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객실승무원의 안전지각과 안전행동 향상을 위한 연구: 항공사 안전 분위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Perception and Safety Action of Cabin Crews: Focusing on the Airlines Safety Climat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6, 2019년, pp.76 - 87  

박희정 (신라대학교 항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cabin crew's safety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airline's safety climate and cabin crew's safety action and to verify that the safety perception's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l three factors of the safety climate have a signif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항공사의 안전 분위기가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업무 수행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구성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서 객실승무원의 안전지각과 안전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하고자 한다.
  • 또한 항공사가 실행하는 안전 분위기와 객실승무원의 안전업무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에 대학 지각태도가 매개효과를 수행하는지를 검증함으로서 객실승무원의 효과적인 안전업무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렇듯 항공사 스스로 안전을 경영의 제 1원칙으로 두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유지하기위해 필요한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것을 적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항공사가 추구하는 안전 분위기가 객실승무원의 기내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업무 수행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실행하였다. 또한 항공사가 주체가 되어 구축된 안전 분위기와 객실승무원의 인식하는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에 대한 높은 지각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검증함하고자 실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된 연구 결과와 그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항공사의 안전 분위기가 객실승무원의 안전지각과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완성된 안전업무 수행에 있어서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2019년 5월 1∼31일 동안 국내의 대형⋅저가항공사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 이렇듯 항공사 스스로 안전을 경영의 제 1원칙으로 두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유지하기위해 필요한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것을 적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항공사가 추구하는 안전 분위기가 객실승무원의 기내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업무 수행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실행하였다. 또한 항공사가 주체가 되어 구축된 안전 분위기와 객실승무원의 인식하는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에 대한 높은 지각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검증함하고자 실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항공사의 안전 분위기는 객실승무원의 안전지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항공사의 안전 분위기는 객실승무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지각은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기 위해 다음의 가설 3을 설정하였다. 가설 3: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지각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항공사의 안전 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안전지각은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250의 간접효과를 미친다는 결과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안전 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실증적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 4를 채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 산업의 역할은 무엇인가? 항공 산업은 호텔, MICE, 정보통신, 기계기술 등 여러 산업의 발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산업 발전과 경제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1).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에 따르면 한국 항공 산업능력은 세계 7위로 83만개의 일자리의 창출하고 있으며 2036년에는 항공여객 시장 중 세계 10대에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견됨으로서, 한국 항공 산업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과 발전 가능성에 높은 기대를 표현하고 있다2).
Mohamed et al가 공정 산업의 안전분위기를 위해 제시한 것은? Mohamed et al16)은 아랍 에미레이트의 석유 공제 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중심으로 공정 산업의 안전분위기가 공정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공정사가 직원에게 제공하는 안전훈련과 직원의 안전성과에 대한 보상 및 안전한 작업환경 제공에 대한 안전 분위기의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로자가 업무 수행 중 안전을 최우선으로 인식하고 위험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안전에 대한 최고 경영진의 약속수행, 최고 경영 안전 실행 및 감독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안전 분위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안전 분위기는 조직 내부에 안전과 연계된 경영정책⋅실행절차⋅업무관행에 대한 조직원들의 일치된 인식으로 정의되며, 이것은 안전문화가 조직의 경영운영에 있어서 시스템적인 분야와 관련된 것으로 안전과 관련된 근본적인 가치나 기대수준으로 인식된다면 안전 분위기는 보다 시각적으로 예측 가능한 성향으로 주로 조직원들의 이해나 실행태도를 반영한 것을 의미 한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 K. Han, "Big Data Analytics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 based on Reviews of Airline Industry in the Asia",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9. 

  2. The Shina Newspaper, 2 Jun, 2019. 

  3. The KBS NEWS, 20 March, 2019. 

  4. The Digital Times, 28 Jun, 2019. 

  5. Air busan Homepage, 2019. 

  6. T'way Air Homepage, 2019. 

  7. H. J. Kim and K. U. Lim,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of Low-cost Airline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Cabin Crew",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32, No. 8, pp. 19-38, 2018. 

  8. Y. M. Park, "The Effect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Human Service on Customer Embedded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31, No. 9, pp. 107-128, 2017. 

