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한식 섭취가 혈청 GGT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herence to Korean diets on serum GGT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5, 2018년, pp.386 - 399  

정수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채수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한식 섭취가 12주간의 경과 과정에서 4차례의 방문(0주, 4주, 8주, 12주)을 통해 측정한 혈청 GGT, 혈압 및 glycemic control data, 심혈관계 위험지표 및 식이섭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는 평균 연령은 $61.8{\pm}1.9$세로 한식군 (21명)의 경우 건강한 한식을 1일 3끼씩 12주간 제공된 식사를 섭취하였고, 대조군 (당뇨병 식이 가이드라인에 따른 관리교육을 받은 자) 20명은 평소 섭취하던 당뇨조절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였다. 2.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두군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맥박수는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7). 3. 당화혈색소 (HbA1c)는 한식군에서 연구 참여 전과 후 각각 $6.8{\pm}.2%$, $6.1{\pm}.2%$로 감소하고 대조군은 각각 $6.8{\pm}.2%$, $6.5{\pm}.2%$로 감소되어 한식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폭이 컸다 (p = 0.004). 4. 혈청 GGT는 한식군에서 연구 참여 전과 후 각각 $28.8{\pm}4.5IU/L$, $19.8{\pm}3.2IU/L$로 감소하고 대조군은 각각 $30.0{\pm}4.1IU/L$, $33.9{\pm}5.0IU/L$로 증가되어 한식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5.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경향이었으나 두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free fatty acid는 한식군에서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2). 6. 신체계측 지표인 체중 (p = 0.002), 체질량지수 (p = 0.002), 체지방량 (p < 0.001), 체지방율 (p < 0.001)은 연구 참여 전에 비해 연구 참여 12주 후에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7. 치료약물의 변화량은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한식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은 수의 환자가 실제로 고혈압, 당뇨병 및 고지혈증 치료 약물을 감량할 수 있었다. 8. 한식군은 연구 참여 동안에 전곡류의 밥, 채소류인 나물류, 김치 및 전통 콩발효식품 등의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01). 9. 한식군은 동물성식품에서 유래한 동물성 단백질 (p < 0.001), 지질 (p < 0.001) 및 콜레스테롤 (p = 0.034)의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총칼로리(p < 0.001), 엽산 (p < 0.001), 식이섬유 (p < 0.001), 나트륨(p < 0.001), 칼륨 (p < 0.001), 비타민 A, C, E (p < 0.001) 및 비타민 B류 (p < 0.001)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극적인 전곡류로 만든 밥을 중심으로 한 한식 섭취는 당뇨병 및 고혈압 환자에서 대사성질환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인 혈청 GGT, 맥박수, 혈당조절 지표 및 비만지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upply of healthy Korean diets for 12 week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serum GGT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41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ypertens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모두 진단 받은 환자에서 건강한 한식의 식이중재를 시행 했을 때 혈청 GGT 및 심혈관질환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전향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한식 섭취가 혈청 GGT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혈당조절지표로 알려진 당화혈색소 (HbA1c)는 한식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 72%가 감소하여 당뇨치료식과 채식위주 식사보다 감소효과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혈당조절이 유의하게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연구대상자들이 전곡류와 채소류인 나물류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 질과 지방을 섭취한 것에서 일부분 개선효과를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자 한다.30-35 실제로 식이섬유소 섭취를 많이 할수록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은 여러 코호트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고32 전곡류 섭취는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을 낮추는 것에도 관련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제의 선택 뿐 만 아니라 생활습관 방식의 수정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이미 확립 되어 있다. 심혈관계질환 (cardiovascular disease, CVD)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압 및 비만 등 기존의 모든 위험인자를 통합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특히 식이요법은 제 2형 당뇨병관리에 핵심요소 중 하나이며 규칙적인 운동과 약물요법이 병행되어 시행되고 있다.
GGT의 역할은? 2-3 일반적으로 혈청 gammaglutamyltranserase (GGT)는 간효소 지표하나로써 간부전 및 과도한 알콜섭취를 나타내는 표지자로 널리 사용된다.GGT는 인체 여러 기관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는 효소로 세포 내 글루타치온 (glutathione, GSH)의 농도를 높게 유지함으로써 항산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GGT가 증가하게 된다.4 최근, 많은 연구에서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에서 혈청 GGT 농도는 알콜 섭취와 간담도계의 질환과는 무관하게 대사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그 중요성에 대해 인식되고 있다.
한식이 고혈압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게 효과적인 식단인 이유는? 인체 내 POPs의 노출을 줄이려면 되도록 생선을 포함한 동물성지방산이 함유된 식품섭취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18 여러 선행연구에서 전곡류 식사 및 채식위주의 식이요법은 고혈압환자에서는 혈압 강하 효과를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 효과뿐만 아니라 혈청 GGT 감소 효과에 대한 임상적 효과에 대해 알려져 있다.13,19 한식은 한상에 밥, 국, 김치 그리고 다양한 반찬으로 정성스럽게 차려진 밥상으로써, 다양한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채소를 다량 섭취하고 육류보다 콩과 생선을 섭취하며 콩발효 장류와 마늘, 파, 생강, 참기름, 그리고 들기름으로 갖은 양념을 하여 만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Evert AB, Boucher JL, Cypress M, Dunbar SA, Franz MJ, Mayer-Davis EJ, Neumiller JJ, Nwankwo R, Verdi CL, Urbanski P, Yancy WS Jr;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Nutrition therapy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013; 36(11): 3821-3842. 

