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긍정적/교정적 피드백 제공비율이 안전행동 및 피드백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sitive/Corrective Feedback Ratio on Safety Behavior and Feedback Acceptanc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4, 2018년, pp.72 - 77  

임성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of which the focus on human factors is behavior based safety(BBS). The BBS provides positive feedback on safety behavior and corrective feedback on unsafe behavior. Determining the feedback ratio of positive and correct feedback is an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피드백과 교정적 피드백의 제공 비율이 안전행동 그리고 피드백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피드백은 두 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올바르게 수행한 과제의 수, 규칙 준수행동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 비율(1:1 vs.
  • 종합하면, 산업안전 분야에서 피드백 비율에 관한연구가 매우 제한적이고 상대적으로 긍정적 피드백의 비율이 낮은 피드백 비율의 효과 검증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추가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피드백 비율(1:1 vs. 1:4)이 수행, 규칙 준수행동 비율 그리고 피드백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드백이란? 피드백은 개인이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수행에 대한 정보로 정의 된다7). 일반적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공된 피드백은 수행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함께 평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객관적인정보만 제공하는 것보다 평가적 요소가 포함된 피드백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8).
직접적으로초점을 맞춘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접근법이 출현하게된 이유는? 공학적 접근법은 사고위험이 있는 노후화된기계를 교체하거나 안전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방법이며, 정책적 접근법은 법적 근거를 통해 안전에 대한 규칙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는 방법이다3). 하지만, 기존 접근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인적 요인에 중점을 둔 접근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4). 이를 바탕으로 노동자의 안전 행동에 직접적으로초점을 맞춘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접근법이 출현하게 되었다4).
행동기반 안전관리의 는 어디에 중점을 둔 기법들이 포함되어 있나? 행동기반 안전관리는 안전/불안전행동에 대한 목표설정(goal-setting), 피드백(feedback), 보상(incentive), 훈련(training), 셀프 모니터링(self-monitoring) 등의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둔 다양한 기법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피드백은 행동기반 안전관리 분야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며, 효과성이 입증되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2018.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2016. 

  3. K. S. Moon, K. H. Lee, J. H. Lee and S. Z. Oah,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 Field Stud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No.2, pp. 349-372, 2012. 

  4. S. J. Lim, D. Y. Yoon, K. S. Moon and S. Z. Oah, "The Effect of Subjective Overwork on Health: Moderate Effect of Risk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afety, Vol. 32, No. 6, pp. 116-124, 2017. 

  5. Sulzer-Azaroff. B.,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505-538, 1982. 

  6. K. E. Noh, S. Z. Oah and K. S. Moon,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on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and Passengers: A Field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afety, Vol. 33, No. 1, pp. 109-117, 2018. 

  7. A. C. Daniels and J. S. Bailey, "Performance Management: Changing Behavior that Driv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ubrey Daniels International Inc, 2014. 

  8. D. A. Johnson, "A Component Analysis of The Impact of Evaluative and Objective Feedback on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33, No. 2, pp. 89-103, 2013. 

  9. D. O'hora and K. A. Maglieri, "Goal Statements and Goal-directed Behavior: A Relational Frame Account of Goal Setting in Organiz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26, No. 1-2, pp. 131-170, 2006. 

  10. F. Anseel and F. Lievens, "The Long? Term Impact of the Feedbac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 Field Study in a Belgian Context", Applied Psychology, Vol. 56, No. 2, pp. 254-266, 2007. 

  11. D. R. Ilgen, C. D. Fisher and M. S. Taylor, "Consequences of Individual Feedback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4, No. 4, pp. 349, 1979. 

  12. J. H. Lee, and S. Z. Oah,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Praise and Punishment for Improving Safety Behavio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2, No. 3, pp. 21-26, 2010. 

  13. L. G. Grimm, "The 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and Self-reward: A Test of Kanfer's Self-regulation Model"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7, No. 3, pp. 245-250, 1983. 

  14. T. Matsui, A. Okada and O. Inoshita, "Mechanism of Feedback Affecting Task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31, No. 1, pp. 114-122, 1983. 

  15. R. L. De Pry and G. Sugai, "The Effect of Active Supervision and Pre-correction on Minor Behavioral Incidents in a Sixth Grad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Vol. 11, No. 4, pp. 255-267, 2002. 

  16. T. E. McSween, "The Values-based Safety Process: Improving Your Safety Culture with a Behavioral Approach", Hoboken, NJ: Van Nostrand Reinhold, 2003. 

  17. E. S. Geller, "The Psychology of Safety Handbook", CRC press, 2016. 

  18. F. G. Ashby and J. R. B. O'Brien, "The Effects of Positive Versus Negative Feedback on Information-integration Category Learn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Vol. 69, No. 6, pp. 865-878, 2007. 

  19. C. H. Madsen and C. K. Madsen "Teaching: Discipline: Behavioral Principles Toward a Positive Approach", Boston, MA: Allyn and Bacon, 1970. 

  20. R. P. Trussell, "Classroom Universals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Vol. 43, No. 3, pp. 179-185, 2008. 

  21. M. Losada and E. Heaphy, "The Role of Positivity and Connectivity i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Teams a Nonlinear Dynamics Mode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7, No. 6, pp. 740-765, 2004. 

  22. J. Pisacreta, M. Tincani, J. E. Connell and S. Axelrod, "Increasing Teachers' use of a 1: 1 Praise to Behavior Correction Ratio to Decrease Student Disruption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Behavioral Interventions, Vol. 26, No. 4, pp. 243-260, 2011. 

  23. R. J. Vance and A. Colella, "Effects of Two Types of Feedback on Goal Acceptance and Personal Goa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5, No. 1, pp. 68-76, 1990. 

  24. A. A. Nease, B. O. Mudgett and M. A. Quinones, "Relationships Among Feedback Sign, Self-efficacy, and Acceptance of Performance Feedbac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4, No. 5, pp. 806-814, 1999. 

  25. J. Lee and S. Oa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Incentive and Penalty Procedures on Work Performance: A Simul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35, No. 3-4, pp. 336-345, 2015. 

  26. B. L. Fredrickson and M. F. Losada,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60, No. 7, pp. 678-68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