  9. J. M. Park, "Study on How Internal Marketing of Airlines Affects the Cabin Crews' Affective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 Focused on Rank Differential",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Master's thesis, 2015. 

  10. D. H. Lee, "Mediating Effects of Brand Awareness on Low Cost Carriers Service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J.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 16, No. 6, pp. 48-69, 2018. 

  11. J. R. Ju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orean Flight Attendant's Communication skill in Chinese Airline o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Repurchase : case of Korean Passenger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Master's thesis, 2013. 

  12. J. H. Hwang, "Study on How Internal Marketing of Airlines Affects the Cabin Crews'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 Conducted on the K Airline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Master's thesis, 2016. 

  13. W. S. Jeon, "(A) Study Overcome Aircraft Accident Caused by Human Error", G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9. 

  14. J. A. O, "(A)A study on Causality between a Cabin Accident Rate and a Work Achievement by Briefing Style",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9. 

  15. P. E. Bhavana, A. E. Albert, Y. T. Patil and A. J. Bayati, "Impact of Safety Climate on Hazard Recognition and Safety Risk Perception", J. Safety Science, Vol. 113, No. 2, pp. 44-53, 2019. 

  16. A. A. Mohamed, M. O. Khalid, R. D. Icon and S. R. Balan, "Modeling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on Process Safety in a Modern Process Industry: The case of the UAE's Oil-refining Industry", J. Cogent Business & Management , Vol. 6, No. 1, pp. 164-189, 2019. 

  17. T. N. Mohammad, D. E. Peter, M. E. Jefferies and M.T. Pillay, "Using a Psychological Contract of Safety to Predict Safety Climate on Construction Sites", J. Safety Research, Vol. 68, No. 1, pp. 9-19, 2019. 

  18. H. J. Rue,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nsciousness level in Construction site on Workers' Safety Behavior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6. 

  19. M. E. Mingxue, W. T. Vivian, H. E. Zhiyu, C. S. Michael and S. E. Liyin, "Evaluation of Workplace Safety Performance in the Chinese Petroleum Industry", J. Safety Research, Vol. 11, No. 11, pp. 1904-1910, 2019. 

  20. C. A. Qingjui, Y. E. KAi, Z. T. Lujie and W. C. Linlin, "In-depth Research on Qualitative Simulation of Coal Miners' Group Safety Behaviors", J. Safety Science, Vol. 113, No. 1, pp. 210-232, 2019. 

  21. C. M. Xiang, H. Y. Zhai and H. S. Alan, "Development of Scales to Measure and Analyse the Relationship of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Citizenship Behaviour of Construction Workers: An Empirical Study in China", J.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16, No. 8, pp. 1141-1165, 2019. 

  22. W. Y. Lee, "The Influence of Safety Climate and Attitude on Safety Performance for Harbor Workers", Korea Maritim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7. 

  23. H. J. Jung, "The Influence of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Safety Behaviors :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Yu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 Master's thesis, 2016. 

  24. S. F. Carla, A. S. Silvia and L. M. Jose, "Another Look at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Deepening the Cognitive and Social Mediator Mechanisms", J.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45, No. 8, pp. 468-477, 2012. 

  25. E. P. Gregory, P. W. Geoffrey and R. E. Madhu, "Influences on Safety Consciousness in a Utility Company: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J. Safety Research, Vol. 68, No. 11, pp. 119-129, 2019. 

  26. O. K. Haji, B. M. Seyyed, M. M. Eesa and S. T. Mahmoo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J.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Vol. 10, No. 12, pp. 24-49, 2019. 

  27. P. C. Jonas,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and its Influence on Nursing Student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J. Advanced Nursing banner, Vol. 75, No. 5, pp. 1042-1052, 2019. 

  28. L. E. Pengpeng, "Influences of Risk Tolerance, Perception and Safety Climate on Unsafe Behaviour in Construction: Workers and Managers",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Melbourne Graduate School, Doctor's thesis, 2019. 

  29. J. S. Jang, "Fire Safety Perception of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Influence on Fire Safety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Fire Safety Attitude", Daegu Oriental Medic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thesis, 2018. 

  30. R. M. Baron and D. A. Kennyl,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9-1182, 19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