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 비교
Comparison of Resilience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530 - 539  

황은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 사회적지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소진 정도를 확인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 65명과 임상경력 7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은 경력간호사보다 낮았으며, 교육정도와 직무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반면 경력간호사의 극복력은 직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r=-0.633, p<.001; r=-0.586, p<.001), 신규간호사는 사회적 지지(r=0.560, p<.001), 경력간호사는 소진이(r=-0.404, p=.001) 그 다음 상관성이 높은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의 정도와 관련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을 증진하기 위해 각 대상자의 극복력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silience, social support,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65 novice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and 70 experienced nurses with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 사회적지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소진 정도를 확인하여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병원 근무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복력이란? 여러 연구를 통해 극복력은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웰빙,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을 보호하는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3-4]. 극복력이란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통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역동적인 능력이다[5]. 극복력은 간호사가 임상에서 겪는 수많은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전문가적 능력을 발휘하여 환자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신규간호사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문제는? 9%로 간호사 전체 이직률보다 두 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인력의 문제로 업무 강도가 높아지면서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소진을 촉발하게 되고 결국은 간호사 개인의 건강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극복력이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인 이유는? 극복력이란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통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역동적인 능력이다[5]. 극복력은 간호사가 임상에서 겪는 수많은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전문가적 능력을 발휘하여 환자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간호학에서 극복력은 암이나 관절염, 혈액투석을 하는 등의 만성 질환자나 만성 질환아에 대한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 간호사 극복력 측정 도구의 개발과 함께 간호사 대상의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J. Jang, S. H. Ko, D. M. Kang, S. A. Kim, M. G. Kang, C. G. Lee, J. J. Chung, J. J. Cho, M. Son, C H. Chae, J. W. Kim, J. I. Kim, H. S. Kim, S. C. Roh, J. B. Park, J. M. Woo, S. Y. Kim, J. Y. Kim, M. N. Ha, J. S. Park, K. Y. Rhee, H. R. Kim, J. O. Kong, I. A. Kim, J. S. Kim, J. H. Park, S. J. Huyun, D. K. Son,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17, No.4, pp. 297-317, 2005. 

  2.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3. G. McDonald, D. Jackson, L. Wilkes, L. H. M. Vickers, "Personal resilience in nurses and midwives: effects of a work-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Contemporary Nurse: A Journal of the Australian Nursing Profession, Vol.45, No.1, pp. 134-143, 2013. DOI: https://doi.org/10.5172/conu.2013.45.1.134 

  4. K. Edward, G. Hercelinskyi, "Burnout in the caring nurse: learning resilient behaviors",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16, No.4, pp. 240-242, 2007. DOI: https://doi.org/10.12968/bjon.2007.16.4.22987 

  5. J. Block,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 349-361, 199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6.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P. Grimbee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9, No.4, pp. 427-438,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7. I. O. Moon, S. K. Park, J. M. Jung,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19, No.4, pp. 525-535,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25 

  8. B. N. Kim, H. S. Oh, Y. S. Park,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0, No.1, pp. 14-23, 2011. 

  9. T. A. Hudgin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in nurse lead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24, pp. E62-E69, 2016. DOI: https://doi.org/10.1111/jonm.12289 

  10. Y. Guo, Y. Luo, L. Lam, W. Cross, V. Plummer, J. Zhang, "Burnout and its association with resilience in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7, pp. 441-449, 2017. DOI: https://doi.org/10.1111/jocn.13952 

  11. M. R. Jung, E. Jeong, "Convergenc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to the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vit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6, pp. 305-314,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6.305 

  12. S. H. Kim,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2016. 

  13. Y. O. Suh, K. W. Lee,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19, No.2, pp. 227-238,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227 

  14. E. J. Yeun, Y. M. Kwon, M. S. Jeon, J. H. An,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Surve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1, pp. 94-106, 2016. DOI: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94 

  15. H. N. Kim, J. S. Kim, "Work-family compatibility experience of married nurse: Focusing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2, pp. 545-559,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545 

  16. Y. H. Yom, H. S. Son, H. S. Lee, M. A.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social supports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3, No.2, pp.222-235, 2017. DOI: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2.222 

  17. J. H. Kim, Y. S. Park,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n psychosocial stres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ion, Vol.21, No.1, pp.111-121,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11 

  18. S. J. Jang, "Standardization of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stress", p.92-143, Gaechuk moon wha co., 2000. 

  19. K. A. Park, "Psychosocial stress, Hardin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013. 

  20. D. Jackson, A. Firtko,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0, No.1, pp. 1-9,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21. K. S.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0. 

  22. M. M. Park,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2015. 

  23.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1981. 

  24. K. A. Son, J. W. Ko,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25, No.4, pp. 73-94, 2007. 

  25. C. Maslach,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 No.2, pp. 99-113, 1981. 

  26. H. Y. Choi,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2. 

  27. R. Y. Seo, "Interpersonal relationship(Guardian-patient) stress of emergency room nurse and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16. 

  28. K. A. Kang, S. H. Par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on the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6, pp. 549-558,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6.549 

  29. S. K. Park, J. O. Kim, Y. C. Cho,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9, pp. 3887-3896,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9.3887 

  30. S. H. Lee, I. Y. Yoo, "A Study of Psychosocial distress, Intention to Quit and Nursing Performance in General War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9, No.2, pp. 236-245, 2010. 

  31. H. K. Cho, Y. J. Choi, M. K. Jeon, G. H. Jung,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ductivity of Clinical Nurses : Focu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5, No.9, pp. 307-316,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307 

  32. C. Maslach, W. Schaufeli,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Washinton, D. C. : Taylor & Frances, 1993. 

  33. F. Cameron, S. Brownie, "Enhancing resilience in registered aged care nurses",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Vol.29, No.2, pp. 66-71, 2009. DOI: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9.00416.x 

  34. M. H. Jun, "Role transition, resilience and intention to leave in new nurses working at secondary general universit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 University, Pocheon, 2018. 

  35. H. S. Kim, "The Lived Experience of New Graudate Nurse Within the First 4 monthes of Employment: How soon can we escape from a difficult ti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8. 

  36. L. Wang, H. Tao, B. J. Bowers, R. Brown, Y. Zhang,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resilience of early career registered nurs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40, No.5, pp. 648-664, 2018. DOI: https://doi.org/10.1177/0193945916685712 

  37. A. Demir, M. Ulusoy,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levels in professional and private lives of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0, No.8, pp. 807-827, 2003. DOI: https://doi.org/10.1016/S0020-7489(03)00077-4 

  38. K. S. Heather, L. Michael, D. Aria, G. Debra, "Workplace empowerment, incivility, and burnout: Impact on staff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7, No.3, pp. 302-311, 2009. DOI: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9.00999.x 

  39. S. Y. Ka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professional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19, No.3, pp. 427-436,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3.4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