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Mental Hardiness, subjective well-being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59 - 68  

지민경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하고, 계속적인 구강건강관리 도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북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안녕감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강인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에서는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충분한 사전 의사소통을 통한 각 진료 역량에 맞는 심리적 대응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대처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their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romote positive awareness of and access to dental service, and develop a plan for continuous oral health care. To collect data, conveni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하여 계속적인 구강건강관리 도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북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하여 계속적인 구강 건강관리 도모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시켜 계속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의 악화는 무엇을 초래할 수 있는가? 치과진료공포감이란 치과진료 시 각종 자극에 의해 환자가 느끼는 두려움의 반응 또는 주관적인 불안을 뜻하며, 과거 불쾌한 치료경험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 치과공포감으로 인한 구강건강의 악화는 우리 신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아도 구강건강은 음식물의 섭취, 소화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미용과 발음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3]. 또한 다차원적인 방면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분이 우울해지고, 자존감이 낮아지는 등의 부정적 감정, 심리상태를 가져오기도 한다[4].
높은 주관적 안녕감은 무엇에 영향을 받은 것인가?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는 것은 개인의 기준에 의한 삶의 질 혹은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상태이며, 많은 정적 정서경험, 적은 부적 정서경험이라 할 수 있다. 즉, 단순히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는 것에 추가하여 본인이 처한 환경들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인식, 대처해 나가는가와 같은 삶을 해석하는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다[10].
치과진료공포감이란 무엇인가? 치과진료공포감이란 치과진료 시 각종 자극에 의해 환자가 느끼는 두려움의 반응 또는 주관적인 불안을 뜻하며, 과거 불쾌한 치료경험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 치과공포감으로 인한 구강건강의 악화는 우리 신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아도 구강건강은 음식물의 섭취, 소화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미용과 발음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U. Berggren. (1992). General and specific fears in referred and self-referred adult dental patients with extreme dent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0, 395-401. 1992. 

  2. L. A. Cohen, T. L. Synder & A. D. Labelle. (1982). Correlates of dental anxiety in a university population.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42(3), 228-235. 

  3. J. B. Kim et al. (2013). Public oral health 5th ed. Seoul: KMS media : 1-810. 

  4. K. H. Song & S. H. Jung.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11(1), 25-43. 

  5. J. A. Wo. (2015). Development and Effect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Mothers with Media Addicted Children to Promote Mental Hardeness.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 H. Y. Kim. (2006). The Study in Hardiness Development Process. Master dissertation. Catholic National University, Seoul. 

  7. E. S. Jung & J. Y. Lee. (2013). Influ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on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204-215. DOI : 10.5392/JKCA.2013.13.09.204 

  8. C. B. Park & Y. G. Ko (2014). The Effect of Mental Fitness Positiv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o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fense Mechanism Style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3), 673-697. 

  9. E. Diener.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0. A. P. Brief, A. H. Butcher, J. M. George & K. E. Link. (1993). Intergrating botom-up and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case of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46-653. 

  11. D. Locker, A. Liddell & L. Dempster. (1999). Age of onset of dental anxiety. Journal of Dental Research, 78(3), 790-796. 

  12. H. R. Hwang, S. Y. Lee & Y. S. Cho. (2010). An Analysis of Dental Anxiety and Dental Utiliz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0(5), 357-363. 

  13. H. R. Park & S. J. Moon. (2009). Survey on the Knowledge Level of Oral Health and Prevention Behaviors of some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9(5), 485-490. 

  14. H. S. Lee, Y. M. Yoon, J. S. Lee & S. N. Kim. (2001). Restricted activity with oral disease in a Korea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5(3), 245-258. 

  15. S. H. Nam et al. (2017). Change in Perception on Dental Fear for Health and Non-Health Sciences University Students after Ora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102-109. DOI : 10.5392/JKCA.2017.17.10.102 

  16. Y. G. Kim, C. S. Kim & K. S. Lee. (2013). Related factors to dental fear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5), 873-879. 

  17. R. A. Kleinknecht, R. K. Klepac & L. D. Alexander. (1973).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fear of dentistry.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86(4), 842-848. 

