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 성인의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 영향요인
Risk Factors for Unawareness of Obstructive Airflow Limitation among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3, 2018년, pp.290 - 299  

조미래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risk factors for unawareness of obstructive airflow limitation among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행히 최근 들어 국민건강 영양조사에서 전국 단위의 지역사회 거주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그 자료를 이용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질병에 대한 비인지율과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이용 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과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으리라 본다.
  •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 성인의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율 및 비인지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서술적, 횡단적, 이차분석 연구이다.
  • 질병 인지와 관련된 영향요인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결과는 일관적이 못한 경우가 많아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비인지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조기 발견 및 관리에 도움이 될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2차 자료분석 연구로서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40~79세 성인 중 폐기능 검사 상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범주에 속하는 기류제한인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노력성폐활량에 대한 비율이 0.7 미만(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s/ forced vital capacity<0.7, FEV1/FVC<0.7)인 자를 대상으로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율과 비인지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기관지 내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 실질의 손상으로 기류제한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폐기능 검사에서 1초간 노력성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s, FEV1)대 노력성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의 비율이 0.7 미만인 것을 말한다[1,2]. 만성폐쇄성폐질 환은 노인기에 가장 흔한 호흡기 질환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고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과 함께 점진적인 기도 협착과 폐기능 저하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심각한 질환이다[1].
만성폐쇄성폐질 환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7 미만인 것을 말한다[1,2]. 만성폐쇄성폐질 환은 노인기에 가장 흔한 호흡기 질환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고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과 함께 점진적인 기도 협착과 폐기능 저하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심각한 질환이다[1].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 외에도 대기오염, 직업적 노출, 호흡기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1,2] 최근 심해지고 있는 미세먼지나 전 세계적인 대기 오염과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이 증가하는 실정이다[1].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전 세계 주요 사망원인 몇 위인가? 6%가 만성폐쇄성폐질환 국제기구(Global Initiative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의 기준에 의한 폐쇄성 기류제한 소견을 보이고 있다 [4]. 또한 2016년 현재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에 이어 80세 이상 한국 노인의 사망원인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5]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보고한 2015년 현재 전 세계인의 주요 사망 원인 4위, 2030년 주요 사망원인 3위로 예상되고 있다[6].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비 또한 급격히 증가되는 추세로 한국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비는 2011년 1,473억 원에서 2015년 약 1,737억 원으로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Vestbo J, Hurd SS, Agusti AG, Jones PW, Vogelmeier C, Anzueto A, et al.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13;187(4):347-365. https://doi.org/10.1164/rccm.201204-0596PP 

  2. Jo GS, Kim HG, Park SO, Bae YS, Hwang ON, Gwon BE, et al. Adult Healthy Nursing. 6th ed. Seoul: Hyunmoon; 2014. 900 p. 

  3. Gershon A, Thiruchelvam D, Moineddin R, Zhao XY, Hwee J, To T. Forecasting hospitalization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 rates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timeseries analysis.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2017; 14(6):867-873. https://doi.org/10.1513/AnnalsATS.201609-717OC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Health Statistics Results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December. Report No.:11-1351159-000027-10 

  5. Statistics Korea. Cause of morbidit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Feb.2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conn_pathI2 

  6.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2015 and 2030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cited 2018 February 2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projections/en/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edical conditions used as a chronic, closed lung disease by the recipient of health insurance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cited 2018 February 24].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39/23784 

  8. Zielinski J, Bednarek M, Gorecka D, Viegi G, Hurd S, Fukuchi Y, et al. Increasing COPD awareness.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6;27(4):833-852. https://doi.org/10.1183/09031936.06.00025905 

  9. Ciancio N, Sanguinetti CM, Falcone F, Taranto C, Fasani R, De Benedetto F, et al. Most Italians attending a congress on health of elderly people do not know and do not recognize respiratory diseases. Multidisciplinary Respiratory Medicine. 2016;11(1):26. https://doi.org/10.1186/s40248-016-0062-3 

