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 지면에 앉아 추가적으로 수행한 몸통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2, 2018년, pp.249 - 257  

봉순녕 (남부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Sixtee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임상에서 몸통 조절 운동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적용되고 있지만, 불안정한 지면과 안정된 지면에 앉아서 수행하는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정된 지면과 불안정 지면에 앉아서 수행한 몸통운동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불안정 지면에 앉아서 실시한 몸통운동이 안정된 지면에서 수행한 몸통 조절 운동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지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몸통조절 운동을 시행하였으며, 이러한 운동이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Mori,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면과 안정된 지면 위에 앉은 상태에서 몸통조절 운동을 적용함으로써 지면의 상태에 따른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면에 앉아 수행한 몸통조절 운동이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불안정한 지면에 앉아 수행한 몸통 조절 운동이 안정한 지면에 앉아 수행한 몸통운동 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몸통손상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8).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몸통손상은 앉은 자세에서 자세유지와 균형, 몸통협응, 몸통조절, 하부몸통의 근력, 몸통의 위치감각 감소 등을 보인다(Van Criekinge et al., 2017).
몸통의 역할은 무엇인가? , 2008). 몸통은 척추와 골반을 안정화시키고 균형 조절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Kibler et al., 2006). 또한 기능적인 활동을 위한 상⋅하지의 협응조절에서 몸통은 선행적 자세조절 역할을 수행하며 (Ryerson et al., 2008), 뇌졸중 환자의 몸통손상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균형(51%), 보행속도(27%), 기능적 이동성(44%)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Verheyden et al.
뇌졸중 이후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해 살펴봐야 하는 변수들은 무엇인가? 뇌졸중 이후 보행능력의 향상은 대부분 환자들이 요구하는 목표이며, 지역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Bang & Shin, 2016).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행 속도, 분당 보폭 수, 보폭 길이와 이중 지지기간 등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살펴봐야하며, 이러한 변수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근력, 균형과 몸통조절 능력이다(Van Criekinge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kuthota V,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3 Suppl 1): S86-92. 

  2. Baker K, Rochester L, Nieuwboer A. The immediate effect of attentional, auditory, and a combined cue strategy on gait during single and dual tasks in parkinson's disea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2):1593-1600. 

  3. Bang DH, Shin WS.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6;38(4):343-349. 

  4. Bang DH, Shin WS, Choi HS.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with trunk restraint in early stroke patient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8;42(1):29-35. 

  5. Bang DH, Shin WS, Choi SJ.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trunk restraint in subacute stroke: a doub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5;29(6):561-569. 

  6. Bang DH, Shin WS, Kim SY, et al.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3;27(12):1118-1125. 

  7.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2008;88(5):559-566. 

  8. Cabanas-Valdes R, Bagur-Calafat C, Girabent-Farres M, et al. The effect of additional core stability exercises on improving dynamic sitting balance and trunk control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6;30(10):1024-1033. 

  9. Cabanas-Valdes R, Cuchi GU, Bagur-Calafat C. Trunk training exercises approaches for improving trunk performance and functional sitting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itation. 2013;33(4):575-592. 

  10. Duarte E, Marco E, Muniesa JM, et al. Trunk control test as a functional predictor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2;34(6):267-272. 

  11. Horak FB. Postural orientation and equilibrium: What do we need to know about neural control of balance to prevent falls? Age Ageing. 2006;35 Suppl 2:ii7-ii11. 

  12. Karatas M, Cetin N, Bayramoglu M, et al.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4;83(2):81-87. 

  13. Kibler WB, Press J, Sciascia A. The role of core stability in athletic function. Sports Medicine. 2006;36(3):189-198. 

  14. Lord SE, Rochester L. Measure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Stroke. 2005;36(7):1457-1461. 

  15. Medley A, Thompson M, French J.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fall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ury. 2006;20(13-14):1403-1408. 

  16. Mori A.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using a gym ball. Electromy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2004;44(1):57-64. 

  17. O'Sullivan P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ual Therapy. 2000;5(1):2-12. 

  18. Ryerson S, Byl NN, Brown DA,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2008;32(1):14-20. 

  19. Sparrow WA, Tirosh O. Gait termination: a review of experimental methods and the effects of ageing and gait pathologies. Gait & Posture. 2005;22(4):362-371. 

  20. Tyson SF. Trunk kinematics in hemiplegic gait and the effect of walking aids. Clinical Rehabilitation. 1999;13(4):295-300. 

  21. Van Criekinge T, Saeys W, Hallemans A, et al. Effectiveness of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gait performance: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2017;18(1):249. 

  22. van Uden CJ, Besser MP.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way system (gaitrite).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4;5:13. 

  23. Verheyden G, Nieuwboer A, De Wit L, et al. Time course of trunk, arm, leg,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ischemic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8;22(2):173-179. 

  24.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Neural Repair. 2009;23(3):281-286. 

  25. Xing Y, Yang SD, Dong F, et al. The beneficial role of early exercise training following stroke and possible mechanisms. Life Sciences. 2018;198:32-37. 

  26. Yang YR, Lee YY, Cheng SJ, et al. Relationships between gait and dynamic balance in early parkinson's disease. Gait & Posture. 2008;27(4):611-6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