  2. Yu SY, Hong HS, Lee HS, Choi YJ, Huh KB, Kim WY. The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d dietary factors in Korean type 2 DM patients. Korean J Nutr 2007; 40(1): 31-40. 

  3. Perry IJ, Wannamethee SG, Shaper AG. Prospective study of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risk of NIDDM. Diabetes Care 1998; 21(5): 732-737. 

  4. Lee DH, Blomhoff R, Jacobs DR Jr. Is serum gamma glutamyltransferase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Free Radic Res 2004; 38(6): 535-539. 

  5. Lee DH, Ha MH, Kim JR, Gross M, Jacobs DR Jr. Gamma-glutamyltransferase, alcohol, and blood pressure. A four year follow-up study. Ann Epidemiol 2002; 12(2): 90-96. 

  6. Turgut O, Yilmaz A, Yalta K, Karadas F, Birhan Yilmaz M. Gamma-glutamyltransferase is a promising biomarker for cardiovascular risk. Med Hypotheses 2006; 67(5): 1060-1064. 

  7. Lee DH, Jacobs DR, Gross M. Gamma-glutamyltransferase is a predictor of incident diabetes and hypertension: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Clin Chem 2003; 49: 1358-1366. 

  8. Lim JS, Kim YJ, Chun BY, Yang JH, Lee DH, Kam S.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GT level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1): 101-106. 

  9. Kunutsor SK, Abbasi A, Adler AI. Gamma-glutamyl transferase and risk of type II diabet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Ann Epidemiol 2014; 24(11): 809-816. 

  10. Du G, Song Z, Zhang Q. Gamma-glutamyltransferas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and all-cause mortality: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Prev Med 2013; 57(1): 31-37. 

  11. Kunutsor SK, Apekey TA, Cheung B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risk of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evidence. J Hypertens 2015; 33(12): 2373-2381. 

  12. Alissa EM. Relationship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ctivity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metabolic syndrome. J Family Med Prim Care 2018; 7(2): 430-434. 

  13. Lee DH, Silventoinen K, Jacobs DR Jr, Jousilahti P, Tuomileto J. Gamma-glutamyltransferase, obesity,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observational cohort study among 20,158 middle-aged men and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11): 5410-5414. 

  14. Lim JS, Lee DH, Park JY, Jin SH, Jacobs DR Jr.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obesity on the risk of prevalent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 Chem 2007; 53(6): 1092-1098. 

  15. Lee DH, Steffen LM, Jacobs DR Jr.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dietary factors: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Am J Clin Nutr 2004; 79(4): 600-605. 

  16. Lee DH, Lind PM, Jacobs DR Jr, Salihovic S, van Bavel B, Lind L. Background exposure to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redicts stroke in the elderly. Environ Int 2012; 47: 115-120. 

  17. Lee DH, Porta M, Jacobs DR Jr, Vandenberg LN. Chlor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obesity, and type 2 diabetes. Endocr Rev 2014; 35(4): 557-601. 

  18. Kelly BC, Ikonomou MG, Blair JD, Morin AE, Gobas FA. Food web-specific biomagnifica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Science 2007; 317(5835): 236-239. 

  19. Montonen J, Boeing H, Fritsche A, Schleicher E, Joost HG, Schulze MB, Steffen A, Pischon T. Consumption of red meat and whole-grain bread in relation to biomarkers of obesity, inflammation, glucose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Eur J Nutr 2013; 52(1): 337-345. 

  20. Kim SH, Kim MS, Lee MS, Park YS, Lee HJ, Kang S, Lee HS, Lee KE, Yang HJ, Kim MJ, Lee YE, Kwon DY. Korean diet: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J Ethn Foods 2016; 3(1): 26-31. 

  21. Lee KW, Cho M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Dietary Pattern Score (KDPS). Korean J Food Cult 2010; 25(6): 652-660. 

  22. Lee SK, Sobal J. Socio-economic, dietary, activity, nutrition and body weight transitions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Nutr 2003; 6(7): 665-674. 

