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부정부패 행위 실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Corruption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56, 2018년, pp.125 - 144  

김흥태 (동국대학교-서울 경찰사법대학원 보안행정학) ,  이창배 (동국대학교-서울 경찰사법대학) ,  심현정 (신시내티대학교(미국) 형사사법학)

초록

부패방지는 역대 정부에서 주요 국정 과제로 추진되어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패방지 예방 정책은 특정 직업군만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관련 연구 또한 부패에 관한 인식조사 위주로 수행되어 개인의 부패경험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부패경험을 조사하고 그러한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부정부패 방지 정책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의 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집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고, 표본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포함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정부패행위의 간접경험, 부정청탁 상호작용, 공무원 부패 수준인식이 개인의 직접적인 부정부패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인의 부정부패행위를 막기 위해서는 부정부패행위 간접경험, 부정청탁 상호작용, 부패 수준인식에 초점을 둔 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개인의 직접적인 부정부패행위 실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정책 제언 및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anti-corruption has been one of the major governmental tasks in Korea, anti-corruption policies have been focused largely on government officials in public sectors, and most of the prior studies have examined government employees not public citizens. In order to fill the vacuum in the lit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개인들의 부정부패행위 경험에 대하여 살펴보고 부정부패행위의 실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정부패행위에 대한 간접경험, 부정청탁관련 상호작용, 부정부패 수준인식, 부정청탁행위에 대한 관행수용도가 개인의 직접적인 부정부패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효과적인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 부정부패와 관련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는 부패행위의 원인을 개인의 인식에 근거하여 접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특정 조직에 속한 공무원들에 집중된 경향이 많았으며, 개인의 부패경험에 대한 직접적 검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장지원, 2013; 박중훈⋅박준⋅정동재, 2017). 이 연구는 부정부패행위에 대한 간접경험, 상호작용, 부정부패 수준인식, 부정행위에 대한 관행수용도가 개인의 직접적인 부정부패행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일반인들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연구에 포함된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독립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부정부패행위 경험여부에 미치는 주요 변수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국가별 부패인식(CPI)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 몇 위인가? 2018년 2월 반부패운동 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17년 국가별 부패인식(CPI)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54점으로 세계 180국 가운데 5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는 52위로 1995년 부패지수 측정 시작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다(MBC 뉴스, 2018.
부패지수 측정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해는 언제인가? 2018년 2월 반부패운동 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17년 국가별 부패인식(CPI)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54점으로 세계 180국 가운데 5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는 52위로 1995년 부패지수 측정 시작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다(MBC 뉴스, 2018.02.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강조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부패를 방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16년「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이 법률은 공직사회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언론사 그리고 일반기업 및 시민 전반의 부패 관행과 문화를 차단하기 위한 총체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공직자에게는 청렴을 강조하고, 시민단체나 민원인 등 일반 시민에게는 공직자들의 부패 감시자 및 신고자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었던 과거의 정책들과는 다르게, 청탁금지법은 일반 시민의 부패행위인 부정청탁행위도 부패행위로 포함시켰을 뿐만 아니라 양벌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고길곤, 조수연 (2017). 시민의 부패 경험과 부패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의 관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8, 31-56. 

  2. 권오성 (2005). 한국부패의 사회.문화적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3. 노연상, 임창호 (2016). 경찰청렴성의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5, 129-154. 

  4. 민수홍 외 공역 (2017). 범죄학이론. 파주: 나남출판사. 

  5. 박경철 (2016). 영국의 반부패전략과 반부패법제. 강원법학, 47, 1-34. 

  6. 박준, 고길곤 (2017). 공직부패에 대한 인식과 경험간 괴리는 왜 발생하는가?.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503-2529. 

  7. 박중훈, 박준, 정동재 (2017). 청탁금지법 시대 한국사회의 부패 인식과 경험. 한국행정연구원. 

  8. 이순래, 이경상, 박철현 (2012).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 학교폭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92, 219-255. 

  9. 이완희, 유완석 (2014).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분석적 연구: 청소년 비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217-239. 

  10. 이윤호 (2011). 범죄학. 서울: 박영사출판사. 

  11. 이천현 (2015). 한국의 민간부패 현황과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 26, 267-303. 

  12. 장지원 (2013). 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3. 전수일 (2003). 한국의 권력형 비리에 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8, 85-107. 

  14. 조계표, 이영주 (2015). 경찰윤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5, 129-159. 

  15. 조재현 (2016). 싱가포르의 공직자 부패통제를 위한 법제와 기구에 관한 연구. 강원법학 47, 95-120. 

  16. 진종순, 서성아 (2007). 부패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부패행위. 행정논총, 45, 233-257. 

  17. 황성현 (2015). 청소년 비행이론의 상대적인 영향력 검증: 아동.청소년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4, 225-250. 

  18. Frederickson, H. G., & Rohr, J. A. (2015). Eth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Routledge. 

  19. Klitgaard, R. (1988). Controlling corruption. Univ of California Press. 

  20. Pazmandy, M. (2011). Socio-Economic Influences on Corruption Perception--Empirical Evidence from 27 European Countries. Hamburg Review of Social Sciences, 6(2), 52-80. 

  21. Rose, R., & Mishler, W. (2010). Experience versus perception of corruption: Russia as a test case. Global Crime, 11(2), 145-163. 

  22. Rose-Ackerman, S. (1999). Political corruption and democracy. Connecticut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14, 363. 

  23. Rose-Ackerman, S., & Palifka, B. J. (2016). Corruption and government: Causes, consequences, and refor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Treisman, D. (2007). 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causes of corruption from ten years of cross-national empirical research?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0, 211-24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