  10. Lee SW, Yoo JH, Park MJ, Kim EK, Yoon HI, Kim DK, et al.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11; 70(4):293-300. https://doi.org/10.4046/trd.2011.70.4.293 

  11. Yoon SH. Review Article: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3;18(1):1-6. 

  12. Waatevik M, Skorge TD, Omenaas E, Bakke PS, Gulsvik A, Johannessen A.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general population. Respiratory Medicine. 2013;107(7):1037-1045. https://doi.org/10.1016/j.rmed.2013.04.008 

  13. Kim YM, Kim JH, Cho DS. Gender difference in osteoporosis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2):293-305. https://doi.org/10.4040/jkan.2015.45.2.293 

  14. Jeong JY, Choi YJ, Jang SN, Hong KS, Choi YH, Choi MK, et al.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among middle aged adult and elderly in Chuncheon: Hallym aging study (HA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7;40(4):305-312. https://doi.org/10.3961/jpmph.2007.40.4.305 

  15. Malhotra R, Chan A, Malhotra C, Ostbye T.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of Singapore. Hypertension Research. 2010;33(12):1223-1231. https://doi.org/10.1038/hr.2010.177 

  16. Lee SJ. Analysis of awareness and control rate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Korean adult patients: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4 p.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source guide (2013-2015)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2015 [cited 2016 July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18. Cheng S, Chan M, Wang C, Lin C, Wang H, Hsu J, et al. COPD in Taiwan: A national epidemiology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5;10 (1):2459- 2467. https://doi.org/10.2147/copd.s89672 

  19. Hurst JR, Vestbo J, Anzueto A, Locantore N, Mullerova H, Tal-Singer R, et al. Susceptibility to exacerb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0;363(12):1128-1138. https://doi.org/10.1056/NEJMoa0909883 

  20. Kim DS, Kim YS, Jung KS, Chang JH, Lim CM, Lee JH, et al.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pirometry surve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5;172(7):842-847. https://doi.org/10.1164/rccm.200502-259OC 

  21. Ha JY, Youn JH, Lee YS, Lee HJ.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examination in unmarri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92-104. https://doi.org/10.4069/kjwhn.2014.20.1.92 

  22. Choi JS. The effect of early detec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on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7;27(1):103-130. 

  23. Jordan TS, Spencer EM, Davies P. Tuberculosis, bronchiectasis and chronic airflow obstruction. Respirology. 2010;15(4):623-628. https://doi.org/10.1111/j.1440-1843.2010.01749.x 

  24. Hardin M, Silverman EK, Barr RG, Hansel NN, Schroeder JD, Make BJ, et al.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overlap between COPD and asthma. Respiratory Research. 2011;12(1):127. https://doi.org/10.1186/1465-9921-12-127 

  25. Jung YM, Lee HY. Risk factor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0;17(2):214-223. 

  26. Miravitlles M, de la Roza C, Morera J, Montemayor T, Gobartt E, Martin A, et al. Chronic respiratory symptoms, spirometry and knowledge of COPD among general population. Respiratory Medicine. 2006;100(11):1973-1980. https://doi.org/10.1016/j.rmed.2006.02.024 

  27. Miravitlles M. Cough and sputum production as risk factors for poor outcomes in patients with COPD. Respiratory Medicine. 2011;105(8):1118-1128. https://doi.org/10.1016/j.rmed.2011.02.003 

  28. Lee KJ, Shim JJ. Special review-updates of COPD: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of COPD.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7(4):415-421. 

  29. Chang DM, Park IS, Yang JH.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Korea: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11):509-51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509 

  30. Kim KH, Lee K, Ko YJ, Kim SJ, Oh SI, Durrance DY, et al.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ong Korean wome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one. 2012;50(5):1039-1047. https://doi.org/10.1016/j.bone.2012.0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