  23. Kim S, Moon S, Popkin BM.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Am J Clin Nutr 2000; 71(1): 44-53.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2015. 

  25. Lee MJ, Popkin BM, Kim S. The unique aspects of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the retention of healthfu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diet. Public Health Nutr 2002; 5(1A): 197-203. 

  26.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27.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28. Lee YM, Kim SA, Lee IK, Kim JG, Park KG, Jeong JY, Jeon JH, Shin JY, Lee DH. Effect of a brown rice based vegan diet and conventional diabetic diet on glycemic control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12-week randomized clinical trial. PLoS One 2016; 11(6): e0155918. 

  29. Yokoyama Y, Barnard ND, Levin SM, Watanabe M. Vegetarian diets and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rdiovasc Diagn Ther 2014; 4(5): 373-382. 

  30. de Munter JS, Hu FB, Spiegelman D, Franz M, van Dam RM. Whole grain, bran, and germ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systematic review. PLoS Med 2007; 4(8): e261. 

  31.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M, Fielden H, Gassull MA. Lack of effect of refining on the glycemic response to cereals. Diabetes Care 1981; 4(5): 509-513. 

  32. Schulze MB, Schulz M, Heidemann C, Schienkiewitz A, Hoffmann K, Boeing H. Fiber and magnesium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Arch Intern Med 2007; 167(9): 956-965. 

  33. McKeown NM, Meigs JB, Liu S, Wilson PW, Jacques PF. Whole-grain intak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 J Clin Nutr 2002; 76(2): 390-398. 

  34. Sahyoun NR, Jacques PF, Zhang XL, Juan W, McKeown NM. Whole-grain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6; 83(1): 124-131. 

  35. Fung TT, van Dam RM, Hankinson SE, Stampfer M, Willett WC, Hu FB. Low-carbohydrate diets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two cohort studies. Ann Intern Med 2010; 153(5): 289-298. 

  36. Chandalia M, Garg A, Lutjohann D, von Bergmann K, Grundy SM, Brinkley LJ. Beneficial effects of high dietary fiber intak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2000; 342(19): 1392-1398. 

  37. Hu FB, Willett WC.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JAMA 2002; 288(20): 2569-2578. 

  38. Kwon JY, Chung HY.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trient intakes and clinical indices of Type 2 diabetes patients. Korean J Food Nutr 2013; 26(4): 909-918. 

  39. Thamer C, Tschritter O, Haap M, Shirkavand F, Machann J, Fritsche A, Schick F, Haring H, Stumvoll M. Elevated serum GGT concentrations predict reduced insulin sensitivity and increased intrahepatic lipids. Horm Metab Res 2005; 37(4): 246-251. 

  40. Nakajima T, Ohta S, Fujita H, Murayama N, Sato A. Carbohydrate-related regulation of the ethanol-induced increase in serum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ctivity in adult men. Am J Clin Nutr 1994; 60(1): 87-92. 

  41. Lakka TA, Nyyssonen K, Salonen JT. Higher levels of conditioning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re associated with reduced levels of stored iron in Finnish men. Am J Epidemiol 1994; 140(2): 148-160. 

  42. Meneghini R. Iron homeostasis,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Free Radic Biol Med 1997; 23(5): 783-792. 

  43. Cha YS, Yang JA, Back HI, Kim SR, Kim MG, Jung SJ, Song WO, Chae SW. Visceral fat and body weight are reduced in overweight adults by the supplementation of Doenjang, a fermented soybean paste. Nutr Res Pract 2012; 6(6): 520-526. 

  44.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Choe SJ, Kim TY, Han SJ, Kim HJ, Kim DJ, Lee KW.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2011; 31(6): 436-443. 

  45. Cha YS, Kim SR, Yang JA, Back HI, Kim MG, Jung SJ, Song WO, Chae SW. Kochujang, fermented soybean-based red pepper paste, decreases visceral fat and improves blood lipid profiles in overweight adults. Nutr Metab (Lond) 2013; 10(1): 24. 

  46. Tolhurst G, Heffron H, Lam YS, Parker HE, Habib AM, Diakogiannaki E, Cameron J, Grosse J, Reimann F, Gribble FM. Short-chain fatty acids stimulate glucagon-like peptide-1 secretion via the G-protein-coupled receptor FFAR2. Diabetes 2012; 61(2): 364-371. 

  47. Kimura I, Ozawa K, Inoue D, Imamura T, Kimura K, Maeda T, Terasawa K, Kashihara D, Hirano K, Tani T, Takahashi T, Miyauchi S, Shioi G, Inoue H, Tsujimoto G. The gut microbiota suppresses insulin-mediated fat accumulation via the shortchain fatty acid receptor GPR43. Nat Commun 2013; 4: 18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