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 효과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after Mastectom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313 - 323  

임경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설계이며, 연구대상은 D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3년 이내의 환자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실험군에게는 2015년 6월부터 7월동안 총 주 3회의 운동프로그램을 7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연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어깨관절 유연성은 줄자를 이용한 등 뒤 손잡기와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어깨가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악력은 악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사전 동질성 검증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은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등 뒤로 두 손 마주잡기(p=.001), 굽힘(p<.001), 벌림(p=.032), 바깥돌림(p=.024), 안쪽돌림(p=.041) 등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 유연성과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악력(p<.001)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별 유방암 환자의 특성과 신체적 상태를 고려하여 과부하의 원리와 점증적 원리로 구성된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은 수술 후 환자들의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술 후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어깨관절 기능 및 악력 저하를 예방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ndividualiz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after mastectomy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investiga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과부하 및 점증적 원리로 구성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유방절제술 후 환자들에게 시행하여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연구 설계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설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 따라서 개별 환자의 연령이나 수술 부위 및 신체상태 등을 고려한 맞춤화된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일상에서의 자극보다 다소 강한 자극을 주어 신체의 활동량을 증가시켜주는 과부하의 원리와 운동의 질과 양을 서서히 증가시켜 운동의 효과를 높여주는 점증적 증가의 원리로 구성된 상지운동은 어깨관절의 운동범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복시키고, 수술 후 약해진 어깨 근육을 안전하게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13,15].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운동을 바탕으로 운동의 강도와 형태, 시간 등을 고려한 과부하의 원리와 점증적 원리로 개발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유방절제술 후 환자에게 적용하여 어깨 관절 유연성 및 악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제 1 가설: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어깨관절 유연성이 향상될 것이다.
  • 제 2 가설: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손의 악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여성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은 무엇인가요? 한국인에서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암이며, 그 중 유방암은 대표적인 여성암으로 갑상선암에 이어 우리나라의 여성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나타나고 있다[1]. 국내 유방암 발생은 2000년 6,237명에서 2015년에는 19,219명으로 지속적으로 유방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2],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발생율은 전 세계 평균의 20배 정도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3].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는 무엇인가요? 한국인에서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며, 그 중 유방암은 대표적인 여성암으로 갑상선암에 이어 우리나라의 여성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나타나고 있다[1]. 국내 유방암 발생은 2000년 6,237명에서 2015년에는 19,219명으로 지속적으로 유방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2],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발생율은 전 세계 평균의 20배 정도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3].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 중 수술의 문제점은? 특히, 유방절제술은 근육이나 신경 등에 손상을 주어 어깨관절 유연성의 저하와 통증 및 팔 저림, 수술 측 악력 약화 등의 상지기능 저하 증상을 유발하며[4-9], 이러한 상지기능의 저하는 수술 후 가벼운 물건을 드는 것과 같은 일상생활 활동에도 제한을 주며 더욱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향이 있어 사회생활로의 복귀도 힘들게 함으로써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10,11].따라서 수술로 인해 감소한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을 향상시켜 대상자의 빠른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돕기 위한 중재가 매우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 W. Jung, Y. J. Won, H. J. Kong, C. M. Oh, H. S. Cho, D. H. Lee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2.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7.No.2, pp. 127-141. 2015. DOI: http://doi.org/10.4143/crt.2015.060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6[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6 [cited 2018 March 30].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6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3. B. Y. Chung, H. S. Byun, K. D. Kim, K. H. Kim.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Vol.8, No.2, pp. 120-127, 2008. 

  4. H. J. Won, J. I. Kim. The effect of cancer-overcome BeHaS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grip strength and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following surgery.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6, No.2, pp. 181-189, 2009. 

  5. G. Isaksson, B. Feuk. Morbidity from axillary treatment in breast cancer: a follow-up study in a district hospital. Acta Oncologica, Vol.39, No.3, pp. 335-336. 2000. 

  6. A. L. Cheville, J. Tchou. Barriers to rehabilitation following surgery for primary breast cancer.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No.5, pp. 409-418, 2007. DOI: http://doi.org/10.1002/jso.20782 

  7. S. Y. Park, J. I. Kim. Effects of BeHaS exercise program on flexibility, grip strength, stress and self-esteem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20, No.3. pp. 171-179. 2013. DOI: http://doi.org/10.5953/jmjh.2013.20.3.171 

  8. Y. W. Kim, M. S. Kim. The change of upper body functional fitness on lymph massage and resistance exercise by the type of surgery for breast cancer.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49, No.1, pp. 491-497, 2010. 

