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령자의 이동변기에 대한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 : 사례 연구
Developing an Index of Usability to Evaluate Utilization of Mobile Toilets among the Elderly: A Case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3, 2018년, pp.83 - 92  

김선칠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용공학과) ,  임현섭 (계명대학교 의학과) ,  조성현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ex of usability that reflects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usability index is used primarily to assess issues in the usability of a product. Methods : In this study, 22 items for mobile toilet usability index were develope...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의 실제 사용 환경에 맞는 사용성을 분석하여 신체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사용성평가의 기준을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인 고령자와 수발자인 요양보호사, 전문가 집단인 재활전문의, 의공학자, 물리치료사, 제조사 등의 관계자를 통해 복지용구의 사용성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의 실제 사용 환경에 맞는 사용성을 분석하여 신체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사용성평가의 기준을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인 고령자와 수발자인 요양보호사, 전문가 집단인 재활전문의, 의공학자, 물리치료사, 제조사 등의 관계자를 통해 복지용구의 사용성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단순한 디자인 개선의 목적이 아닌 사용성평가에 의해서 개선해야 될 내용의 평가 기준이 되는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사용자인 고령자와 수발자인 요양보호사, 전문가 집단인 재활전문의, 의공학자, 물리치료사, 제조사 등의 관계자를 통해 복지용구의 사용성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단순한 디자인 개선의 목적이 아닌 사용성평가에 의해서 개선해야 될 내용의 평가 기준이 되는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전 문헌조사와 제품 분석을 통한 복지용구 중 이동변기를 선택하여 사용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사용자, 수발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지표의 유효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그림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D지역에 거주하며 신경학적으로 손상이 없고 인지 기능의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12명(남 : 6명, 여 : 6명, 예비평가 대상자 제외)와 D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요양병원, 기관에서 고령자를 수발하고 있는 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종사자 6명을 수발자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Hwang & Salvendy, 2010).
  • 복지용구의 사용성평가는 가전제품과 달리 사용자, 수발자, 전문가 등과 같이 제품의 특수성보다 사용 환경의 지배를 많이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 기능과 성능 중심의 평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설계 변경 등의 한계점을 벗어나고자 진행하였다. 최근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복지용구의 사용성평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가 복지용구에 대한 고령자의 요구사항과 특성을 반영한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복지용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품 기능과 성능 중심의 평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설계 변경 등의 한계점을 벗어나고자 진행하였다. 최근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복지용구의 사용성평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가 복지용구에 대한 고령자의 요구사항과 특성을 반영한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복지용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복지용구 중 고령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이동변기의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검증하고 절차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동변기를 사용하는 고령의 사용자, 수발자에게 제품의 문제점과 개선사항들을 정량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평가요소인 사용성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 1차적으로 개발된 지표에 대해 예비평가와 전문가 평가를 실행하여 평가의 적합성, 문항의 신뢰도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정성적인 복지용구의 평가를 정량적평가로 전환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용성평가 지표는 모두 22개이며, 기존의 안전성, 조작성, 만족도에서 벗어나 사용환경과 대상자에 맞는 복지용구 사용성평가 지표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사용자 중심의 제품으로 발전되어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지용구란 무엇인가? 이는 고령자가 일상생활에서 잠재적인 사고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복지용구는 고령자의 육체적, 정신적 기능 향상과 유지를 도모하고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용품으로 의료 용구뿐만 아니라 착용형 웨어러블 기기, 서비스 지원 플랫폼 까지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으며, 신체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활동을 보조하는 특수한 목적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반 제품들과 차이점을 나타낸다(황성원 등, 2011). 따라서 복지용구는 제품의 안전성과 조작의 편리성에 기초하여 고령자의 주관적인 만족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으며, 제품 사용에 대해 고령자가 편리함을 느낄 경우 모든 사람이 편리하다고 느낄 것으로 가정함에서 고령친화제품의 안정성과 편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한국소비자원, 2017).
복지용구 중요성은 무엇인가? 복지용구는 고령자의 육체적, 정신적 기능 향상과 유지를 도모하고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용품으로 의료 용구뿐만 아니라 착용형 웨어러블 기기, 서비스 지원 플랫폼 까지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으며, 신체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활동을 보조하는 특수한 목적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반 제품들과 차이점을 나타낸다(황성원 등, 2011). 따라서 복지용구는 제품의 안전성과 조작의 편리성에 기초하여 고령자의 주관적인 만족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으며, 제품 사용에 대해 고령자가 편리함을 느낄 경우 모든 사람이 편리하다고 느낄 것으로 가정함에서 고령친화제품의 안정성과 편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한국소비자원, 2017). 따라서 복지용구는 제품의 특수성이 드러나지 않는 보편적 디자인과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포용적 디자인이 동시에 요구한다.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들의 노출된 위험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사회가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나이가 듦에 따라 노인의 신체 기능 노화와 손상들이 나타나며, 이에 따른 전반적인 운동 능력 저하와 근 감소들은 낙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Spirduso 등, 2005). 한국소비자원에서 표한 고령자 안전사고 발생자료에 따르면 고령자의 안전사고 비율이 2014년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태선, 조재경(2016). 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용품 개발방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1), 63-75. 

