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ets of Solids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2, 2018년, pp.199 - 220  

서화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전개도는 우리나라 제 1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꾸준히 다루어져 온 전통적인 교육내용이며, 주로 입체도형의 성질을 알아보거나 겉넓이를 구하기 위해 지도되어 왔다. 하지만 공간 감각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개도는 공간 감각을 다루기 위한 매우 적절한 학습 소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개도가 어떻게 지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전개도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화의 향상 측면에서 올바른 전개도를 찾는 활동의 강화, 다양한 각도에서 본 입체도형의 모습 제시, 무늬가 들어간 입체도형의 전개도 활용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traditional education content that has been consistently handl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ince the first curriculum in Korea. It has been mainly used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igure or to save the surface area.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spatial 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감각과 전개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역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개도가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에서 전개도 관련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함으로써 공간 감각 향상의 측면에서 전개도 지도 및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예외적으로 홍갑주·이호석(2015)이 역대 교육과정과 외국 교과서에서 겨냥도와 전개도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지만, 그 내용이 그림 표현이나 입체도형의 구성 방법 등에 초점을 두고 있어 본 연구에서의 관점과는 상당 부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어 온 전개도에 관한 내용을 다른 나라의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공간 감각 향상의 측면에서 전개도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감각과 전개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역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개도가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에서 전개도 관련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함으로써 공간 감각 향상의 측면에서 전개도 지도 및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개도와 관련하여 국내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를 도입 시기와 전반적인 지도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개도 지도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개도의 정의는 무엇인가? 전개도는 예전부터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기하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이며, 우리나라 에서도 제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꾸준히 다루어 온 전통적인 교육내용 중 하나이다. 전개도는 입체도형의 전체 표면을 하나의 평면에 전개하여 얻은 2차원의 모양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공간 감각의 하위 요인 중 공간 시각화에 포함된다. Cohen(2003)에 의하면, 입체도형을 전개도로 변환시키는 것은 정신적 이미지를 조작함으로써 수행하는 정신 작용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시각적 능력 발달에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입체도형을 전개도로 변환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전개도는 입체도형의 전체 표면을 하나의 평면에 전개하여 얻은 2차원의 모양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공간 감각의 하위 요인 중 공간 시각화에 포함된다. Cohen(2003)에 의하면, 입체도형을 전개도로 변환시키는 것은 정신적 이미지를 조작함으로써 수행하는 정신 작용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시각적 능력 발달에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5학년 지도서 내용을 살펴보면“전개도를 보고 머릿속으로 작품의 모양을 상상할 때 우리의 뇌는 효과적인 자극을 받아 공간 지각력을 높일 수 있다(교육부, 2015c, p.
우리나라 교과서와 비교하여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전개도에 대한 지도 방향은 어떠한가?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전개도는 6학년의 ‘입체도형’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전개도는 “접어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도록 그 면을 배열하여 그린 그림(Collars et al, 2014, p.130)”으로 정의되며, 한 가지 입체도형에서 다양한 전개도가 나올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면 각 입체도형의 밑면의 모양, 면의 개수와 같은 구성 요소를 탐구한 후 전개도가 도입되는데, 우리나라나 일본과 같이 만나는 모서리나 평행한 면 등을 찾는 활동보다는 입체도형과 알맞은 전개도를 연결하는 활동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이 때, [그림 10]과 같이 보기로 제시되는 입체도형의 모습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데, 같은 직육면체이지만 가로, 세로, 높이의 길이가 모두 다르게 제시되어 있으며, 각뿔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제시하고 있어 전개도와 연결할 때 밑면의 모양뿐만 아니라 길이나 방향 요소까지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 교육부 (1992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3. 교육부 (1992b). 산수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부 (199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8]. 

  5. 교육부 (1997b). 수학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6.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교육부 (2015b). 수학 5-1. 서울: (주) 천재교육. 

  8. 교육부 (2015c). 수학 지도서 5-1. 서울: (주) 천재교육. 

  9. 교육인적자원부 (200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02]. 

  10. 교육인적자원부 (2007b). 수학 6-가. 서울: (주) 천재교육. 

  11.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6-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김지애 (2012). 공학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인지전략 학습이 전개도 접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교부 (1955). 산수과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 44호. 

  14. 문교부 (1969).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 251호 [별책1]. 

  15. 문교부 (1979).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424호 [별책1]. 

  16. 문교부 (1981).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442호 [별책2]. 

  17. 문교부 (1983). 산수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18. 문교부 (1987).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87-9호. 

  19.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2013-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유경선 (2012). 공간능력과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형학습 과제의 효과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주미 (2018).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 향상과 전이 및 유지를 위한 심적 회전 활동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미진, 이광호(2015). 시선 추적기를 통해 본, 4학년 학생들의 방정식에 대한 관계적 사고 형성 -웹기반 저울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7(3), 391-405. 

