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속력 개념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e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4, 2018년, pp.453 - 473  

최은아 (우석대학교 수학교육과) ,  정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속력 개념 지도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속력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비례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속력 개념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초등수학에서의 속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과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들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속력 개념의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speed concept presented in Korean, Japanese, Singapore, and Americ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speed concept in elementary schools. We developed a textbook analysis framework by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속력 개념의 축소는 어떤 맥락에서 아쉬움이 생기는가? 또한 2009 개정 교과서에서 속력 개념을 비율이 적용된 사례로서 활용했다기보다는 별도의 학습 내용으로 구현했다는 지적이 있기도 하였다(박경미 외,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속력 개념의 축소가 이와 같은 상황들을 반영한 것일 수 있지만, 초등수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져 온 과학 분야와의 연계 주제이자 실생활에 수학적 개념을 활용하는 맥락이었던 속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에서의 속력 지도에 대한 다른 나라의 사례들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실태를 진단하고 향후 지도 방향 설정에 참고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속력 지도 내용 중 다른 나라와 다른 부분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다른 나라들의 속력 지도 방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일본, 싱가포르, 미국은 속력을 설명하는 방식, 속력의 계산 방법, 속력의 맥락 및 시각적 표현 방식에서 우리나라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각국의 교과서 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속력 개념 지도가 축소되었다는 것은 무엇에서 알 수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에서의 속력 개념 지도를 상당히 축소하였다. 2015 개정 교육 과정 문서에서 속력 개념은 수학과 교육 내용으로 명시되지 않고 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상의 유의점>에서 ‘타 교과 및 실생활에서 비율이 적용되는 예로서 속력을 지도한다’고 진술한 내용마저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삭제된 상태이다. 더욱이 <평가방법 및 유의사항>에서는 ‘비율을 평가할 때 속력을 구하는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과서에서의 비중도 축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8). 

  2. 교육부 (2017). 수학 6-1. 서울:천재교육.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8). 

  4. 교육부 (2018), 수학 6-1. 세종:교육부. 

  5. 박경미 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6. 서은미, 방정숙, 이지영 (2017).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비례 추론 수업 분석: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4). 791-810. 

  7. 성창근 (2015). 수학에서 과학으로의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초등수학교육, 18(1), 31-44. 

  8. 신정윤 (2015). 속력 및 속력 단위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와 어려움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우정호 (2017). 개정판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중). 서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 임재훈, 이형숙 (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11. 장혜원, 임미인, 유미경, 박혜민, 김주숙, 이화영 (2017).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35-160. 

  12. 정새롬, 조영미 (2011). 초등학교 수학에서 속력 지도 방안 연구. 교육논총, 48(1), 33-46. 

  13. 정영옥 (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14. 정연준, 최은아 (2017).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속력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599-620. 

  15. 정은실 (201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비례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16. 최은아 (2016). 초등예비교사의 비례추론과제에 대한 전략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 (4) 167-183. 

  17. 文部科?省 (2008). 小?校?習指導要領解?算?編. 

  18. 藤井?亮 외 (2015a). 新編 新しい算數 5-下. 東京:東京書籍. 

  19. 藤井?亮 외 (2015b). 新編 新しい算數 6. 東京:東京書籍. 

  20. Charles, R. I., Caldwell, J. H., Cavanagh, M., Copley, J., Crown, W., Fennell, F., Murphy, S. J., Sammons, K. B., Schielack, J. F., & Tate, W. (2012). enVision Math Grade 6 common core. Pearson. 

  21.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http://www.corestandards.org/ssets/CCSSI_Math%20Standards.pdf 

  22.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3.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8a). My pals are here! Maths 5A(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4.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8b). My pals are here! Maths 5B(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5.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7a). My pals are here! Maths 6A(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6.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7b). My pals are here! Maths 6B(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7. Ministry of Education. (2012). Mathematics Syllabus Primary one to six. Singapore: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Ministry of Education. 

  28. Lindberg, D. C. (2009). 서양과학의 기원들 : 철학.종교.제도적 맥락에서 본 유럽의 과학전통, BC 600-AD 1450 (이종흡 역). 파주 : 나남. (원저 1992년 출판) 

  29. Lobato, J., & Ellis, A. B. (2010). Essential understandings: Ratios, proportion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R. M. Zbiek (Series Ed.), Essential understanding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30.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Shaw, J. M., & Cliatt, M. J. P. (1989).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R. T. Paul, & P. S. Albert (Eds.),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p. 149-15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