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Activating Strategy of Free Trade Zone in Pyeongtaek Por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115 - 123  

정현재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이동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층분석적의사결정법을 활용하여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상위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입주기업들은 인프라 요인(0.330)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외 금융 및 예산(0.223), 조직 및 운영(0.188), 제도(0.140), 인력(0.119) 순으로 중요도가 산정되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항로의 확장을 가장 중요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제조기업들은 물류기업에 비해 제조업체의 진입여건 개선과 부가가치 물류활동에 대한 배점강화를 다소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하지만 물류기업의 경우 제조기업에 비해 인력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평택항의 항로다각화, 자유무역지역 인근 인프라의 개선, 임대료 재검토 등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비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활성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factors in the companies operating in the free trade zone of Pyeongtaek Port by using hierarchical analytical decision making method and suggest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fiv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유무역지역 입주기업의 업종별로 활성화 요인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재 입주한 기업들 중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 하지만 입주수요가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연의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주요 개선요인을 도출함과 동시에 현재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항만의 범위가 화물의 단순하역의 장소에서 배후단지 및 자유무역지역을 통한 화물의 부가가치를 실행하는 장소로 발전함에 따라 자유무역지역 뿐만 아니라 항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계층분석적의사결정법을 활용하여 평택항 활성화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전문적 견해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추출하고자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환황해권 중심 항만 역할을 하고 있는 평택항을 선정하여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며, 물동량 기준 국내 5위 항만인 평택항의 자유무역지역에 대해 최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15인의 전문가들이 응답한 결과 값을 토대로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였고, 업종별로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에 입주한 기업들의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전문가 집단과의 in-depth Interview를 통해 18개의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다기준의사결정방법인 AHP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18개 변수를 5개 상위요인으로 그룹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 및 개선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이후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에 입주한 기업의 대표 및 임원진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주요 개선요인을 확정하였다.
  • 또한 계층분석적의사결정법을 활용하여 평택항 활성화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전문적 견해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추출하고자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환황해권 중심 항만 역할을 하고 있는 평택항을 선정하여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택항의 지정학적 특성 및 배후단지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며 수행되는 연구는, 타 항만의 자유무역지역 및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연구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평택항을 선정하여 자유무역지역 활성화를 통한 항만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유무역지역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들 대부분은 인천, 부산신항, 광양항 등의 항만자유무역지역과 배후단지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중견항만에 위치한 자유무역지역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평택항을 선정하여 자유무역지역 활성화를 통한 항만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유무역지역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자 한다.
  • 하지만 대부분 정책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계층분석적의사결정법을 활용하여 평택항 활성화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전문적 견해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추출하고자 한다.
  • 평택항도 타 항만과 마찬가지로 2009년 항만 배후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함에 따라 물동량, 부가가치, 고용창출을 통한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입주수요가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연의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래에 추가된 항만의 역할은? 한편, 전통적인 항만은 수출입 화물 및 여객 처리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과 역할에 치중했다면, 근래에는 배후단지에서 제품의 제조, 조립, 가공, 수리 및 보수, 전시, 판매 등 부가가치 물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 한국과 중국의 환황해권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대다수의 항만들은 자국의 경제 성장 전략 및 기업의 수요에도 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만 배후단지를 신속히 개발하고 있다.
항만시설과 배후단지의 충분한 확보와 다국적기업 및 물류기업들이 유치를 항만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한편, 전통적인 항만은 수출입 화물 및 여객 처리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과 역할에 치중했다면, 근래에는 배후단지에서 제품의 제조, 조립, 가공, 수리 및 보수, 전시, 판매 등 부가가치 물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 한국과 중국의 환황해권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대다수의 항만들은 자국의 경제 성장 전략 및 기업의 수요에도 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만 배후단지를 신속히 개발하고 있다. 또한 최저비용으로 배후단지를 운영하기 위해 자유무역지역(Free Trade Zone, FTZ)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으며, 항만을 중심으로 배후지에 산재한 물류시설들에 대한 공간적 통합화를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항만시설과 배후단지의 충분한 확보와 다국적기업 및 물류기업들이 유치는 항만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필수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항만의 역할은? 한편, 전통적인 항만은 수출입 화물 및 여객 처리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과 역할에 치중했다면, 근래에는 배후단지에서 제품의 제조, 조립, 가공, 수리 및 보수, 전시, 판매 등 부가가치 물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 한국과 중국의 환황해권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대다수의 항만들은 자국의 경제 성장 전략 및 기업의 수요에도 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만 배후단지를 신속히 개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 J. Roh & S. C. Kim. (2008). A Study on the Activation Measures of Pyeongtaek.Dangjin Port Free Trade Zone, Yeungsang Journal, 1(1), 63-84. DOI : 10.18104/kaic.24.4.200912.143 

