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 의식명료 환자와의 비교연구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creased mental status while staying in an emergency department: Comparative study with alert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222 - 230  

문선희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원 당시에는 의식이 명료했으나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을 의식이 명료한 환자와 비교하여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응급실에 방문한 응급환자 중 내원 당시에는 의식이 명료했으나 내원 후 의식저하를 보인 환자 90명과 내원당시 의식이 명료했으며 응급실 체류 중에도 의식저하가 없는 환자 중 무작위 추출한 100명이었다. 연구결과 의식저하 군은 의식명료 군에 비해 뇌혈관 질환, 간질환, 당뇨, 고혈압의 기저질환이 많았다(p=.001, p=.003, p<.001, and p=.002, respectively). 중증도 분류 결과 의식저하 군은 의식명료 군에 비해 중증도가 높았다(p<.001). 의식저하 군의 최종 진단명은 신경계 질환 64.9%, 소화기계 질환 63.3%로 의식명료 군과 차이가 있었다(p<.001). 의식저하 군 중 56명(62.2%)은 응급실 간호사에 의해 의식저하 상태가 발견되었다. 의식저하 군 중 9명은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는 응급실 내원 당시 의식이 명료하더라도 중증도가 높고, 신경계 질환이나 소화기계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의식수준을 자주 사정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creased mental status (DMS) during their stays in an emergency department (ED) with that of patients with alert mental status (A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90 patients with DMS who were staying 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을 의식이 명료한 환자들과 비교해서 파악함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응급간호를 시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의식저하 군은 의식명료 군에 비해 노인환자의 비율이 높았고, 기저질환이 많았으며, 사망률이 높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원 당시에는 의식이 명료했으나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와 명료한 상태로 의식저하가 없었던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 응급실 체류 중 의식이 저하된 환자와 명료한 상태로 의식저하가 없었던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식 수준의 사정이란? 의식 수준의 사정은 간호사가 환자를 파악하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의식저하(decreased mental status)는 치명적인 상태로 간호사가 환자를 사정할 때 항상 초점을 두고 파악해야 하는 요소이다.
의식저하 상황 중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를 초기에 발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실 간호사가 의식저하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식이 저하된 상태로 내원한 환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의 특성 파악도 필요할 것이다.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중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수는 적을지라도 이 환자들을 초기에 발견한다면 더 신속하게 응급간호를 시행할 수 있고, 질병이 치명적인 상태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는 근무마다 최소 한 번 이상 담당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투약, 간호 처치, 교육, 상담 등으로 직접환자와 대면하는 기회가 많으므로[6, 13] 의식저하를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는 의료진이라 할 수 있다.
의식저하 상황에서 간호사가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선행연구에서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을 파악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웠다. 응급실 간호사가 의식저하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식이 저하된 상태로 내원한 환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의 특성 파악도 필요할 것이다.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중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수는 적을지라도 이 환자들을 초기에 발견한다면 더 신속하게 응급간호를 시행할 수 있고, 질병이 치명적인 상태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 C. Jin, J. Y. No, S. J. Jo, S. L. Lee, S. J. Kim, S. Y. Lyu, H. Y. Kim, "The Clinical Analysis on the Altered Mental Status in the 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14, No5, pp.615-623, 2003. 

  2. W. Kanich, W. J. Brady, J. S. Huff, A. D. Perron, C. Holstege, G. Lindbeck, C. T. Carter, "Altered mental status: Evaluation and etiology in the ED",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20, No7, pp.613-617, 2002. DOI: https://dx.doi.org/10.1053/ajem.2002.35464 

  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Annual report of Korean emergency medicine [Internet]. Seou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ited 2017 Oct 10], Avaliable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accessed April, 10, 2018) 

  4.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pp.23-30,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 

  5. S. H. Moon, Y. H. Park, "Concept Analysis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ing",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10, No3, pp.41-52, 2017. 

  6. B. J. Kim, U. N. Lee, K. H. Kang, S. S. Kim, S. A. Kim, Y. H. Sung, D. S. Shin, K. O. Yi, H. J. Lee,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2, No1, pp.81-95, 2006. 

  7. TA Edwards, Art of triage, pp.7-49, Nova Science Publishers, 2014. 

  8. H. J. Song,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90, pp.63-73, 2004. 

  9. S. M. Mun, S G. Jeong, Y. M. Oh, S. M. Choe, G. H. Cheo. K. N. Park, J. S. Oh, "Effect of Issuing of Hospitalization Sheets by Emergency Department on Shortening Length of Stay",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20, No.1, pp.10-19, 2009. 

  10. Z. Kekec, V. Senol, F. Koc, G. Seydaoglu, "Analysis of Altered Mental Status in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Vol.118, No.5, pp.609-617, 2008. DOI: https://dx.doi.org/10.1080/00207450701849133 

  11. J. P. Choi, Altered Mental Statu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 Etiologies and Outcomes, Konyang University, Master Thesis, 2007. 

  12. S. I. Yoo, H. S. Won, J. H. Jung, S. H. Jang, "Clinical Analysis on Patients with Altered Mental Statu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lderly versus Adult Patients",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2, No2, pp.82-88, 2008. 

  13. S. Y. Youk, "Nursing Competency and Indicator Development by Emergency Nurse's Clinical Lad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9, No3, pp.481-494, 2003.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ICD-10 Version: 2010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Avaliable from: 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browse/2010/en. (accessed April, 15, 2018) 

  15. J. E. Tintinalli, J. S. Stapczynski, O. J. Ma, D. M. Cline, G. D. Meckler, "Altered Mental Status and Coma.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8e edition, McGraw Hill Professional, 2016. 

  16. J. H. Lee, J. S. Seo, D. H. Seol, M. S. P. Choe, K. S. Seo, J. B. Park, J. M. Chung, "Clinical Review of Elderly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ltered Mental Status",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15, No.1, pp.24-29, 2004. 

  17. S.Y. Park, J. M. Woo, "Delirium of Elderly Patients in Emergency Room",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8, No.2, pp.104-110, 2012. 

  18. K. H. Kang,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Vol.28, No.3, pp.80-86, 2014. 

  19. C. O'Keeffe, S. Mason, R. Jacques, J. Nicholl, "Characterising non-urgent users of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routine ED data", PLOS ONE, Vol.13, No.2, Article ID e0192855, 2018.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92855 

  20. H. Xiao, Y. Wang, T. Xu, H. Zhu, S. Guo, Z. Wang, X. Yu,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ltered mental status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life in the fast lane", World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3, No.4, pp.270-77, 2012. DOI: https://dx.doi.org/10.5847/wjem.j.issn.1920-8642. 2012.04.006 

  21. M. A. Aslaner, M. Boz, A. Celik, A. Ahmedali, S. Eroglu, N. M. Aksu, S. E. Eroglu, "Etiologies and delirium rates of elderly ED patients with acutely altered mental status: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35, No.1, pp.71-76,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ajem.2016.10.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