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환자 안전을 위한 타임아웃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imeout Protocol for Safety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8 no.1, 2015년, pp.29 - 37  

서은희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timeout protocol in coordination with current practice and test its clinical effectiveness in pursuit of safety management for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Methods: A total of subjects were 60 women, 50~65 years old, who visit C ophth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 환자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타임아웃 프로토콜 개발과 개발된 타임아웃 프로토콜이 환자의 생리적,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타임아웃 프로토콜을 수술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수술 환자의 혈압, 맥박 및 불안감은 감소되었으며, 안녕감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 환자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타임아웃 프로토콜을 개발, 평가를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 환자 안전관리를 위해 효과적인 타임아웃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타임아웃 프로토콜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생리적,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 환자 안전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문헌고찰을 통해 백내장 수술 환자에 적절한 타임아웃 프로토콜을 현 실무에 맞게 개발하고 임상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타임아웃 프로토콜이 수술 환자의 혈압, 맥박,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녕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술 환자 안전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문헌 고찰을 통해 백내장 수술 환자에 적절한 타임아웃 프로토콜을 실무에 맞게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백내장 수술 환자의 안전관리를 위한 타임아웃 프로토콜 적용의 조기 정착화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 타임아웃 프로토콜의 내용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전문가 그룹으로는 안과 전문 의사 2인, 마취과 전문 의사 1인, 안과병동 수간호사 1인, 수술실 간호사 3인, 총 7명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내장 수술 환자들이 불안감을 많이 느끼는 이유는? 백내장 수술 환자의 경우 정확한 수술에 대한 의심을 많이 표현하였으며, 수술 확인과정과 관련된 불안감을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Foggitt, 2001). 특히 수술 환자가 뒤바뀌는 사건의 매스컴 보도나 잘못된 수술 환자, 수술 부위에 대한 조사결과(Karanfil, Bahner, & Most, 2005)가 발표됨으로 인해 수술확인에 대한 환자의 불안감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수술 환자 자신의 수술에 대한 확인 과정과 정보 부족이 환자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 또한 이를 뒷받침해 준다(Norred, 2000).
타임아웃은 무엇인가? 타임아웃(Timeout)은 의료사고 예방을 위해 수술실에서 환자를 확인하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정확한 수술 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는 환자 안전 프로토콜이다(Nancy, 2004). ‘정확한 수술 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는 타임아웃 프로토콜은 수술 환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타임아웃 프로토콜의 장점은? 타임아웃(Timeout)은 의료사고 예방을 위해 수술실에서 환자를 확인하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정확한 수술 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는 환자 안전 프로토콜이다(Nancy, 2004). ‘정확한 수술 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는 타임아웃 프로토콜은 수술 환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yea, C. S. (2002). Accident prevention in surgical settings-keeping patients safe.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75(2), 361-363. http://dx.doi.org/10.1016/S0001-2092(06)61415-4 

  2. Caddick, J., Jawad, S., Southern, S., & Majumder, S. (2012). Sources of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local anaesthetic plastic surgery.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l, 94(2), 94-98. http://dx.doi.org/10.1308/003588412X13171221501267 

  3. Charlton, N. (2004). Time out-the surgical pause that counts.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80(6), 1121-1122. http://dx.doi.org/10.1016/S0001-2092(06)60691-1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ing Company. 

  5. DeFontes, J., & Surbida, S. (2004). Preoperative safety briefing project. The Permanente Journal, 8(2), 21-27. 

  6. Dupuy, H. J. (1978, October). Self-representations of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of American adults. Paper presented at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Meeting. Los angeles, CA. 

  7. Foggitt, P. S. (2001). Anxiety in cataract surgery. Journal of Cataract & Refractive Surgery, 27(10), 1651-1655. 

  8. Haugen, A. S., Eide, G. E., Olsen, M. V., Remme, A. R., Haukeland, B. W., & Ah, A. K. (2009). Anxiety in the operating theatre: A study of frequency and environmental impact in patients having local, plexus or regional anaesthesi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16), 2301-231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2792.x 

  9. Jang, Y. M., & Han, J. S. (2011). The effects of preparatory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premedication on the level of anxiety of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Konyang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 4061-4067.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4061 

  10.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4). Universal protocol for preventing wrong site, wrong procedure, wrong person surgery. Retrieved February 19, 2015. from http://www.jcaho.org/accredited+organization/patient+safety/universal+protocol/universal. 

  11. Ju, M. J.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e's information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gastrectom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Jung, B. H., Jo, S. S., Jang, S. H., & Kim, M. G. (2011). The effects of operating site verification and time out performance rate for protocol application on operating room in a general hospital. College of Keimyung University, 15(1),57-64. 

  13. Karanfil, L., Bahner, J., & Most, R. (2005). Creating a patient safe environment in a perioperative setting.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81(1), 168-186. 

  14. Karolewski, K., Komorowski, A. L., & Wysocki, W. M. (2012). Impact of preoperative information on anxiety and disease - related knowledge in women undergoing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Acta Chirurgica Belgica, 112(2), 111-115. 

  15. Lee, H. J. (2010). Perioperative anxiety and risk factors of surgical patients under region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uversity, Seoul. 

  16. Lee, S. K., & Yoo, Y. S. (2005).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xiety, knowledge and compliance of patients with a permanent pacemak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3), 484-492. 

  17. Luck, A., Pearson, S., Maddern, G., & Hewett, P. (1999). Effects of video information on precolonoscopy anxiety and knowledge: a randomised trial. The Lancet Journals, 354(9195), 2032-2035. 

  18. Min, K. J., Oh, S. M., & Park, D. B. (1999).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2), 289-296. 

  19. Moon, D. U., Hong, S. H., Lee, M. R., Yang, S. J., Jin, Y. W., Bang, B. M., et al. (2008). Describe the advance in the processes that lead to improved time out achievement rate and surgery success using body part marking for surger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8(3), 700-703. 

  20. Morrell, G. (2001). Effect of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anxiety levels of patients scheduled for cataract surgery.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Ophthalmic Registered Nurses, 26(1), 4-9. 

  21. Nancy, M. (2004). Universal protocol for preventing wrong site, wrong procedure, wrong person surgery.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19(5), 348-351. http://dx.doi.org/10.1016/j.jopan.2004.08.001 

  22. Norred, C. L. (2000). Minimizing preoperative anxiety with alternativ caring-healing therapies.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72(5), 838, 840, 842-843. http://dx.doi.org/10.1016/S0001-2092(06)62015-2 

  23. Norton, E. (2007). Implementing the universal protocol hospitalwide. Association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85(6), 1187-1196. http://dx.doi.org/10.1016/j.aorn.2007.03.002 

  24. Park, J. S., Kim, E. H., & Lee, H. R.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imeout protocol on operating roo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 353-363. 

  25. Park, Y. H. (1999). The effects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 for spouses of stroke patients on caregiver burden and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Seo, Y. K., Lee, M. Y., Kim, E. H., Lee, Y. L., & Jung, D. E. (2006). Improving a patient-safe environment in the perioperative setting by implementing a patients verification system. Korea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14(1), 153-167. 

  27. Shuldham, C. M., Fleming, S., & Goodman, H. (2002). The impa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recovery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European Heart Journal, 23(8), 666-674. http://dx.doi.org/10.1053/euhj.2001.2897 

  28. Yazile, S., & Guler, A. (2012). The nurse's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to surgical patients and family members in Turkey.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95(6), 772-787. http://dx.doi.org/10.1016/j.aorn.2011.06.012 

  29.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Journal of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 281-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