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Clinical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362 - 373  

김영희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반 간호학생에게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총 12회기로 운영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졸업학년 총 192명이었으며 2017년 3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 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와 paired t-test, t-검정, ANOVA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으로 수기능력 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42{\pm}.42)$점, 사후 $3.88({\pm}.61)$점, 임상적응력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74({\pm}.47)$점, 사후 $(3.98{\pm}.67)$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p=.017)과 임상수행능력(p=.041)은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사후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남성 군(p=.00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4)에서, 사후 임상수행능력은 남성 군(p=.01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9),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7), 사후 문제해결과정은 남성 군(p=.005),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re-experimental research design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pre-and post the effect of core fundamental education program of senior nursing student′s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linical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one semester. Core fundamental 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대학 졸업학년 4학년 간호학생 대상으로 졸업 6개월 전에 실시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4학년 간호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실시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1~10회기는 자율실습, 11회기는 개인별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12회기는 팀별 핵심경진대회의 총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 대학생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 전과 후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제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을 증진하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능력이란 무엇인가? 문제해결능력은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 기본역량으로[8]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실무 현장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수 요소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능력으로서[16],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문제해결능력[8]과 임상수행능력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은 졸업반 간호학생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키는 학습전략의 일환으로 단기성이 아닌 한 학기동안 3단계로 구분한 자율실습, 개인별 실기평가, 핵심경진대회를 통한 자기 주도적인 핵심기본간호술 습득으로 간호학생이 미래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직업정체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실질적인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근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간호사 직무수행 시, 수행 빈도와 중요도가 높아 간호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간호술 20가지를 핵심기본간호술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비교과프로그램의 일환으로전공능력 향상을 위해 졸업학년 4학년 간호학생 대상으로 3단계로 진행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능력이 학부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갖추어야 할 역량인 이유는 무엇인가?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능력은 학생들이 학부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갖추어야 하는 역량이다[9]. 이는 다양하고 복잡한 간호실무 상황에서 쉽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감을 가진 학생들은 더욱 임상실무에 적합한 간호사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향후 간호사로서의 책임감 있는 직무수행 및 효율적인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보고되어 왔으며, 임상수행능력에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기도 하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S. Yi,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12. 

  2. Aronof, f.N., Stellrecht, E., Lyons, A.G., Zafron, M.L., Glogowski, M., Grabowski,J., & Ohtake, P. J. "Teaching evidence-based practice principles to prepar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or an inter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5, No.4, pp.376-384. 2017. DOI: https://dx.doi.org/10.5195/jmla.2017.179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From: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4. A.K. Han, D.S. Cho, & J.S. Won,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21 No.2, pp.162-173, 2014.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2.162 

  5. S. S. Bang,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ahmyook, Seoul, 2014. 

  6. M.S. Jung, & Y.S. Kwon,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and Confid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4, pp.295-302,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4.295 

  7. Y. H. Kim,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Employment Strategy on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f Graduated Grad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0, pp.363-372. 2017.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7.18.10.363 

  8. S. O. Kim,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nyang, Daejeon, 2017. 

  9. M. Y. Oh,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ng Ju, Kongju, 2016. 

  10. Zhang, Z., Luk, W., Arthur, D., & Wong, T. "Nursing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 contributing to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3, No.4, pp.467-474. 2001. D O I :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1.01688.x 

  11. Klein, C. J., & Fowles, E. R.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e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25, No.2, pp.109-121. 2009. DOI: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8.08.006 

  12. Cheng, C.Y., Tsai, H.M., Chang, C.H.. & Liou,S.R."New Graduate Nurses'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A Longitudinal Study in Taiwa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 DOI: http://dx.doi.org/10.1155/2014/748389 

  13. H.S.Park., & J.Y. Han.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0, No.4, pp.438-448,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4.438 

  14. S.Y. Hong,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by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Kyungpook National, Daegu, 2010. 

  15. Heidari, M., & Shahbazi1, S. "Effect of training problem-solving skill on decision-making and critical thinking of personnel at medical emergen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ritical Illness & Injury Science, Vol.6, No.4, pp.182-187, 2016. DOI: http://dx.doi.org/10.4103/2229-5151.195445 

  16. J. S. Yu., S. H. Hwang, & Y. J. Choi, "Research Article: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3 No.4, pp.510-517, 2013. 

  17. M. S.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Ewha, Seoul, 2005. 

  18. Ok. H. Woo, & G. H. Park,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by Learners Metacognitive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15 No.3, pp.55-81, 1999. 

  19. Rivaz, M., Momennasab, M., & Shokrollahi, P. "Effect of collaborative testing on learning and retention of course cont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 Professionalism, Vol.3, No.4, pp.178-182, 2015. 

  20. M. A. Kim, A study of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Ewha, Seoul, 1996. 

  21. Porter, J., Morphet, J., Missen, K., & Raymond, A. "Preparation for high-acuity clinical placement: confidence levels of final-year nursing students",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Practice, Vol.4, pp.83-89, 2013. DOI: http://dx.doi.org/10.2147/AMEP.S42157 

  22. Malakooti, N., Bahadoran, P., & Ehsanpoor, S. " Assessment of the midwifery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before internship program in the field based on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Vol.23, No1, pp31-35, 2018. DOI: https://dx.doi.org/10.4103/ijnmr.IJNMR_181_16 

  23. Y. H. Kim,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0, pp.6176-618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0.6176 

  24. Ghasemi, M., Kordi, M., Asgharipour, N., Esmaeili, H., & Amirian, M. "The effect of a positive reappraisal coping interven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on coping strategies during waiting period of IUI treatment: An R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productive BioMedicine, Vol.15, No.11, pp.687-696, 2017. 

  25. H.J. Dong, & M.S.Choi,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3, No.4, pp.373-382, 2016.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6.23.4.3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