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Novelty of Business Ven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3 no.4, 2018년, pp.23 - 34  

윤현중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있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벤처기업의 기술력에 초점을 맞추어 보유한 기술 수준과 연구개발 투자가 어떻게 제품개발 성과를 증대시키는 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제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비록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많은 중요한 논의들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품개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개발 기능 분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제품개발 성과가 높은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며,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품개발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지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능 분화로 나타난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벤처기업에 형성된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Day & Wensley(1988) 모형을 적용하여,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제품 혁신성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한국의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703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부서의 기능 분화 및 기업가적 지향성 수준과 같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 혁신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혁신성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매개하여 성과로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제품 개발의 경우, 연구개발 부서를 통한 제품개발 전략실행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제품개발의 경우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제품개발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로 나타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product development has mainly focused on the role of venture firms' technolog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기존 연구들이 제시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인들을 강조한 연구 모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개발 전담 인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도 중요하지만 연구개발 부서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연구개발 기능의 분화를 파악해 볼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지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연구개발 기능부서의 존재가 제품개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연구개발 기술, 연구개발 투자, 연구개발 제휴 등에 대해서 많이 논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구개발 인력의 관리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연구개발 인력의 기능 분화에 대해서는 잘 논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가 제시하는 연구 모형은 기존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
  • 더구나 최근 연구들에서 신제품개발에서 중요하게 강조되는 기업가적 지향성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주로 기업가적 지향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기업가적 지향성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제품 개발에 미치는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부분들을 연구모형에 제안함으로써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또한 Day & Wensley(1988)의 연구 모형을 제품개발 맥락에 적용하여,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기업가적 지향성과 같은 제품개발 실행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최근 일부 연구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제품의 혁신성이 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최수형 외, 2017).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Day & Wensley(1988)의 연구 모형을 기반으로 하지만 실행 측면을 강조하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경우 매개변수가 고려되는 경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가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지만 회귀계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게 되는 경우 부분매개로 판정하게 되고 기존에 유의했던 독립변수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면 완전매개를 의미한다. 매개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obel test에 대한 검사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Day & Wensley(1998)의 모형을 제품개발 맥락에 적용해서 과연 어떠한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개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제품 혁신성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인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경우 연구개발 전담부서의 존재와 같은 기능 분화가 제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개발 기능부서와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어떻게 제품개발 성과로 나타나며, 그 과정에서 제품 혁신성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신제품개발 성과와 기존제품개발 성과를 구분하여 제품개발 전략의 효과 차이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의 접근법과 차이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제품개발 전략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제품 혁신성이 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품개발 전략실행이 제품 혁신성을 거쳐 제품개발 성과로 이어지는 지를 매개효과를 가설로 제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에 관심을 가진 실무자들과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방안들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 벤처기업에서 연구개발을 전담하는 부서의 존재 여부가 과연 제품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조직 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은 제품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Day & Wensley(1988)의 연구 모형을 제품개발 맥락에 적용하여,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기업가적 지향성과 같은 제품개발 실행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최근 일부 연구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제품의 혁신성이 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최수형 외, 2017).

가설 설정

  • 3)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잠재적 기회 탐색을 위해 과감하고 공격적이다.
  • 가설 1: 연구개발 부서가 존재하는 벤처기업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제품개발 성과가 클 것이다.
  • 가설 2: 기업가적 지향성이 높은 벤처기업일수록 제품개발 성과가 클 것이다.
  • 가설 3: 연구개발 부서가 존재하는 벤처기업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우보다 제품 혁신성이 클 것이다.
  • 가설 4: 기업가적 지향성이 높은 벤처기업일수록 제품 혁신성이 클 것이다.
  • 가설 5: 제품 혁신성은 연구개발 부서와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 제품 혁신성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연구개발 부서가 가지고 있는 지식 보유량은 제품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지식의 주요 저장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개발 부서를 보유한 기업들은 연구개발 부서가 없는 경우보다 보다 혁신적인 제품 창조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이러한 논리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부서가 존재하는 벤처기업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우보다 제품 혁신성이 클 것이라는 다음 가설을 제시한다.
  • 그렇기 때문에 벤처기업의 특성 중에서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개발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는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우형록·권정언, 2013; 홍진환 외, 2010). 이와 같은 논리와 증거를 기반으로, 기업가적 지향성 수준이 높은 기업에서 연구개발 부서가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다음 가설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벤처기업이란? 벤처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설립한 이후 축적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보다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벤처기업의 경우 기술에 기반하여 새로운 사업기회를 탐색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 운영의 핵심이기 때문에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구개발 기능이 중요하다고 논의되고 있다(Baron & Shane, 2005; Cooper et al.
벤처기업의 경우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구개발 기능이 중요하다고 논의되는 이유는? 벤처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설립한 이후 축적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보다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벤처기업의 경우 기술에 기반하여 새로운 사업기회를 탐색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 운영의 핵심이기 때문에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구개발 기능이 중요하다고 논의되고 있다(Baron & Shane, 2005; Cooper et al., 2004).
기업가적 지향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부분들을 연구모형에 제안함으로써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신제품개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차원들을 검토하기도 하고 제품개발 단계를 구분해서 전체 제품개발 과정을 검토하고 있지만, 신제품개발의 경우와 기존제품개발의 경우를 분리해서 파악하지는 않았다(나상균·나안균, 2010). 더구나 최근 연구들에서 신제품개발에서 중요하게 강조되는 기업가적 지향성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주로 기업가적 지향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기업가적 지향성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제품 개발에 미치는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부분들을 연구모형에 제안함으로써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um, J. A. C., Calabrese, T., & Silverman, B. S.(2000). Don't Go It Alone: Alliance Network Composition and Startups' Performance in Canadian Biotechnolog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March Special), 267-294. 

