새로운 후보지표를 발굴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가진다.
  • 본 설문은 일반인구집단의 검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허실이라는 특성이 병리적 현상으로 질병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또한 정기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을 평가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검진에 활용할 수 있는 허증 및 실증 설문지 개발을 위해 일반인구집단에 속하는 대학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허실 설문지의 문제를 파악하여 일반인 대상 검진용 허실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상을 기준으로 허실을 판단할 수 있는 설문지의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를 평가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는 비슷한 연구결과인 한열설문지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비해 다소 부족하긴 하지만37) 기존의 허실 설문지에 비해 진일보한 결과라 생각한다.
  • 다음으로, 허증과 실증 설문지 각각의 구조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본 설문지의 구성지표가 기혈진액의 허실지표로 이루어져있어, 이들 구성이 적절하게 묶이는지를 확인코자 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허실 설문지의 문제를 파악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검진용 허실 설문지를 개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증이란 무엇인가? 한의진단분야에서는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의 네 가지 방법을 통해 임상정보를 수집한 후 사유와 추론의 과정을 거쳐 진단을 하게 된다1). 증(症)과 징(徵)에 대한 임상정보 수집 후 사유와 추론을 통해 병의 위치, 원인, 상태, 성질 등을 결정하는 행위를 변증(Pattern Identification; PI)이라 한다2).
한의진단분야의 진단 과정은 어떠한가? 한의진단분야에서는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의 네 가지 방법을 통해 임상정보를 수집한 후 사유와 추론의 과정을 거쳐 진단을 하게 된다1). 증(症)과 징(徵)에 대한 임상정보 수집 후 사유와 추론을 통해 병의 위치, 원인, 상태, 성질 등을 결정하는 행위를 변증(Pattern Identification; PI)이라 한다2).
허실변증 설문지 개발에 대한 연구 중 허실설문지의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허실설문지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허증과 실증의 동시성, 문헌에서의 허/실 증상 부족, 실증 증상의 부실함과 대상자 부족 등이 원인으로 제시된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Lee BK, Park YB, Kim TH. Oriental medicine diagnostics. Seoul: Sungbosa. 2012; p 349. 

  2.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Geneva: WHO Press;2013. 

  3. Jang ES, Kim YY, Lee EJ, Yoo HR, Jung IC. Review on the development state and utiliz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in Korean medicine by U code of 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30(2):124-30. 

  4. Son JH, Kim JS, Park JW, Ryu BH. A Proposal for Standardization of Tongue Diagnosis Based on Diagnostic Criteria of Tongue Coating Thickness. Korean J, Oriental Med. 2012;33(1):1-13. 

  5. Kim JH. A Comparative Research of Eight Principle Pattern Identification - based on Zhang Jie-Bin, Cheng Guo-Peng, and Jiang Han-Tun-.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3;26(2):47-59. 

  6. Choi JY, Lee JS, Jeong SY, Lee JS, Lee KY, Jeong SY, Lee KK, Jung HJ, Rhee HK, Jung SK. An Analysis of Therapeutic Effects of Gamichuongsangboha-tang in 30 Asthmatics Based on Criteria for Defiency-Excess Differentiating Syndromes of Asthm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4;25(3):379-87. 

  7. The division of Korean medical pathology in Korea. Pathology of Korean Medicine. Seoul. Iljungsa. 2004;186-436. 

  8. Na CS, Kang JS, Kwon YG, Kim KJ, Kim KO, Kim DH. et al. Chongkang of Korean medicine. 5th ed. Eusungdang. 2013. 

  9.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KIOM). Development of diagnostic guide of Mibyeong in Integrated medicine. Daejeon:KIOM. 2013. 

  10. Lee J, Dong SO, Lee Y, et al. Recogni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ibyeong(sub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 web-based survey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4;3(2):60-6. 

  11. Kim KH. Survey using Questionnaire.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14;12-20, 

  12. Jang ES, Lee EJ, Yun YG, Park YC, Jung IC. Suggestion of Standard Process in Developing Questionnaire of Pattern Identific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30(3):190-200. 

  13. Kwon OS, Kim JE, Lee JW, Seo CW, Han HY, Hong SH. Analytic Study of Diagnostic Validity by the Measure of Cold-Heat & Deficiency-Excess for Oriental Medical Examin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9;23(1):180-5. 

