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천연기념물 제214호)의 생육진단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Growth Diagnosis and Management Prescription for Population of Retusa Fringe Trees in Pyeongji-ri, Jinan(Natural Monument No. 214)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3, 2018년, pp.115 - 127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오현경 (계명대학교 동영학술림) ,  한상엽 (우석대학교 대학원) ,  최영현 (우석대학교 대학원) ,  손희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기념물 제214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枯死) 및 쇠약(衰弱) 요인의 명확한 진단(診斷)과 처방(處方)을 통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 존속(存續)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8년 13그루의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1973년을 시작으로 근년까지 계속적으로 고사가 진행되어 현재는 3주만 생존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이후 마령초등학교 담장 후퇴 등 정비과정에서 복토된 토양의 일부 제거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고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지정목 중 1 3번 생존목 또한 고사된 가지가 많고, 잎이 왜소하며, 엽량이 적었다. 1번목은 수세가 '극히 불량'하고 다량의 가지가 이미 고사하였으며, 금년에는 단지 2개 가지에서만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엽량 또한 현저히 적은 상태이다. 2번목 또한 '불량'상태로 잎이 작고 엽밀도도 낮으며 수형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등 수세가 쇠약한 상태이다. 현존하는 가장 큰 1번목은 논토양으로 추정되는 점질토가 복토되어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셋째,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토성 분석결과,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Silt loam(SiL)]'로 밝혀짐에 따라 미사(Silt)의 성분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번목 북측의 토양산도는 pH 6.6으로 다른 부위의 흙과는 편차가 컸는데 이는 원지반 토양이 아닌 외부에서 반입된 토양으로 복토되었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유기물함량은 적정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보호관리를 위한 시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 불량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복토(覆土)로 인한 심각한 생리저하의 만성적 증후군으로 판단된다. 이는 신규로 식재된 후계목 또한 일부 고사된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1차적으로 기존 고사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복토 부분에 대한 점진적 제거가 시급하다. 무엇보다도 근계부에 복토된 점질토양의 제거를 건의한다. 복토부를 제거한 후 굵은 모래로 치환하고 뿌리의 호흡 개선을 위해 유공관을 설치한다. 그리고 고사한 4번 고사목과 5 6번의 고사흔적인 밑둥은 제근하고, 하층식생은 예초한다. 생존목은 상부 고사지를 제거, 수피 이탈부는 외과수술을 시행하는 한편 생장점 아래에서 전정하여 맹아의 발생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하부 뿌리를 확인하여 부패근 절단 및 토양호흡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근계 전반에 대한 추적 굴취 등으로 썩은 뿌리부를 단근하여 새 뿌리의 발생을 유도한다. 일곱째, 이후 잡초 발생과 답압 억제 그리고 토양 보습효과 유지를 위한 멀칭을 시도한다. 또한 지속적 영양공급을 위한 무기양료 엽면시비 및 영양제 나무주사, 무기양료의 토양관주를 고려한다. 향후 모니터링과 예찰방안을 마련하여 계속적으로 변화상을 체크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through the clear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the dead and weakness factors of the Population of Retusa Fringe Trees in Pyeongji-ri, Jinan(Natural Monument No. 2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designation of 13 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8년 4~7월에 걸쳐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 지정구역 및 보호구역 일원을 대상으로 문화재 지정 이후 이팝나무군에 대한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동태 파악, 주변 식물상 및 식생, 지형 및 토양 조사, 개체별 지상부 및 뿌리 등의 활력도 조사 등에 따른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부진 원인 진단 그리고 이팝나무군에 대한 장단기 보존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생육환경의 분석을 통한 고사 및 쇠약 요인의 명확한 진단과 처방을 통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 존속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수세 및 생육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팝나무군 회생을 위한 장단기 활력도 회복 등의 응급처방과 장·단기 보존관리방안을 건의하고자 한다.
  • 수목의 활력도에 대한 조사항목은 수세, 수형,가지의 신장량, 지엽의 밀도, 엽형, 엽색, 맹아기, 낙엽상황, 개화상황 등이 일반적인 평가 항목이 된다[13]. 일반적으로 수목 활력도를 측정하는 장비로는 사이고미터(Shigometer)가 이용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수목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일뿐 아니라 현재 수세나 활력도가 육안으로 보았을 때도 매우 불량해 보이므로 천공을 통해 더 이상의 스트레스를 피하고자 육안 평가를 통해 판단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arris(2004)의 ‘수목활력도 평가[6]' 틀을 일부 수정 적용하였는 바, ‘신아발생상태’는 ‘개화상태’로 변경 조정하여 적용하였으며 ‘낙엽상태’는 이팝나무군의 모니터링(monitoring)을 시행하고 있는 전북나무병원 모니터링 기록일지(2015.
  • 천연기념물 제214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생육환경의 정확한 분석을 통한 고사 및 쇠약 요인의 명확한 진단과 처방을 통한 문화재로서의 가치 존속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도되었다. 수세 및 생육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이팝나무군 회생을 위한 장단기 활력도 회복 등의 응급처방과 장·단기 보존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 특히 수세 및 생육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팝나무군 회생을 위한 장단기 활력도 회복 등의 응급처방과 장·단기 보존관리방안을 건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기념물이란 무엇인가? 천연기념물은 우리의 삶과 함께 해 온 역사성과 문화성 등이 깃들어 있는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크고 오래된 나무를 의미하나[1], Lee(2009)는 수령이 많고 오래된 나무로서 진귀성, 고유성, 역사성 등의 학술적 가치가 있는 것[2], Jung(2011)은 당산, 정자, 군신, 전통수종 중 특별히 그 가치가 높은 것[3]으로, Jung(2008)은 수령이 오래된 거목인 마을나무로서 마을공동체의 문화적 유산인 것 등으로 정의한 바 있다[4]. 이처럼 노거수는 자연적 가치와 더불어 문화적 가치가 복합된 민족의 자연유산이다[5].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 불량의 근본적 원인은? 넷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 불량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복토로 인한 심각한 생리저하의 만성적 증후군으로 판단된다. 이는 신규로 식재된 후계목 또한 일부 고사 된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생육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들은 어떤 게 있는가? 1968년 총 13주 이팝나무에 대한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1973년을 기점으로 개체목의 고사 및 생육부진 현상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마령초등학교의 운동장 개선사업 및 옹벽과 진입로 정비공사 등에 따른 지형 및 토양 등 생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매우 심각한 손상과 수세 약화의 우려가 여러 경로를 통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현재 평지리 이팝나무군에 대한 회생 노력을 더 이상 늦추었을 경우, 이팝나무군은 빠른 시간 내에 절멸할 것이라는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 M. H.(2010).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Doctoral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2. Lee, E. B.(2009). Management Manual of Natural Monuments for Big Old Trees and Forest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ajeon: 40-80. 

