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별 연령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 비교에 대한 융합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5년) 활용
Convergence Study on the Comparison of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by Age and Gender: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5yea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571 - 587  

최원희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서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전미양 (경상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연령별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제 6기(2013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 12,506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고 빈도, 백분율, t-test, chi-squared test,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성에서 19~59세 그룹은 결혼상태, 비만도, 복부비만, 흡연, 신체활동, 고혈압, 당뇨병 및 주관적 건강상태였으며, 60세 이상 그룹은 비만도, 복부비만, 음주, 고혈압과 당뇨병이었다. 여성에서는 19~59세 그룹은 교육수준, 결혼상태, 비만도, 복부비만, 흡연, 신체활동, 고혈압, 당뇨병 및 주관적 건강상태이었으며, 60세 이상 그룹에서는 복부비만, 고혈압과 당뇨병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이상지질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건강증진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isk factors of dyslipidemia by age group in 19 years and over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506 adults aged 19 and over who attended the 6th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s a result of male risk factors, the 19-59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연령별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연령별로 구분하여 이상지질혈증에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비교함으로써 성별과 연령에 맞춘 이상지질혈증 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을 성별과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으며, 이에 이상지질혈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차별화된 고위험군 선별기준을 적용하여야 하고 예방 및 중재전략을 수립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령층을 19∼59세, 60세 이상으로 2개 군으로만 구분하고 있어서 남녀 모두 성인 초기와 중반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혈중 지질 농도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폐경연령을 기준으로 위험인자를 확인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녀별 연령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추출하고, 연령을 구분한 후에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을 확인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상지질혈증의 분석 대상자를 어떤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을 했는가? 제 6기(2013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 12,506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고 빈도, 백분율, t-test, chi-squared test,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이상지질혈증의 특징은? 이상지질혈증은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가 증가하거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되는 비정상적인 혈중 지질 상태이다 [1]. 이상지질혈증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1],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10% 증가하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30% 증가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30% 증가하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상지질혈증의 심혈관계 관련 특징은? 이상지질혈증은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가 증가하거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되는 비정상적인 혈중 지질 상태이다 [1]. 이상지질혈증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1],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10% 증가하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30% 증가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30% 증가하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또한, 중성지방 농도가 높은 경우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으며[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으면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면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서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위험이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mmittee for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5). 2015 Kore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Journal of Lipid Atherosclerosis, 4(1), 61-92. DOI : 10.12997/jla.2015.4.1.61 

  2. R. E. Hobbs. (2004).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merican Journal of Therapeutics, 11(6), 467-472. DOI : 10.1097/01.mjt.0000127150.21184.01 

  3. N. Sarwar, et al. (2007). Triglyceride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10,158 Incident Cases among 262,525 Participants in 29 Western Prospective Studies. Circulation, 115(4), 450-458. DOI: 10.1161/CIRCULATIONAHA.106.637793 

  4. J. P. Despres, I. Lemieux, G. R. Dagenais, B. Cantin, & B. Lamarche. (2000). HDL-Cholesterol as a Marker of Coronary Heart Disease Risk: the Quebec Cardiovascular Study. Atherosclerosis, 153(2), 263-272. DOI: https://doi.org/10.1016/S0021-9150(00)00603-1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Health People 2020 (2016-2020). Korean Health Promotion Institute(Online). http://www.khealth.or.kr 

  6. M. Y. Jeon, S. H. Choi, & Y. M. Seo. (2017). Risk Factors of Dyslipidemia and Related Factors of Medication Adherence in Korea Adults: KNHANES 2013-2015.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3), 130-140. DOI : 10.7586/jkbns.2017.19.3.131 

  7.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Dyslipidemia. (2018). Dyslipidemia Fact Sheet in Korea 2018.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Dyslipidemia(Oline). http://www.lipid.or,kr 

  8. H. Ebrahimi, M. H. Emamian, H. Hashemi, & A. Fotouhi. (2016). Dyslipidemia and its Risk Factors among Urban Middle-Aged Iranians: A Population-Based Study. Diabetes & Metabolic Syndrome: Clinical Research & Reviews 10(3), 149-156. DOI : 10.1016/j.dsx.2016.01.009 

