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임상판단과정 분석
Analysis of Students' Clinical Judgment Process During Nursing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130 - 138  

심가가 (일리노이대학교 간호대학) ,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임다해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간호학 실습 교육의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일어나는 임상적 판단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CJR을 적용한 기술적 서술 연구(descriptive study)로 진행되었다. S시에 소재한 2개의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2014년 12월 까지 모의 환자를 포함한 발열 시나리오와 무호흡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 대학생의 임상판단 점수는 남학생 30.50(${\pm}2.77$)점, 여학생29.32(${\pm}2.67$)점이었으며, 무호흡 시나리오 임상판단 점수($31.20{\pm}2.84$)가 발열 시나리오 점수($28.71{\pm}2.63$)보다 높았고, 학습자의 자가평가(.911)와 교수자의 평가(.921)에서 반응(responding)영역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자가 평가 간 비교에서는 해석(interpreting)영역과 반영(reflecting)영역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 판단력을 높일 수 있는 실습과정을 수정 및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내에 디브리핑 동안에 학생들의 간호 수행과 판단을 토론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nalyzing the clinical judgment process that occurs in a simulation of practic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pplying to LCJR. Subjects were two nursing college students in S city. Fever scenario and apnea scenario, including mock patient, were implemented.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간호 대학생 대상의 임상 판단력 평가 시 해석(interpreting)과 인지(noticing) 영역은 관찰 평가가 어렵다[8,13,30]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가 평가 방식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 기반의 임상 판단력과 간호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주도적인 학습방법으로 자리매김하는 시뮬레이션실습의 교육적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학 실습 교육의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일어나는 임상적 판단 과정을 LCJR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술적 서술 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상황에서의 LCJR 의 임상판단과정 평가를 통해서 간호 학생의 임상판단 과정을 분석하고자 수행된 연구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 교육 내에서 일어나는 임상적 판단 과정을 분석하여 임상적 판단 능력점수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임상 판단 점수는 LCJR 로 측정 하였으며 한국의 간호학생들의 임상 판단 점수는 평균 29점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이 사례연구 방법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선행 시뮬레이션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 및 간호사의 임상판단 및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임상판단이 간호에 미치는 요소들이 규명되지 않아 시뮬레이션 교육 내에서 임상판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깊이 있게 접근되지 않았다. 기존의 간호학 교육에서 임상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례연구 방법은 학생의 행동양상을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반면에 시뮬레이션 교육은 직접적인 문제행동을 관찰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측면이 있다. 특히 디브리핑(debriefing) 시간 동안에는 구성주의를 토대로 한 학생 스스로의 통찰, 통합 및 분석능력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13,21] 시뮬레이션 과정 동안 학생의 임상판단능력을 훈련하고 확인 및 평가 할 수 있다.
간호학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간호학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학생이 독립적으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역량 있는 간호실무자를 키워내는 것으로 정서적·인지적·기술적 영역을 아우르는 교육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교육의 평가 또한 세 가지 영역을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함은 크게 강조되고 있다. 정서적인 측면은 전문적 간호수행의 표준과 일치하는 가치, 태도, 신념 등을 개발하는 것이며, 인지적 측면은 사실, 개념, 원리 등을 학습하고 문제 해결능력을 높이는 것이고 기술적인 측면은 간호 기술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1].
LCJR의 평가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LCJR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에서 임상적 판단 능력(clinical judgement skill)을 평가하기 위해 Lasater에 의해 개발된 도구이다[10]. 평가도구는 4가지 영역(Noticing, Interpreting, Responding, Reflecting)과 11가지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영역은 초보단계(beginning, 1점), 개발단계(developing, 2점), 성취단계(accomplished, 3 점), 모범단계(exemplary, 4점)인 4개의 척도로 배점 처리되며 총점의 범위는 11∼4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적 판단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Kardong-Edgren, K. A. Adamson, C. Fitzgerald,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6, No.1, pp.e25-e35, 2010. DOI: https://dx.doi.org/10.1016/j.ecns.2009.08.004 

  2. P. R. Jeffries, B. Norton, Selecting learning experiences to achieve curriculum outcomes. In D. M. Billings & J. A. Halstead(Eds.), Teaching in nursing: A guide for faculty (2nd ed., pp. 187-212). St. Louis, MO: Elsevier, 2005. 

  3. K. C. Lim, "Simulation-based Clinical Judgment and Performance Ability for Tracheal Suction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3, No.3, pp.330-340, 2017. DOI: https://dx.doi.org/10.5977/jkasne.2017.23.3.330 

  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7. 

  5. K. I. Jeong, J. Y. Choi, "Effect of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ment Model on Simulation Based Learning Outcomes of End-of-Life Care for Nursing Students: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7, No.6, pp.842-853, 2017. DOI: https://dx.doi.org/10.4040/jkan.2017.47.6.842 

  6. K. Lasater, "Clinical judgement: The last frontier for evalua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11, No.2, pp.86-92, 2011. DOI: https://dx.doi.org/10.1016/j.nepr.2010.11.013 

  7. J. A. Kim, J. K. Ko, "A Study on Clinical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3, pp.1874-1883, 2015.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5.16.3.1874 

  8. C. A. Tanner,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e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5, No.6, pp.204-211, 2006. 

