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책임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and respons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ultural competency o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257 - 268  

권종선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C지역에 위치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207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셀프리더십,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유의 했으며,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유의했다. 또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서는 셀프리더십,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 전략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지지적인 교과과정운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self-leadership and cultural competency o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7 nursing students in two college located in C prov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관련연구는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대학생 시기의 발달적 특징인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다문화 대상자들의 문화차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간호기술을 활용하여 전인간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문화적 역량과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교과과정에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유대감과 책임감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역량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의 간호 대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셀프리더십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등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발달시키고 개발시킴이 필요함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하겠다.
  •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셀프리더십을 갖추고, 자신의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어떻게 인식하고 간호를 수행하느냐에 따라 다문화 대상자 간호에서 문화적 역량을 발휘하여 양질의 간호를 수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Fiedler의 리더십효과성 이론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 관계에서 리더의 행동목록이며, 대학생시기의 발달과업인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을 매개로 이론적 틀을 구성하고자 한다
  • 본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과 문화적 역량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통적 리더십과 달리 누군가의 지시 없이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스스로가 능력을 갖도록 촉진하는 과정으로 조직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열정을 높이며,효과적 인간관계를 이끄는 리더의 기본자질이다[16]. 셀프리더십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환경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의사결정시 이것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능력인 행동중심적 전략과 자신의 생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정하고 올바른 사고를 확립하는 건설적사고 전략,자신의 일이나 활동에서 진정한 보람을 찾아 자기결정감과 유능감을 증가시키는 내적 보상인 자연적보상 전략으로 구성된다[17].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또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문화적 역량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서는 셀프리더십,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 전략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지지적인 교과과정운영이 필요하다.
셀프리더십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셀프리더십은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통적 리더십과 달리 누군가의 지시 없이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스스로가 능력을 갖도록 촉진하는 과정으로 조직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열정을 높이며,효과적 인간관계를 이끄는 리더의 기본자질이다[16]. 셀프리더십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환경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의사결정시 이것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능력인 행동중심적 전략과 자신의 생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정하고 올바른 사고를 확립하는 건설적사고 전략,자신의 일이나 활동에서 진정한 보람을 찾아 자기결정감과 유능감을 증가시키는 내적 보상인 자연적보상 전략으로 구성된다[17].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자율적 행동과 인지 전략이며[17]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18],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개인 직무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쳐 간호서비스에서도 우수한 능력을 발휘하게 한다[13,19-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I. S. No, S. H. Chun, M. H. Lee, G. H. Lee, J. M. Jang & J. H. Chun. (2012). Multicultural Sociaty & Nursing, Seoul. : Hyunmoonsa. 

  2.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6). The Annual Repot of the statistical data on immigration and foreigner-related matters. Gwacheon. KIS. 

  3. I. H. Seo. (2015). Foreigner patient's atrracted result. MOHW (Online). http://www.mohw.go.kr 

  4. Y. S. Kim-Godwin, P. N. Clarke & L. Barton. (2001). A model for the delivery of culturally competent community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5(6), 918-925. 

  5. D. H. Chae. (2013).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Korean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6. S. H. Kim. (2013).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80-593. 

  7. I. S. Lee & J. Y. Cho. (2014).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y and demand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mong nursing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283-290. 

  8. K. S. Choi et al.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utural Competency and the Importance of Nurses' Qualities Perceived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7(2), 163-172. 

  9. D. H. Kim & S. E. Kim. (2013). Cultural competence and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2(3), 159-168. 

  10. Y. S. Seo & Y. C. Kwon. (2014). Factors Influencing to th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415-423. 

  11. S. Y. Yang. (2014).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tents, 14(7), 334-344. 

  12. S. Y. Yang, H. N. Lim & J. H. Lee. (2013).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Empath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19(2), 183-193. 

  13. M. K. Jang & H. Y.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erea Convergence Society, 9(2), 51-59. DOI : 10.15207/JKCS.2018.9.2.051 

  14. H. J. Won & S. H. Cho. (2013).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 Acad Nurs Adm, 19(3), 382-393. 

  15. F. Fiedler & J. Garcia. (1987). New approaches to effective leadership: Cognitive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New York : John Wiley & Sons. 

  16. J. Kim. (2008). Relation between factor of ego-state and self-leadership.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18. S. I. Im, J. Park & H. S. Kim.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 Occup Health Nurs, 21(3), 274-282. 

  19. K. N. Kwon. (2014).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n a City.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Y. H. Han & Y. R. Park. (2013).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4), 462-469. 

  21. S. Y. Kim, E. K. Kim, B. Kim & E. Lee. (2016). Influence of Nurses' Self-leadership on Individual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J Korean Acad Nurs, 46(3), 338-348. 

  22. Y. H. Yeom et al. (2014). Nursing Management, Paju : Soomoosa. 

  23. J. H. Yeo, M. Y. Hyun, E. J. Lee & E. O. Park (2005). Psychosocial Maturity,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Undergraduat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4(1), 73-81. 

  24. B. C. Min, S. W. Lim, K. K. Han & H. S. Rhee. (2013). The influence factors and effects of self-leadership : focusing on menbers of the hospitals. J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3(1), 66-77. 

  25. R. M. Lee & S. B. Robbins.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anxiety, self-esteem, and social ident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338-345. 

  26. S. J. Lee, Z. Zhang & Y. R. Kim (2016).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Students' Cultural Intelligence and School Ajustment i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Korean Education Inquiry, 34(2), 229-252. 

  27. D. E. Conrad & D. Hedin. (1981). National assessment of experiential education: Summary and implications. Journal of Experiential Education, 4, 6-20. 

  28. L. Wray-Lake & A. K. Syvertsen. (2011). The Developmental Roots of Social responsibil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C. A. Flanagan & B. D. Christens (Eds.), Youth civic development: Work at the cutting edge.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34, 11-25. 

  29. C. Lee. (2010).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ltruism in Youth Counseling. The journal of youth Counselling, 9, 158-188. 

  30. Y. K. Shin. (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31. S. Lee.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Focusing on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32.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3. S. Y. Han. (2016). Factors Influencing to th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4), 73-86. 

  34. E. Y. Jung & J. H. Kong. (2018). Convergence Study on Attitude toword Migrant Wives,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Nursing Behavior by Nurses. Journal of the Kerea Convergence Society, 9(5), 281-290. DOI : 10.15207/JKCS.2018.9.5.281 

  35. E. Yoon, R. M. Lee & M. Goh. (2008) Accultur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3), 246-255. 

  36. M. L. Park & M. J. Lee. (2018). Effects of Mentoring Program's Development about New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43-51.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1.043 

  37. G. Y. Kim. (2011). A Study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aster's thesis. Korea Aerospace University, Goyang. 

  38. H. Kim. (2013). How do youth and Their Parents' Social Activities Influenc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Youth?,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0(4), 161-178. 

  39. S. F. Hamilton & I. M. Fenzel. (1988). The impact of volunteer experience on adolescent social development : evidence of program effec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3, 65-80. 

  40. F. Newmann & R. Rutter. (1983). The effects of high school community service programs of students social development; Final report. Medison : University of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