  2. R. H. Chiu, T. C. Lirn, C. Y. Li, B. Y. Lu & K. C. Shang. (2011). An evaluation of free trade port zone in Taiwan.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7(3), 423-445. DOI : 10.1016/S2092-5212(11)80020-9 

  3. J. P. Rodrigue, J. Debrie, A. Fremont & E. Gouvernal. (2010). Functions and actors of inland ports: European and North American dynamic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8(4), 519-529. DOI : 10.1016/j.jtrangeo.2010.03.008 

  4. S. Tiefenbrun. (2015). US foreign trade zones and Chinese free trade zones: A comparative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Law, 14(2), 189-232. 

  5. D. H. Lee, J. S. Paik, H. J. Choi, H. J. Jung & C. H. Lee. (2015). The Effective Measure of Free Trade Zone for the Pan Yellow-Sea Ports Logistics Activation, Busan : Korea Maritime Institute. 

  6. K. Y. Lee, K. S. Kim, E. W. Kim, K. S. Shim & S. Y. Shin. (2017). A Study on the Analysis of E-commerce Conversion Demand of Maritime Transport in Korea, Busan : Korea Maritime Institute. 

  7. J. M. Lee. (2002). Preliminary feasibility report for Dea-Bul Free Trade Zone. Sejong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8. Y. S. Kang & D. C. Jeong. (2003). The Development of Masan Port through Comparison of Free Trade Zone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19(1), 161-188. 

  9. J. K. Park & K. C. Kang. (2007). Activating strategy of free trade area and Establish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ystem, Seoul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10. J. K. Park. (2008). A study of direction for Free Trade Zone Policy, Seoul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11. S. W. Lee, J. M. Song & D. H. Han. (2014). Measures to Re-define Functions of Free Trade Zone, According to Changes in Foreign Investment Factors, Seoul : Korea Maritime Institute. 

  12. S. H. Kang, J. Y. Yang & M. J. Kim.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ree Trade Zone Scheme. Sejong :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13. X. Yang, Z. Wang, Y. Chen & F. Yuan. (2011). Factor Affecting Firm-Level Investment and Performance in Border Economic Zones and Implication for Developing Cross-Border Economic Zone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its Neighboring GMS Countries, Research Report Series, 1(1), 1-66. 

  14. T. Susan. (2015). U.S Foreign Trade Zone and Chinese Free Trade Zones: A Comparative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Law, 14(2), 191-228. 

  15. Y. C. Yang. (2009). A Comparative Analysis of Free Trade Zone Policies in Taiwan and Korea based on a Port Hinterland Perpective, The Asian Joi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5(2), 273-303. 

  16. T. L. Satty.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 McGraw-Hill. 

  17. H. J. Jung, G. T. Yeo. & J. G. Kim (2010) The Selection of Import-Export Goods Contributing to Activate Port Hinterland Operation,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4(3), 229-234. DOI : 10.5394/KINPR.2010.34.3.229 

  18. H. J. Jung & G. T. Yeo. (2014). Importance of Service Factors for Car-Ferry Shipping Companies between Korea and China Routes using Fuzzy Method.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8(3), 261-268. DOI : 10.5394/KINPR.2014.38.3.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