  3. Jung, D. Y.(2011). A Study of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on Natural Heritage. Hankyong National Univ 

  4. Jung, K.(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for Old Big Trees. Univ. of Sangmyung 

  5. Son, J. W., Shin, J. H. and Lee, J. J.(2016). An Analysis on Vitality Status of Big Old Trees Preserved as Natural Monuments Based on Artificial Management1a. Korean J. Environ. Ecol. 30(3): 415-422. 

  6. Harris, R. W., J. R. Clark and N. P. Matheny(2004). Arboriculture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scape Tree, Shrubs and Vine 

  7. Korea National Arboretum,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Plants(2007).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Report of Korea National Arboretum. 

  8.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9. Ministry of Environment(2014). The 1st Management Plan of Exotic(2014-2018) List of 333 Exotic Plant Taxa. 4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0.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mphibians and Reptiles in Korea. Nature and Ecology. 

  11.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Japanese Books. Tokyo. 

  12. Yim, Y. J. and Jeon, E. S.(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3-4): 69-83. 

  13. http://www.rda.go.kr 

  14.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2014). Study on the Effect of Flooded Trees in New Flood Control Dam and the Introduction of Riparian Landscape Forest in Waterside 

  15. http://www.e-minwon.go.kr 

  16. http://webbuild.knu.ac.kr 

  17. http://www.jinan.go.kr 

  18. http://www.cha.go.kr 

  19. Joongang.joins.com 

  20. http://www.jjan.kr 

  21. http://www.ch-outreach.kr 

  22. Song, J. H., Gong, M. J. and Hong, S. P.(2011).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Taxonomic Consideration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2): 156-163. 

  23. Lee, W. C.(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Publications. Seoul. 

  24. Byun, J. K.(2006). Soil Analysis, Interpretation and Treatment of Planting Space Landscape Ecology and Construction, Volume 25: 1-16. 

  25. Kim, Y.(2006). Ecological study on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