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이용자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혁신성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User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Innovativ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195 - 206  

신현철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  김용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응용경제학과) ,  김용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소비자 혁신성 등의 특성이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데이터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이용자 특성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이용 여부를 프로빗 모형과 다항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 쾌락적 혁신성을 가진 이용자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기 쉽고 이에 비하여 인지적 혁신성을 가진 이용자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관련하여 기능적 혁신성은 카카오스토리의 이용 확률을 높이고 쾌락적 혁신성은 인스타그램의 이용 확률을 증가시키나 인지적 혁신성은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밴드의 이용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혁신성과 관련된 제품을 홍보함에 있어 어떤 소셜미디어를 채택할 것인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몇가지 소셜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분석을 시도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consumer innovativeness on using popular social media in Korea. Social media usage is estimated by probit and multinomial probit model with user characteristics using Korea media panel data of 2019. According to the analysi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는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에서 Vandecasteele & Geunes 류의 네가지 차원의 소비자 혁신성이 조사된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소비자 혁신성이 소셜미디어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소셜미디어 이용에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정보기기들이 주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개인 특성 및 주로 이용하는 소셜미디어 별 개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프로빗 분석과 다항 프로빗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두 가지 모형 모두 개인의 선택이 효용으로부터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효용을 관측 가능한 부분과 관측되지 않는 확률적 효용으로 구분한다.
  • 본 연구는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셜미디어별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네가지 소셜미디어의 선택에 기능적, 쾌락적, 사회적, 인지적 혁신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른 이용자 특성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여기에서는 이용자의 어떤 특성이 기타 소셜미디어 대비 특정 소셜미디어의 이용 확률을 높이는가를 살펴본다.
  • 연구문제2: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는 소셜미디어 들은 이용자들의 소비자 혁신성과 소비자 특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 우리는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에서 Vandecasteele & Geunes 류의 네가지 차원의 소비자 혁신성이 조사된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소비자 혁신성이 소셜미디어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하지만 국내 문헌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다루고자 한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에 새로운 혁신 제품을 광고하고자 하는 기업에게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이러한 새로운 제품이나 아이디어를 수용함에 있어 소비자 혁신성 등의 이용자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적 제품의 중요한 광고 매체인 소셜미디어의 소비자 혁신성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문헌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다루고자 한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에 새로운 혁신 제품을 광고하고자 하는 기업에게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개인 특성 및 주로 이용하는 소셜미디어 별 개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프로빗 분석과 다항 프로빗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두 가지 모형 모두 개인의 선택이 효용으로부터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효용을 관측 가능한 부분과 관측되지 않는 확률적 효용으로 구분한다. 프로빗 모형에서의 효용(Ui)과 다항 프로빗 모형에서 대안 j를 택할 경우의 효용 (Uij)은 식 (1), 식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이란 무엇인가? Rogers는 ‘혁신(innovation)이란 그것을 채택하는 개인에게 있어 새로운 것으로 인식되는 아이디어나 관행 또는 사물이라고 정의’하였고 이러한 ‘혁신을 수용하는 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23]. 또한 Rogers and Shoemaker는 혁신성(innovativeness) 을 ‘어떤 개인이 평균적인 사람들에 비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대적으로 일찍 수용하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24].
해외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해외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도 많은데 이중 최근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다음이 있다. Bulut & Doğan은 터키의 소셜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로 사업동기, 게시글 작성, 친목, 오락, 자기 정체성 확립, 소통, 그리고 정보탐색 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중 정보탐색과 소통이 중요한 이용동기임을 밝혔다[17]. Khan은 소셜미디어 중 유튜브에 대한 이용자의 참여와 콘텐츠 소비 행태를 분석 하였는데, 이용 동기 중 오락, 사회적 교류, 정보제공 및 정보탐색 등이 참여와 소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였다[18]. Stockdale & Coyne는 청소년들이 성인으로 성장함에 따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하였다. 이들은 소셜미디어 이용에 있어 지루함의 완화, 정보 탐색 그리고 타인과의 연결 등의 동기가 작동하고 있음과 이러한 동기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었다[19].
인게이지먼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에 따라 이들은 자사 소셜미디어의 이용자수와 이용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기업에 광고를 하는 광고주는 이용자들의 관여(involvement)나 흥미(interest) 등을 의미하는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한다[4]. 그런데 이용자수, 이용정도 및 인게이지먼트의 향상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정보는 이용자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 Y. Kim. (2020.7.9). In Messengers and Portals, Kakao and Naver rank No. 1 respectively according to Mobile Index Report regarding 'Major Mobile App Usage Comparison. Game Focus. http://gamefocus.co.kr/detail.php?number106974 