  2.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 Baron, R. A., & Shane, S.(2005).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Tompson, OH: South-Westen. 

  4. Choi, S. H., Kang, H. K., & An, N.(2017).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Small-Medium Enterprise's CEO on Business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4), 145-157. 

  5. Choi, J. Y.(2015). Relationship Analysis among Entrepreneurship, Innovation Capability, External Cooper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for Venture Compani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5), 219-231. 

  6. Cooper, R. G., Edgett, S. J., & Kleinschmidt, E. J.(2004). Benchmarking Best NPD practices,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47(1), 31-43. 

  7. Cohen, W. M., & Levinthal, D. A.(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8. Covin, J. G., & Slevin, D. P.(1991).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6(1), 7-25. 

  9. Covin, J. G., & Slevin, D. P.(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10. Day, G. S., & Wensley, R.(1988). Assessing Advantage: A Framework for Diagnosing Competitive Superiority, Journal of Marketing, 52(April), 1-20. 

  11. Deeds, D. I., & Hill, D.(1996). Strategic Alliances and the Rate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of Entrepreneurial Biotechnology Firm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1(1), 41-55. 

  12. Ernst, H.(2002). Success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4(1), 1-40. 

  13. Haeussler. C., Patzelt, H., & Zahra, S. A.(2012). Strategic Alliances and Product Development in High Technology New 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7, 217-233. 

  14.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5th e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5. Hoang, H., & Rothaermel, F. T.(2010). Leveraging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R&D Project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1(7), 74-758. 

  16. Hong, J. H., Choi, I. H., & Park, C. H.(2010). Market Orientation,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SMEs,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2(1), 107-131. 

  17. Jung, D. H., & Kim, H. J.(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 Traits and New product Creativity on Development Performance,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2), 109-132. 

  18. Keh, H. T., Nguyen, T. T. M., & Ng, H. P.(2007).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of SM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2(4). 592-611. 

  19. Kim, J. D.(1999).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Small and Large Firms,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10(2), 147-182. 

  20. Lester, D. H.(1998).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41(1), 36-43. 

  21. March, J. G.(1991).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 71-87. 

  22. Na, S. G., & Na, A. G.(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New Product Development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ith a Focus on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15(3), 85-99. 

  23.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24. Park, C. M.(2012).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MOT and NPD performance-Medium-Sized Manufacturing Firm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4), 159-168. 

  25. Rauch, A., Wiklund, J., Lumpkin, G. T., & Frese, M.(2009).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n Assessment of Past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3), 761-787. 

  26. Rothaermel, E. R., & Deeds, D. I.(2004).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lliances in Biotechnology: A System of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5(3), 201-221. 

  27. Seo, S. H., & Cho, S. H.(2000). A Study of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Focused on Korean Cosmetic Industry-, Korea Marketing Journal, 2(3), 64-89. 

  28. Stinchcombe, A. L.(1968).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s. In J. G. March (Ed.), Handbook of Organizations: 142-193. Chicago, IL: Rand McNally. 

  29. Thomke, S., & Reinertsen, D.(2012). Six Myths of Product Development, Harvard Business Review, May, 85-94. 

  30. Wiklund, J.(1999).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Performance Relationship,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ctice, 24(1), 37-48 

  31. Woo, H. R., & Kwon, J. E.(2013).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on SME's NPD,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1(2), 57-85. 

  32. Yang, Y. I.(2007). The Effects of Market Driven, Market Driving, Technological Orientations on Product Creativity and Performance, Korea Marketing Review, 22(4), 41-62. 

  33. Yoon, H. J.(2015). A Theoretical Review of Research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5), 45-62. 

  34. Yoon, H. J.(2014). A Meta Analysi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17(3), 19-40. 

  35. Zahra, S. A., & George, G.(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36. Zahra, S. A., & Nielson, A. P.(2002). Source of Capabilities, Integr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3(5), 377-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