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분석
An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Korean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3, 2018년, pp.55 - 75  

소병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우신고) ,  송기호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나타난 특징을 알아보고 활성화 전략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K대학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등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은 학교도서관이 교육 시설로서 꼭 필요하며 지속적인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여가 및 문화생활 기반을 조성하고 독서 분위기와 독서교육 활성화에 매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이용 횟수는 월 1회 정도로 낮고, 이용 목적은 주로 교양 함양과 여가 선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이용 시 불편한 점은 자료 부족과 교사 열람 공간 부재라는 응답이 많았다. 특히 도서관 활용수업 방법에 대한 지식과 필요성이 부족하고, 준비 시간과 자료도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학교도서관 관련 연수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동료 교사를 통한 연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등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을 교과 수업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재연구와 개인연구에 필요한 시설과 장서를 확충하고, 동료 장학을 활성화하는 등의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chool librarie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ts' ac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29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시간 부족이 도서관 활용수업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고, 디지털 자료실에 대해서는 시설․설비 노후와 콘텐츠 부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 시설로서의 가치와 지속적인 투자 필요성을 포함하고, 기존 연구에는 빠져있던 연수에 대한 경험을 포함하였다. 또한, 설문 대상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2003~2007년) 이후 학교도서관을 경험하거나 교사 교육을 받은 중등 교사들로 좀 더 구체화하였다.
  • 따라서 교사들의 학교도서관 필요성 인식은 사서교사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를 통해서 유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제도적 기반이 다른 해외 사례를 제외하고, 국내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용성과 일반교사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에 K대학 교육연수원이 주관한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등 교사 중 4개 교과 계열(인문, 사회, 예·체능, 특수)교사 5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이용 경험에 나타난 특징을 설문을 통해서 알아보고 활용 활성화 전략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에 K대학교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등 교사 229명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교육 시설 및 지속적인 투자 필요성과 효용성)과 이용 경험(이용 빈도와 목적, 불편한 점, 교과 운영 및 연수 경험)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ASL(1993)의 ?학교도서관 정책 성명서에서 학교도서관을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IASL(1993)의 학교도서관 정책 성명서에서는 학교도서관을 학교 프로그램과 분리해서는 안 되는 교수-학습과정을 위한 필수 기관으로 규정하고,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정보․교육․문화․여가와 같이 4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2001~2004년)과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2003~2007년) 등을 통해서 학교도서관을 단순한 자료의 보존 공간에서 새로운 교실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학교도서관 이용시 불편한 점 중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것은 무엇인가? 학교도서관 이용 횟수는 월 1회 정도로 낮고, 이용 목적은 주로 교양 함양과 여가 선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이용 시 불편한 점은 자료 부족과 교사 열람 공간 부재라는 응답이 많았다. 특히 도서관 활용수업 방법에 대한 지식과 필요성이 부족하고, 준비 시간과 자료도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학교도서관을 정보활용능력 신장과 학습 공동체 형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 학교도서관이 학교 공동체의 중심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교육적 가치와 효용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교과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 지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이고 현실적인 활성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0. Delight of Learning and Happiness of Knowing in the School Libraries. Daegu: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2001. Policy Direction of the School Library in Knowledge-based Societ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the Digital Room in Libraries.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4. Park, Kyeong-Rae. 2008.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Librarians' Roles. M.A. thesis. Educational Graduate School of Chunbuk National University. 

  5. Song, Gi-Ho. 2010. A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317-337. 

  6. Lee, Man Soo, Byeong-Ki Lee and Gi-Ho Song.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school library. Seoul: Korea Publishing Research Institute. 

  7. Lee, Yoo-Kyeong. 2006.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Libraries and Librarian Teachers. M.A. thesis. Educational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sity. 

  8.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2018. No.15368. 

  9. KERIS. 2003. Applying School Library Evaluation and Measur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Seoul: KERIS. 

  10. KERIS. 2004. An Analysis Study on Operation Status and Effects of the Digital Room and DLS. Seoul: KERIS. 

  11. Han, Yoon-Ok. 2001.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Image of Teacher-Librarian as Profess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211-234. 

  12. Hong, Jeong-Won. 200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General Teacher for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Library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M.A. thesis. Educational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13. IASL. 1993.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cited. 2018. 05. 01]. . 

  14.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cited 2018. 05. 01]. 

  15. IFLA and UNESCO. 1999. School Library Manifesto. [cited. 2018. 05. 0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