  9. P. Benner, C. A. Tanner, C. A. Chesla, Expertise in nursing practice: Caring, clinical judgement, and ethics. New York: Springer, 1996. 

  10. K. Lasater, "Clinical judge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11, pp.496-503, 2007. 

  11. M. L. Cato, K. Lasater, A. I. Peeples,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of their simulation experienc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0, No.2, pp.105-108, 2009. 

  12. K. Lasater, A. Nielsen, "Reflective Journaling fo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8, No.1, pp.40-44, 2009. DOI: https://dx.doi.org/10.3928/01484834-20090101-06 

  13. E. H. Ha, "Attitudes toward Video-Assisted Debriefing after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Nurse Education Today, Vol.34, No.6, pp.978-984,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nedt.2014.01.003 

  14. K. A. Adamson, P. Gubrud, S. Sideras, K. Lasater, "Assessing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se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Three Approach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1, No.2, pp.66-73, 2012. DOI: https://dx.doi.org/10.3928/01484834-20111130-03 

  15. J. Victor-Chmil, "Critical Thinking Versus Clinical Reasoning Versus Clinical Judgment: Differential Diagnosis", Nurse Educator, Vol.38, No.1, pp.34-36, 2013. DOI: https://dx.doi.org/10.1097/NNE.0b013e318276dfbe 

  16. S. Sideras, An examin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a clinical judgement evaluation tool in the setting of high-fidelity simulation (Unpublished dissertation).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 2007. 

  17. R. A. Kuiper, C. Heinrich, A. Matthias, M. J. Graham, L. Bell-Kotwall, "Debriefing with the OPT model of clinical reasoning during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5, No.1, pp.1-14, 2008. DOI: https://dx.doi.org/10.2202/1548-923X.1466 

  18. S. B. Issenberg, W. C. McGaghie, E. R. Petrusa, D. L. Gordon, R. J. Scalese,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Vol.27, No.1, pp.10-28, 2005. DOI: https://dx.doi.org/10.1080/01421590500046924 

  19. H. Shin, Y. Lee, D. H. Rim, "Evaluation of Algorithm-Based Simulation Scenario for Emergency Measures with High-Risk Newborns Presenting with Apn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1, No.2, pp.98-106, 2015. DOI: https://dx.doi.org/10.4094/chnr.2015.21.2.98 

  20. P. Benner, C. Tanner, "Clinical Judgment: How Expert Nurses Use Intui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87, No.1, pp.23-31, 1987. DOI: https://dx.doi.org/10.2307/3470396 

  21. K. Shim, H. Sh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1, No.2, pp.160-167, 2015. DOI: https://dx.doi.org/10.4094/chnr.2015.21.2.160 

  22. J. Kim, S. Kim, K. Bang, C. Koh, N. Lee, J. Yu,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9, No.2, pp.127-135, 2012. 

  23. H. P. Strickland, M. H. Cheshire, A. L. March, "Clinical Judgment During Simulation: A Comparison of Student and Faculty Scor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8, No.2, pp.85-86, 2017. DOI: https://dx.doi.org/10.1097/01.NEP.0000000000000109 

  24. R. Jensen, "Clinical reasoning during simulation: Comparison of student and faculty rating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13, No.1, pp.23-28,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nepr.2012.07.001 

  25. S. Decker, K. T. Dreifuerst, Integrating guided reflection into simulated learning experiences.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pp.73-85, 2007. 

  26. J. C. Childs, S. Sepples, "Clinical teaching by simulation: Lessons learned from a complex patient care scenario",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7, No.3, pp.154-158, 2006. 

  27. I. Colthart, G. Bagnall, A. Evans, H. Allbutt, A. Haig, J. Illing, B. McKinstry, "The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on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 needs, learner activity, and impact on clinical practice: BEME Guide no. 10", Medical Teacher, Vol.30, No.2, pp.124-145, 2008. DOI: https://dx.doi.org/10.1080/01421590701881699 

  28. D. A. Davis, P. E. Mazmanian, M. Fordis, R. Van Harrison, K. E. Thorpe, L. Perrier, "Accuracy of physician self-assessment compared with observed measures of competence: a systematic review", JAMA, Vol.296, No.9, pp.1094-1102, 2006. DOI: https://dx.doi.org/10.1001/jama.296.9.1094 

  29. A. H. Davis, L. P. Kimble, "Human Patient Simulation Evaluation Rubrics for Nursing Education: Measur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0, No.11, pp.605-611, 2011. DOI: https://dx.doi.org/10.3928/01484834-20110715-01 

  30. E. H. Ha, H. S. Song,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4, pp.445-454, 2015. DOI: https://dx.doi.org/10.5977/jkasne.2015.21.4.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