  2. KISDI. (2019). 2019 Korea Media Panel Data. Jincheon : KISDI. 

  3. Gallup Korea. (2020.6.3). Market 70, No. 2B-Contents, and Social Network Service. Gallup Report. http://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113 

  4. H. M. Byeon and S. W. Shim.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Engagement with Social Media and Social Media Advertising: The Differentiating Role of Platform Type (Instagram, Facebook and Youtube).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2), 58-90. 

  5. Y. Chang. (2012). A Study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Using Social Media: Comparison between Portal Advertisement, Blog, and SNS Channe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8), 119-133. 

  6. H. Kim (2018). The Study on Receptive Attitude of Advertising Message Forms and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SNS’ Type and Use Inten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255-265. DOI : 10.14400/JDC.2018.16.11.255 

  7. H. T. Nguyen & M. Chaudhuri. (2019) Making new products go viral and succeed.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36(1), 39-62. DOI : 10.1016/j.ijresmar.2018.09.007 

  8. K. Y. Lee & H Choi. (2019). Predictors of electronic word-of-mouth behavior on social networking sit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Cultural and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4, 9-18. DOI : 10.1016/j.chb.2018.12.025 

  9. B. H. Lee, S. Han, S. K. Yi & S. H. Lee. (2013). Exploratory Study of Underlying Dimensions of Use Motive in Social Media and Marketing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8(2), 87-108. 

  10. E. H. Jung, & S. Sundar. (2016). Senior citizens on Facebook: How do they interact and wh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27-35. DOI : 10.1016/j.chb.2016.02.080. 

  11. Y. S. Koo, K. Lim, K. Kim & Y. Cho. (2014). Analysis of user characteristics regarding social network services in South Korea using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88, 232-240. DOI : 10.1016/j.techfore.2014.07.001 

  12. C. Park, J. Jun & T. Lee. (2014).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 comparision between Korea and U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32(3-4), 414-437. DOI : 10.1108/IMR-09-2013-0213 

  13. S. W. Lee & J. Lee. (2017). A comparative study of Kakaostory and Facebook: Focusing on use patterns and use motiv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1), 220-229. DOI : 10.1016/j.tele.2016.04.013 

  14. B. Suh.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ocial Network and the Purpose of Customers' Use : A Comparison of Cyworld, Facebook, and Twitter.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2), 109-125. 

  15. H. H. Shin & K. R. Kim. (2017).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Usage according to Morphological evolution of SNS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use of Facebook and Insta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155-164. 

  16. J. K. Lee & Y. Choi. (2015). Why People Use Social Media? : A Comparison of Open and Closed SNS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9(1), 115-148. 

  17. Z. A. Bulut & O. Dogan. (2017). The ABCD typology: Profile and motivations of Turkish social network sites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7, 73-83. DOI : 10.1016/j.chb.2016.09.024 

  18. M. L. Khan. (2017). Social media engagement: What motivates user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on YouTub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236-247. DOI : 10.1016/j.chb.2016.09.024 

  19. L. A. Stockdale & S. M. Coyne. (2020). Bored and online: Reasons for using social media, problematic social networking site use, and behavioral outcomes across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ce, 79, 173-183. DOI : 10.1016/j.adolescence.2020.01.010 

  20. D. Lee. (2017).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s' Users by Korea Media Panel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3), 1363-1378. 