  18. S. C. Kobasa. (1982). Commitment and coping in stress resistance among lawy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707-717. 

  19. P. Bartone, R. J. Ursano, K. M. Wright & L. H. Ingraham. (1989). The impact of a miltary air disaster on the health of asistance worker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 317-328. 

  20. C. H. Young. (1999). (The) volunte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ntinuance of telephone counseling activities : focused on subjective well-being, hardiness, helping beliefs. Master dissertation. Catholic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A. Campbell, P. E. Converse &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ral sociology, 42(2), 282-285. 

  22. J. W. Han. (1997). (The) influences of emotional expressivity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23. K. C. Kim.(1994). Difficulty in managing the behavior and time required for treating the pedodontic patient in association with their ag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121(2), 469-485. 

  24. J. R. Elter, R. P. Strauss & J. D. Beck. (1997) Assessing dental anxiety, dental care use and oral status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28(5), 591-597. 

  25. O. J. Ju & C. S. Park. (2012). The influence of pain experience upon dental fe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6), 1148-1157. 

  26. H. K. Lee. (2012).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Relations between Dental Fear of Adolescent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7. K. H. Lee, S. R. Kim, J. H. Gu, C. J. Kim & D. H. Choi. (2015). Relationship between dental fear and subjecti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4), 695-703. DOI : 10.13065/jksdh.2015.15.04.695 

  28. H. S. Yoon & J. H. Park. (2012).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Dental Fear in Dental Clin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6), 371-379. DOI : 10.5392/JKCA.2012.12.06.371 

  29. J. Y. Kim. (2014).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Fear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mong Teenag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8), 350-361. DOI : 10.5392/JKCA.2014.14.09.350 

  30. C. O. Kim. (2013).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Preventive Dental Services and the Degree of Dental Fear.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 S. S. Choi, J. Y. Kim, K. B. Song & S. K. Lee. (2004).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of dental fear among teenagers in private dental clin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8(4), 495-503. 

  32. H. J. Cho, M. J. Kim, J. E. Ha, K. H. Bae, D. H. Han & J. B. Kim. (2010). Dental anxiety and the associated factors and caries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Changw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1), 83-87. 

  33. S. K. Kim, M. H. Kim, H. J. Choi & J. G. Hwang. (2014). Related factors to dental fear in some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6), 881-886. 

  34. E. Skaret, M. Raadal, E. Berg & G. Kvale. (1999). Dental anxiety and dental avoidance among 12 to 18 years olds in Norway.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107(6), 422-428. 

  35. K. Firat, E. P. Tunc & V. Sar. (2006). Dental anxiety among adults in Turkey. Journal of Contemporary Dental Practice, 7(3), 75-82. 

  36. C. M. Ran.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7. N. S. Kim, G. E. Lee, M. K. Kwon & H. E. Kim. (2007). Ways of Coping and Health-Related Hard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2), 239-247. 

  38. B. L. Fredrickson. (2003).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scientist, 91, 30-35. 

  39. E. J. Koh et al. (2018).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6(1), 31-38. 

  40. M. G. Ji. (2017). The Effects of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Subjective Happines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85-194. DOI : 10.22156/CS4SMB.2017.7.4.185 

  41. Y. J. Hur. (2001). The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happiness.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2. A. Y. Oh, J. Y. Kim, H. S. Lee, Y. H. Choi & K. B. Song.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fear and OHRQoL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5(1), 93-101. 

  43. Y. O. Kim. (2005). The Effects of Hardiness : A Meta-Analysis of Korean Nursing Research Finding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5), 783-792. 

  44. S. M. Kwon. (2008). Positive psychology. Seoul : hakjisa. 

  45. I. H. Yi & H. K. Hwang. (2015). Personality-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ssociations based on Revised 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 Social Science Studies, 54(1), 231-261. 

  46. S. Y. Park & S. A. Lim. (2018).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ffect the oral health with subjective depression experience of adolesc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45-53. DOI : 10.22156/CS4SMB.2018.8.4.0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