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 대상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실습교육이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 on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289 - 299  

오효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섬망강의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임상실습을 적용한 섬망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군 전후 설계이고 연구대상자는 4학년 간호학생들 91명이었으며 2017년 8월 14일에서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섬망교육 전 후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섬망간호 수행을 파악하였다. 섬망교육은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 섬망간호 강의를 1시간 한 후 섬망사정 및 섬망 예방간호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2주간의 임상실습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섬망교육 전 후 섬망지식(t=-11.23, p<.001), 섬망간호 자신감(t=-11.00, p<.001), 섬망간호 수행(t=-5.31,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섬망간호 수행은 의사소통 간호, 안위간호, 인지적 간호, 사정간호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섬망간호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실습 교육은 간호학생들의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및 섬망간호 수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using delirium checklist for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used pretest-posttest design with single group with 91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The study measured the delirium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erfo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간단하고 타당도 높은 섬망사정 및 예방중재 도구 활용을 통해 임상실습교육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를 근거로 간호학생들의 섬망환자 간호수행 역량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교육에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섬망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 대상으로 섬망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실습교육이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자신감,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섬망 예방간호 체크리스트는 NICE[21]의 섬망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김문자와 이해정[14]이 수정한 ‘섬망 예방간호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섬망예방을 중심으로 섬망 간호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수행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즉 입원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간호행위들이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호사나 학생들이 케이스환자에 대한 예방간호 수행여부를 ‘예, 아니오, 해당 없음’으로 체크하게 하였다.
  • 본 연구는 섬망교육에 있어서 간호학생들에게 임상실습에 간략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섬망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섬망교육을 임상실습과 접목하여 제공한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학생들에게 단지 정신간호학에서 섬망 이론교육만 제공할 것이 아니라 임상실습과 연계하여 간단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섬망사정 및 예방간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섬망간호 실습교육을 강화시켜야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의 목적과 자료의 익명성, 비밀보장에 대해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연구대상자가 원치 않을 경우 언제라도 참여를 거부하거나 중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성적 등 불이익은 없음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섬망간호 교육이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그리고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섬망간호교육을 운영 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섬망은 의식장애와 인지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의학적 상황으로 질병이나 투약, 약물남용 및 중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나 원인적 요소가 제거되면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될 수 있는 장애이다[1].
섬망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거나 또는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6]. 이렇듯 섬망 발생은 사망률을 높이고, 병원 재원일수를 증가시키는 등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섬망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거나 또는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7]. 최근에는 병원 입원환자들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서 섬망 발생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의료진의 섬망 예방과 관리에 대한 지식이 더욱 필요하다.
간호학생 때부터 임상실습교육시 섬망 교육을 포함시켜 훈련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또한 종합병원 간호사들이 섬망에 대한 교육경험이 적어 섬망에 대한 지식정도나 간호수행 정도가 낮게 나오고, 많은 간호사들이 섬망에 대한 교육이 필요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하였다[13]. 특히 간호사는 병동이나 중환자실 내 환자 곁에서 24시간 머물기 때문에 섬망 증상인 초조나 혼돈을 가장 먼저 관찰할 수 있고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섬망지식 부족과 섬망 간호에 대한 자신감 결여로 적절한 중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섬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학생 때부터 임상실습교육시 섬망 교육을 포함시켜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th ed.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S. K. Inouye, M. J. Schlesinger & T. J. Lydon. (1999). Delirium: A symptom of how hospital care is failing older persons and a window to improve quality of hospital care. Am J Med, 106, 565-573. 

  3. E. W. Ely, S. Gautam, R. Margolin, J. Francis, L. May, T. Speroff, B. Truman, R. Dittus, G. R. Bernard & S. K. Inouye. (2001). The impact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on hospital length of stay. Intensive Care Med, 27, 1892-1900. 

  4. Y. H. Kim & Y. C. Kwon. (2016). The convergent influence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arthroplas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69-377. DOI : 10.14400/JDC.2016.14.11.369 

  5. P. T. Trzepacz, D. J. Meagher & M. G. Wise. (2002). Neuropsychiatric aspects of delirium. In S.C Yudofsky & R. E. Hales(ed), textbook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34-564.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6. S. Fosnight. (2011). Delirium in the elderly. In C. M. Ruby, & J. T. Sherer(Eds), Geriatrics, Washington, DC : American College of Clinical Pharmacy, 7, 73-96. 

  7. E. Ely, A. Shintani, B. Truman, T. Speroff, S. Gorden & F. Harrell. (2004).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 1753-1762. 

  8. M. R. Steis & D. M. Fick. (2008). Are nurses recognizing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4(9), 40-49. 

  9. E. J. Choi, H. J. Lee, I. A. Kim, Y. J. Lim, M. S. Lee & M. J. Kim. (2011). Delirium assessment ability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Gerontology Nursing, 13(3), 233-241. 

  10. Y. S. Park, K. S. Kim, K. J. Song & J. Kang. (2006). A preliminary survey of nurses' understanding of delirium and their need for delirium education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y Nursing, 36(7), 1183-1192. 

  11. T. Akechi, C. Isigura, T. Okuyama, C. Endo, R. Sagawa, M. Uchida & T. Furukawa. (2010). Delirium training program for nurses. Psychosomatics, 51(2), 106-111. 

  12. H. J. Seo & Y. S. You. (2007).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1), 55-65. 

  13. Y. A. Yang. (2006).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n patients' symptoms of delirium.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4. M. J. Kim & H. J. Lee. (2014).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hospital nursing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5), 489-499. DOI : 10.7475/kjan.2014.26.5.489 

  15. S. H. Yun. (2017). Effect of delirium care education program on nurses'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Pusan. 

  16. I. S. Heo. (2011). The effects of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on nursing practice and stress,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17. J. Park & J. W. Park. (2013). Effects of a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on knowledge of delirium,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e. 20(2), 152-159. 

  18. G. R. Cho. (2001).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Master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9. Y. S. Park. (2011). The Development and Ef 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the Nursing of Delirium in Cancer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0. M. Y. Kim & Y. Eun. (2013).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in Orthopedic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 72-80. 

  21.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10). Delirium: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Retrieved July 15, 2018, from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Web site: https://www.nice.org.uk/guidance/cg103/ 

  22. S. K. Inouye, C. H. van Dyck, C. A. Alessi, S. Balkin, A. P. Siegal & R. I. Horwitz. (1990). Clarifying confusion: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3(12), 941-948. 

  23. H. J. Cho. (2011). Effect of delirium education on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nursing practi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4. J. Park & J. W. Park. (2013). Effects of a delirium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knowledge of delirium,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2), 152-159. 

  25. H. J. Koo & J. H. Yang. (2016).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postoperative delirium of elderly patients among recover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Education, 22(3), 387-395. DOI : 10.5977/jkasne.2016.22.3.387 

  26. J. Y. Kim & E. J. Lee. (2016).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for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83-193. 

  27. S. K. Inouye, R. G. Westendorp & J. S. Saczynski. (2014). Delirium in elderly people. Lancet, 383 (9920), 911-922. DOI : 10.1016/S0140-6736(13)60688-1. 

  28. S. K. Inouye. (2000). Prevention of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risk factors and targeted intervention strategies. Ann Med, 32, 257-263. 

  29. S. Grover & N. Kate. (2012). Assessment scales for delirium: A review. World Journal of Psychiatry, 2(4), 58. DOI : 10.5498/wjp.v2.i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