  23. 이은지 (2017). 전개도 접기 과제의 해결전략 연구: 안구 운동 분석을 활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창홍 (2017). 직육면체의 모든 전개도 탐구에 관한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 교육논총, 37(2), 233-257. 

  25. 정영옥 (2017).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에 관한 논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61-194. 

  26. 정영우, 김부윤 (2014). 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학교수학, 16(2), 285-301. 

  27. 조영선, 정영옥 (2012).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 -4,5,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359-388. 

  28. 최경숙, 백석윤 (2004). 공간 감각 관련 지도내용 계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1), 63-87. 

  29. 홍갑주, 이호석 (2015). 초등학교 교과서 겨냥도와 전개도의 고찰 - 역대 교육과정과 외국교과서의 검토를 바탕으로. 학교수학, 17(4), 531-553. 

  30. 藤井?亮.飯高茂 외 40명. (2013a). 新しい算數 4下. 東京: 東京書籍. 

  31. 藤井?亮.飯高茂 외 40명. (2013b). 新しい算數 5下. 東京: 東京書籍. 

  32. Ben-Chaim, D., Lappan, G., & Houang, R. T. (1988).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1), 51-71. 

  33. Bishop, A. J. (1983). Space and geometry. In R. Lesh, & M. Landau (Eds.), Concepts and processes (pp. 176-203). New York: Academic Press. 

  34. Bourgeois, R. D. (1986). Third graders' ability to associate foldout shapes with polyhed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7(3), 222-230. 

  35. Carter, P., & Russell, K. (2008). Test and Assess Your IQ. London; Philadelphia: Kogan Page Ltd. 

  36. Cohen, N. (2003). Curved solids nets. In N. Pateman, B. J. Dougherty, & J. Zillox (Eds.), Proceedings of the 27th PME International Conference, 2, 229-236. 

  37.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 Shaping maths coursebook 6A,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8. Ekstrom, R. B., French, J. W., Harman, H. H., & Dermen, D. (1976). Manual for kit of factor-referenced cognitive tests.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39. Fennema, E., & Romberg, T. A. (Eds.) (1999). Mathematics Classrooms that Promote Understanding. Mahwah, NJ: Erlbaum. 이광호, 이현숙, 이경미, 윤혜영, 정미혜, 하수현(역) (2011). 이해를 촉진하는 수학교실. 서울: 경문사. 

  40. Hegarty, M., & Wallar, D. (2004). A dissociation between mental rotation and perspective-taking spatial abilities. Intelligence 32, 175-191. 

  41. Kozhevnikov, M., & Hegarty, M. (2001). A dissociation between object manipulation spatial ability and spatial orientation ability. Memory & Cognition, 29(5), 745-756. 

  42. Kurtulus, A., & Uygan, C. (2010). The effects of Google Sketchup based geometry activities and projects o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of student mathematics teacher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 384-389, 

  43. Lohman, D. F.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Aptitude Research Project of School of Education. Stanford University. 

  44.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heurological influence.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45. Meneghetti, C., Borella, E., & Pazzaglia, F. (2016). Mental rotation training: Transfer and maintenance effects on spatial abilities. Psychological Research, 80, 113-127. 

  4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tiacs.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47. Olkun, S. (2003). Making Connections: Improving spatial 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48. Pan Lloyds Publishers (2012a).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5B. Tsuen Wan, N. T.: Pan Lloyds Publishers. 

  49. Pan Lloyds Publishers (2012b).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6A. Tsuen Wan, N. T.: Pan Lloyds Publishers. 

  50. Pellegrino, J. W., & Kail, R. (1982). Process analyses of spatial aptitude.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1, 311-365. 

  51. Pittalis, M., Christou, C. (2013). Coding and decoding representations of 3D shape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2. 673-689. 

  52.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a). LASKUTAITO in English 4A. WSOY pro., Ltd. 양재욱,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4-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3.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b). LASKUTAITO in English 4B. WSOY pro., Ltd. 양재욱,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4-2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4.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c). LASKUTAITO in English 5A. WSOY pro., Ltd. 문보람,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5-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5.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d). LASKUTAITO in English 6A. WSOY pro., Ltd. 오수현,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6-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6. Tartre, L. A. (1990).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16-229. 

  57. Wright, V. (2016). Visualisation and analytic strategies for anticipating the folding of nets. Paper Presented at the opening up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roceedings of the 39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Adelaide. 

  58. Wright, V., & Smith, K. (2017). Children's schemes for anticipating the validity of nets for solid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9(3), 369-3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