  9. O. H. Cho. Effects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4, No.5, pp. 809-819, 200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4.34.5.809 

  10. M. L. McNeely, K. L. Campbell, B. H. Rowe, T. P. Klassen, J. R. Mackey, K. S. Courneya. Effects of exercise on breast cancer patients and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175, No.1, pp. 34-41, 2006. DOI: http://doi.org/10.1503/cmaj.051073 

  11. D. R. Shamley, K. Barker, V. Simonite, A. Beardshaw. Delayed versus immediate exercises following surgery for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90, No.3, pp.:263-271, 2005. DOI: http://doi.org/10.1007/s10549-004-4727-9 

  12. C. M. Kaelin. The breast cancer survivor's fitness plan. p.200-285, 1st ed. Bae HS, Translator. Seoul: Joyoon Communication; 2008. 

  13. K. S. Courneya, R. J. Segal, J. R. Mackey, K. Gelmon, R. D. Reid, M. Friedenreich et al.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Vol.25, No.28, pp. 4396-404, 2007. DOI: http://doi.org/10.1200/jco.2006.08.2024 

  14. A. Y. Eom. Effects of a TaiChi program for early mast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3, No.1, pp. 43-50, 2007. 

  15. Korea Sport Science Institute. The latest exercise regimen loans. p. 203-215, 3rd ed. Seoul: 21st Century Educator; 2010. 

  1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ACSM's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p. 437-447, 3rd ed. Philadelphia: Williams & Wilkins; 1998. 

  17. D. L. Riddle, J. M. Rothstein, R. L. Lamb. Goniometric reliability in a clinical setting shoulder measurements. Journal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Vol.67, No.5, pp. 668-673, 1987. 

  18. M. Von Korff, R. A. Deyo, D. Cherkin, W. Bar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Outcomes at 1 year. Spine Journal. Vol.18, No.7, pp. 855-862, 1993. 

  19. K. S. Courneya, J. R. Mackey, L. W. Jones. Coping with cancer: can exercise help? Physician Sport medicine. Vol.28, No.5, pp. 49-73, 2000. DOI: http://dx.doi.org/10.3810/psm.2000.05.896 

  20. T. Lee, S, Kilbreath, K. Refshauge, S. Pendlebury, J. Beith, I. M. Lee. Pectoral stretching program for women undergo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102, No.3, pp. 313-321, 2007. DOI:http://dx.doi.org/10.1007/s10549-006-9339-0 

  21. Y. M. Park. Effects of an early upper-limb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Unpubliseh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2008. 

  22. G. W. Lee, C. W. Yi, S. H. Cho, J. M. Park. The therapeutic effects of an early exercise program after mastectom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Vol.89, No.1, pp.35-50, 2001. 

  23. H. S. Park, K. Y. Cho, K. Y. Park.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 No.2, pp. 310-320, 2006.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6.36.2.310 

  24. M. Y. Seoung.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ing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Chungnam, 2008. 

  25. Y. R. Chae, M. A. Choe.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houlder joint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1, No.3, pp. 454-466, 200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1.31.3.454 

  26. Y. W. Kim, M. S. Kim. The effects of 12 week's yoga, elastic band swiss bal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for breast cancer survivor.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35, No.2, pp. 1051-1060, 2009. 

  27. M. S. Kim.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frequency for the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49, No.4, pp. 315-323, 2010. 

  28. S. L. Kilbreath, K. M. Refshauge, J. M. Beith, L. C. Ward, J. M. Simpson, R. D. Hansen.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following surgery for breast cancer: study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Cancer. Vol.6, p.273, 2006. DOI: http://dx.doi.org/10.1186/1471-2407-6-273 

  29. S. Modi, A. W. Stanton, R. H. Mellor, A. M. Peters, J. R. Levick, P. S. Mortimer. Regional distribution of epifascial swelling and epifascial lymph drainage rate constants i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Lymphatic Research and Biology. Vol.3, No.1, pp. 3-15, 2005. DOI: http://dx.doi.org/10.1089/lrb.2005.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