  9. L. Qi, X. Ding, W. Tang, Q. Li, D. Mao, & Y. Wang. (2015).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in Chongqi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Public Health, 12(10), 13455-13465. DOI : 10.3390/ijerph121013455 

  10. C. Erem, A. Hacihasanoglu, O. Deger, M. Kocak, & M. Topbas. (2008). Prevalence of Dyslipidemia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Turkish Adults: Trabzon Lipid Study. Endocrine, 34(1-3), 36-51. DOI : 10.1007/s12020-008-9100-z 

  11. J. Tenk, et al. (2018). Perceived Stress Correlates with Visceral Obesity and Lipid Paramete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neuroendocrinology, 12(95), 63-73. DOI : 10.1016/j.psyneuen.2018.05.014 

  12. A. T. Frank, B. zhao, P. O. Jose, K. M. Azar, S. P. Fortmann, & L. P. Palaniappan. (2014). Racial/Ethnic Differences in Dyslipidemia Patterns. Circulation, 129(5), 570-579. DOI : 10.1161/CIRCULATIONAHA.113.005757 

  13. S. Y. Kim. (2016). New Concept of Treatment Guideline of Dyslipidemi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9(5), 349-351. DOI : 10.5124/jkma.2016.59.5.349 

  14. E. K. Lee, & O. Kim. (2013). The Factors related to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among Male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4), 432-443. DOI:10.7475/kjan.2013.25.4.432 

  15. N. S. Lee, K. J. Lee, J. J. Kim, & J. W. Lee. (2010). Korea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yslipidemia in Express Bus Driv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3), 221-229.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VI), 2013-20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Oline). http://knhanes.cdc.go.kr 

  17. S. Y. Lee, et al. (2006). Cut-off Point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5(1), 1-9. 

  18. D. P. Agarwal. (2000). Cardioprotective Effects of Light-Moderate Consumption of Alcohol: A Review of Putative Mechanisms. Alcohol, 37(5), 409-415. DOI : 10.1093/alcalc/37.5.409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J. H. Kang, B. G. Jeong, Y. G. Cho, H. R. Song, & K. A. Kim. (2010).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Evidenc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Health Corporation Data. Journal of Agriculture Medicine & Community Health, 35(1), 77-88. DOI : 10.5393/JAMCH.2010.35.1.077 

  21. G. B. Hanane, B. Assia, M. Khedidja, C. Karima, B. Mohamed, & B. Malika. (2017). Blood Pressure, Dyslipidemia and Inflammatory Factors are related to Body Mass Index in Scholar Adolescents. Archives of Medical Science, 13(1), 46-52. DOI : 10. 5114/aoms.2017.64713 

  22. H. M. Shin, S. H. Jee, J. H. Kim, & M. R. Kim. (2012). The Influence on Cardiovascular Mortality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8(1), 6-14. DOI : 10.6118/jksm.2012.18.1.6 

  23. S. Sharma, et al. (2016). Normal Weight Central Obesity and Mortality Risk in Older Adul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yo Clinic Proceeding, 91(3), 343-351. DOI : 10.1016/j.mayocp.2015.12.007 

  24. E. J. Hong, S. Y. Joe, & J. Song. (2018). Convergent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Results for Military Workers in Korea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 Focused on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4), 65-74. DOI : 10.15207/JKCS.2018.9.4.065 

  25. J. H. Jeong, et al. (2014).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Status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5(1), 35-44. DOI : 10.15656/kjcg.2014.15.1.35 

  26. H. Y. Shin, M. H. Shin, & J. A. Rhee. (2012).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Hypertension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BioMed Central Journal Public Health, 135, 1-6. DOI: 0.1186/1471-2458-12-135 

  27. S. Kim, E. H. Nah, & H. I. Cho. (2016). Association between Smoking, Metabolic Syndrome, and Arteriosclerosis in Korean Me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1), 18-26. DOI : 10.21032/jhis.2016.41.1.18 

  28. G. F. Fletcher, et al. (2013). Exercise Standards for Testing and Training: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8(8), 873-934. DOI: 10.1161/CIR.0b013e31829b5b44 

  29. O. M. Janinne, et al. (2015). Self-Perceived Stress is Associated with Adiposity and Atherosclerosis. The GEA Study. BioMedical Central Public Health, 15, 780-786. DOI: 10.1186/s12889-015-2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