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1 no.5, 2018년, pp.25 - 35  

최숙영 (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 중의 하나로 디지털 역량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사회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의 협업과 소통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결과물을 생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디지털 역량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새롭게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들이 요구되는데 최근에는 컴퓨팅 사고력을 포함시키려는 시도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요구되는 디지털 역량으로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관련연구 분석을 통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디지털 역량 모델을 제안한다. 디지털 역량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먼저, 디지털 역량의 조작적 정의와 함께 세부 요소들을 정의한 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and importance of digital competency is the growing. Digital competency means the ability to search and analyze necessary inform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throug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리터러시 모델과 디지털 역랑 모델 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역량의 개념을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역량 안에 포함될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여 디지털 역량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중복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중복된 요소를 제외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역량 요소 중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리터러시 모델과 디지털 역랑 모델 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역량의 개념을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역량 안에 포함될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여 디지털 역량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주요 이슈로 등장하면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에 논의들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핵심역량 중 디지털 역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역량은 무엇들이 복합적으로 내포된 개념인가? 이러한 능력은 디지털 역량과 관련이 된다. 디지털 역량은 지식, 정보 및 기술 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컴퓨터, 미디어, ICT, 정보, 디지털 리터러시(Literacy) 등이 복합적으로 내포된 개념이다[1].
역량의 사전적의미는 무엇인가? 2 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역량의 정의는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역량(Competence)라는 용어는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것을 성공적으로 혹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어떤 사람이 다양한 상황에서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과 스킬”을 의미한다. 역량의 개념은 본래 직업사회의 필요에 의해서 등장했으나, 이 개념은 OECD의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프로젝트를 통해 직업이나 직무와 관련된 것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삶의 질과 관련한 논의로 발전하게 되었다 [16].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어떤 분야가 급성장하게 되었는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 사람들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스마트폰의 사용과 함께 소설 네트워크 분야가 급성장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일상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회에서는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 외에도 사이버공간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올바르게 판단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검색된 정보를 자신의 문제 해결에 적절하게 활용하고 재창조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Ferrari, A.(2013). DIGCOMP: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Digital Competence in Europe. JRC Scientific and Policy Report. 

  2. 손병호 외 (2017). 고용 있는 성장을 위한 산업혁신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 KISTEP 연구 보고 2017-39. 

  3.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 Wiley Computer Pub. 

  4. Fastrez, P. (2009). Evaluating Media Literacy as Competences: What Can We Agree On? Retrieved July 13, from http://www.slideshare.net/pfastrez/evaluating-media-literacy-ascompetences-what-can-we-agree-on. 

  5. 권성호 (2011).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교육, 1, 65-82. 

  6. 한정선 & 오정숙 (2006). 21세기 지식정보 역량활성화를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지수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7. Hobbs, R. (2010).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s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 The ASPEN Institute. 

  8. Ala-Mutka, K. (2011). Mapping Digital Competence: Towards a Conceptual Understanding. Technical Note: JRC 67075,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Institute. 

  9. Jisc (2014). Building digital literacies. Retrieved June 4, 2018, from https://www.jisc.ac.uk/guides/developi-digital-literacies 

  10. BC's Digital Literacy Framework. Retrieved Feb. 10, 2018, from https://www2.gov.bc.ca/assets/gov/education/kindergarten-tograde-12/teach/teaching-tools/digital-literacy-framework.pdf. 

  11.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1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터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 및 하위영역 규명.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12.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디지털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연구자료 RM 2017-4,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13.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2016). Massachusetts Digital Literacy and Computer Science (DLCS) Curriculum Framework. Retrieved Feb. 10, 2018, from http://www.doe.mass.edu/ frameworks//dlcs.pdf. 

  14. Riina, V., Yves, P., Stephanie, C. (2016). DigComp 2.0: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15. Welsh Government(2015).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Retrieved Feb. 10, 2018, from http://learning.gov.wales/resources/browse-all/digital-competence-framework/?langen. 

  16. 소경희 (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21. 

  17. Rychen, D. (2003). Investing in competencies-But which competencies and for what?. ANCLI/AEA conference on assessment challenges for democratic society, Conference in Lyon, November. 

  18. Cartelli, A.(2010). Frameworks for Digital Competence Assessment: Proposals, Instruments, and Evaluation. Proceedings of Informing Science & IT Education Conference (InSITE). 

  19. Jisc (2017). Building digital capability. Retrieved Feb. 10, 2018, from https://www.jisc.ac.uk/consultancy/building-digital-capability 

  20. World Economic Forum (2016). Annual Meeting 2016 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AM1. 

  21. 오호영, 주휘정, 최대선 (2016). 직업의 미래와 인적자원개발 전략.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박가열 외 3 명 (2016). 기술변화에 따른 일자리 영향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3. 김현철 (2017).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SW융합인재 양성 방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 보고서. 

  24. APF(Association of Professional Futurists 2016). Foresight competency model.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s://apf.org/wordpress/wp-content/uploads/APF-Foresight-competency-model-1.1-1.pdf. 

  25. ACT. (2017). Future skills update and literature review.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www.iftf.org/fileadmin/user_upload/downloads/wfi/ACTF_IFTF_FutureSkills-report.pdf. 

  26. Roland Berger. (2016). Skills Development for Industry 4.0. BRICS Skills Development Working Group.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www.globalskillsummit.com/Whitepaper-Summary.pdf. 

  27. Futurelab(2010). Digit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s://www.nfer.ac.uk/publications/FUTL06/FUTL06.pdf. 

  28. SWGfL(SOUTH WEST GRID FOR LEARNING) (2015). Digital literacy and Citizenship. Retrieved March 10, 2018, from https://digital-literacy.org.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