  21. R. Grieve. (2017). Unpacking the characteristics of Snapchat user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an agenda for future resear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4, 130-138. DOI : 10.1016/j.chb.2017.04.032 

  22. C. Shane-Simpson, A. Manago, N. Gaggi, & K. Gillespie-Lynch. (2018). Why do college students prefer Facebook, Twitter, or Instagram? Site affordances, tensions between privacy and self-expression, and implications for social capita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6, 276-288. DOI : 10.1016/j.chb.2018.04.041 

  23. E. M. Rogers.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24. E. M. Rogers & F. F. Shoemaker. (1971). Communications of Innov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25. G. R. Foxall, R. E. Goldsmith & S. Brown. (1998). Consumer psychology for marketing. London: Int. Thomson Business Press. 

  26. B. Vandecasteele & M. Geuens. (2010).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 measurement, and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7(4), 308-318. DOI : 10.1016/j.ijresmar.2010.08.004\ 

  27. E. C. Hirschman. (1984). Experience seeking: A subjectivist perspective of consump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2(1), 115-136. DOI : 10.1016/0148-2963(84)90042-0 

  28. M. P. Venkatraman. (1991).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and innovation type on adoption. Journal of Retailing, 67(1), 51-67. 

  29. H. Baumgartner & J. B. E. M. Steenkamp, (1996). Exploratory consumer buying behavio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3(2), 121-137. DOI : 10.1016/0167-8116(95)00037-2 

  30. G. Roehrich. (2004).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6), 671-677. DOI : 10.1016/S0148-2963(02)00311-9 

  31. M. P. Venkatraman & L. L. Price. (1990). Differentiating Between Cognitive and Sensory Innovativeness Concept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4), 293-315. DOI : 10.1016/0148-2963(90)90008-2 

  32. H. Kim. (2011). Dual Path Impacts of the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New Products Adoption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8), 187-197. 

  33. Y. Chang. (2017).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ttitude towards space travel and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pace tourism technology. Current Issues in Tourism, 20(14), 1431-1453. DOI : 10.1080/13683500.2015.1005580 

  34. B. Hetet, C. Ackermann & J. Mathieu. (2019). The role of brand innovativeness on attitudes towards new products marketed by the brand.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29(5), 569-581. DOI : 10.1108/JPBM-02-2019-2243 

  35. J. Hwang, H. Kim, & W. Kim. (2019). Investigating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context of drone food delivery service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38, 102-110. DOI : 10.1016/j.jhtm.2019.01.004 

  36. J. Hwang, S. Park, & I. Kim. (2020). Understanding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context of a robotic restaurant: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knowledge.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44, 272-282. DOI : 10.1016/j.jhtm.2020.06.003 

  37. S. Park & K. Chung.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for Smartphone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Price Sensitivi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9(4), 575-595. DOI : 10.18032/kaaba.2016.29.4.575 

  38. H. H. Park & M. J. Noh. (2012).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and Price Sensitivity on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2), 218-230. 

  39. S. Yu. (2012). The Effects of Consumer Functional, Hedonic, and Social Innova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Usability and Capabilit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7(3), 45-68. 

  40. E. Lee, J. Lee, M. Cho, Y. Sung & S. Choi. (2018). The Effect of Innovativeness and Self-Regulatory Focus on the Use of Internet of Thing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9(1), 67-91. 

  41. M. Pagani, C. F. Hofacker & R. E. Goldsmith. (1991).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ctive and Passiv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Psychology & Marketing, 28(5), 441-456. DOI : 10.1002/mar.20395 

  42. J. K. Dow & J. W. Endersby. (2004). Multinomial probit and multinomial logit: A comparison of choice models for voting research. Electoral Studies, 23(1), 107-122. DOI : 10.1016/S0261-3794(03)00040-4 

  43. V. V. Can. (2013). Estimation of travel mode choice for domestic tourists to Nha Trang using the multinomial probit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49, 149-159. DOI : 10.1016/j.tra.2013.01.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