  14. Cho HS, Bae GM. Research in Developing Diagnosis Questionnaires on Cold Heat, Deficiency and Exces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9;23(2):288-93. 

  15. Ryu HH, Jang ES, Lee SW, Lee GS, Kim JY. Study on Deficiency-Excess Pattern Questionnaire Development Possibility. Korea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9;23(3):534-9. 

  16. Ryu JM, Yoon SH, Lim JJ, Han SY, Jang SY, Kim HK, Lee JS, Kim JS, Ryu BH, Ruy KW. The Usefulness of Electrogastrography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Deficiency or Excess Condi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 J of Oriental Int Med. 2004;25(4-2):346-55. 

  17. Heo EJ, Lee SW, Jeon WK, Lyu YS, Kang HW. The Evaluation of Instrument for Cold-Heat &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of Dementi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5;26(3):283-92. 

  18. Lee IS, Park KE, Hong HJ, Song IJ, Sung KK, Lee SK. Correlation between Post-Stroke Depression and Cold, Heat,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s. Korean J Orient Int Med. 2014;35(1):50-8. 

  19. Kim SY, Lee JS, Oh DS, Kang BK, Ko MM, Kim JC, Kwon SB, Bang O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tandard of Pattern Identification (II)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Korean J of Physiology and Pathology. 2010;24(1):15-21. 

  20. Kim SC, Lee JD, Lee SK, Lee SY, Moon HC, Choi SM, Chung YH. The Study on the Questionnaire Analysis and Agreement Diagnosis of the Same Patients Using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 on Chronic Knee Joint Pain Including Osteoarthritis of Knee Joint. The J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6;23(1):71-93. 

  21. Ryu HH, Lee HJ, Jang ES, Choi SM, Lee SG, Lee SW. Study on Development of Cold-Heat Pattern Questionnaire.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08;22(6):1410-5. 

  22. Yang KS et al. The Standardized Research of Korean Medical Diagnostic Name and Diagnostic Condition(I). Korean Institution of Korean Medicine. 1995. 

  23. Yang KS et al. The Standardized Research of Korean Medical Diagnostic Name and Diagnostic Condition(II). Korean Institution of Korean Medicine. 1995. 

  24. Yang K.S. et al. The Standardized Research of Korean Medical Diagnostic Name and Diagnostic Condition(III). Korean Institution of Korean Medicine. 1995. 

  25. Moon JS, Park KM, Choi SM.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Software for Health Examination in Oriental Medicine. Korean Institution of Oriental Medicine. 2007;13(2):135-42. 

  26. Han SY, Kim JH, Ryu JM, Jang SY. Kim HL, Kee JS et al. Analysis of Symptom Pattern through Comprehensive Diagnosis of Qui Xui Shui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2):224-37. 

  27. Kim SH, Chang YS, Jeong SG, Kim JS, Yoon SW, Jang KY et al. Study on Development of Assessment Guideline and Endpoints for Clinical Trial with Antitumor Natural Products. Korea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6;20(6):1678-727. 

  28. Park YJ, Park JS, Kim MY,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Phlegm Pattern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1;17(9). 

  29. Kim BS, Lee CI, Han SD. Health Program for increasing Physical fitness of the faculties in Hallim University.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1994;22:263-72. 

  30. Kim JY, Lee SW, Jang ES, Baek YH. The Effect of Lifestyle on Mibyeong for University Employee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7;31(3):194-9. 

  31. Jang WW, Jung KL, Jan YS, Soo YK, Woo SS, Park HK. The Development of 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QUOLS)-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3):382-94. 

  32. Hwang IH. Research Methods of Question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4;15(1):30-5. 

  33. Hair JF Jr.,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5. 

  34. Kang HC.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3;43(5):587-94. 

  35. YEO W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for Social Science & Marketing. Minyoungsa. 2000;139-41. 

  36. Rosenthal R, Rosnow RL. Essentials of behaviou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New York: McGraw Hill. 1991. 

  37. Cho JK. Analysis of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opening of oriental medicine market.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98:76-93. 

  38. Yeo MK, Park KH, Bae KH, Jang ES, Lee YS. Development on the Questionnaire of Cold-Heat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Usual Symptoms for Health Promotion-Focused on Reliability Study.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30(2):11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