  2. 보건복지부(2017). 복지용구 품목별 월별 이용현황. 

  3. 유재성, 김봉선(2016). 가정 요양용 전동침대의 사용성 평가 지표 개발.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8(1), 45-55. 

  4. 정광태, 송복희, 신동진 등(2010). 고령자용 목욕의자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지, 29(1), 93-100. 

  5. 최대석(2007), 고령자를 위한 보행보조기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8(1), 623-629. 

  6. 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2017). 고령자 안전사고 심층분석. 한국소비자원. 

  7. 황성원, 모정현, 이윤희(2011). 노인의 일상생활장애 정도에 따른 고령친화제품 분류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33, 309-318. 

  8. Alonso-Rios D, Vazquez-Garcia A, Mosqueira-Rey E, et al(2010). Usability : A critical analysis and taxonomy. Int J Hum Comput Interact, 26(1), 53-74. 

  9. Cronbach LJ(1990).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5th ed, New York, Harper & Row. 

  10. Hwang WI, Salvendy G(2010). Number of people required for usability evaluation : the $10{\pm}2$ rule. Communications ACM, 53(5), 130-133. 

  11. ISO 9241-11(1998). Ergonomics requirements for office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VDTs) - Part 11: Guidance on usability. Genev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2. ISO/IEC 9126-1(2001). Software engineering, product quality, Part 1: Quality model. Genev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13. Kim J, Han SH(2008).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usability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Int J Ind Ergon, 38(3-4), 333-345. 

  14. Lawshe C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28(4), 563-575. 

  15. Nielsen J, Loranger H(2006). Prioritizing web usability. California, Pearson Education. 

  16. Nielsen J, Landauer TK(1993). A mathematical model of the finding of usability problems, INTERCHI'93 

  17. Nielsen J, Molich R(1990). Heuristic evaluation of user interfaces. ACM CHZ'90, 249-256. 

  18. Nielsen J(2000). Designing web usability : The practice of simplicity. Indianapolis, New Riders Publishing. 

  19. Preece J, Rogers Y, Sharp H, et al(1994), Human-computer interaction: Concepts and Design(ICS). 1st ed, Boston, Addision-Wesley. 

  20. Quesenbery W(2001). What does usability mean : Looking beyond "ease of use" 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Conference - Society for Technical Communications, 48, 432-436. 

  21. Rubenstein LZ, Josephson KR(2006).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Med Clin North Am, 90(5), 807-824. 

  22. Seffah A, Donyaee M, Kline RB, et al(2006). Usability measurement and metrics : A consolidated model. Software Quality J, 14(2), 159-178. 

  23. Shackel B, Richardson SJ(2008). Human factors for informatics usability. 1s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pirduso WW, Francis KL, MacRae PG(2005). Health,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 In: Spirduso WW, Francis KL, MacRae PG, editors.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2nd ed, Illinois, Human Kinetics, pp.211-23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