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376 - 385  

최명희 (강릉시 정신건강증진센터) ,  이하나 (한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분석 방법은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S시와 G시에서 일하고 있는 6명의 신규간호사와 현실충격과 관련된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은 3개의 영역과 9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3개의 영역은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상황적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인지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요인을 인지하는 것이며, 정서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직면한 후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이며, 상황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말한다. 즉,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정의는 신규간호사는 (i)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와의 차이, (ii) 이상과 현실의 가치 차이를 인지하고 (iii) 선임 간호사들의 전문성 부족, (iv) 간호사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 (v) 생각했던 것보다 역할가중을 경험하게 되면서 무력감, 관계의 어려움, 혼란, 압박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개념을 정립함으로 인해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hybrid model, initially introduced by Schwartz-Barcott and Kim.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ix recently graduated nurses who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 영역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개념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방법과 실증적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혼종모형을 통하여, 서구에서만 진행되어 온 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을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간호 실무에 재정립해 보고자 한다[12]. 이러한 작업의 결과로 우리나라의 간호 실무에서 신규간호사들이 경험하게 되는 현실충격을 규명하여 실증적인 현실충격 개념의 속성과 정의를 도출하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 실무현장에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경험의 경감을 위한 중재 방안 모색을 위한 실용적이며 구체적인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부적응과 이직에 원인이 되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을 정립하여, 신규간호사의 부적응과 이직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을 조직화하여 정립해보았다. 그 결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은 선임 간호사들의 전문성 부족, 간호사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 생각했던 것보다 역할가중과 같은 상황을 경험하고,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와의 차이, 이상과 현실의 가치 차이를 인지하게 되면서 무력감, 관계의 어려움, 혼란, 압박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적용하여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현상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현실충격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속성에 관심을 두고 본질적인 의미 고찰을 위해 사전적 의미와 학술 문헌을 고찰하였다. ‘현실충격(Reality Shock)’을 주제어로 국내외 문헌 검색을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속성을 맥락적인 흐름에서 살펴보고, 향후 간호 실무의 적용 및 연구방향 측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신규간호사 현실충격의 인지적 영역은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와의 차이, 이상과 현실의 가치 차이를 인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 인접 학문분야에서의 현실충격 개념은 교육학에서만 사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접 학문 분야에서의 현실충격 개념 분석을 위해 국내외 교육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현실충격 개념을 인접 학문 분야로 두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교육학에서 현실 충격이라는 개념은 Veenam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번 연구에서 정리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정의는 무엇인가? 인지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요인을 인지하는 것이며, 정서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직면한 후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이며, 상황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말한다. 즉,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정의는 신규간호사는 (i)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와의 차이, (ii) 이상과 현실의 가치 차이를 인지하고 (iii) 선임 간호사들의 전문성 부족, (iv) 간호사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 (v) 생각했던 것보다 역할가중을 경험하게 되면서 무력감, 관계의 어려움, 혼란, 압박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개념을 정립함으로 인해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Environmental Reality Shock Instrument Issues and Concerns에서 현실 충격을 묻는 문항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Kramer, Brewer와 Maguire는 신규간호사의 현실 충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Environmental Reality Shock Instrument Issues and Concerns (ERS-RIC)를 개발하였다. 신규간호사에게 현실충격을 물어보는 문항으 로는,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내가 학교에서 배웠던 대로 시행되지 않는 것을 우려한다.’, ‘생각했던 것보다 내 역할이 더 가중한 것을 우려한다.’, ‘임상은 마찰도 많으며 비난을 받거나 잘못을 지적당함을 우려한다.’ 등이 있다. 다시 말하면, 현실충격이란 학교에서 배웠던 대로 하지 않는 임상현장, 생각했던 간호사의 역할보다 가중된 간호사의 역할, 비난, 지적당함, 존중받지 못하는 분위기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충격인 것이다[26].
현실충격이란? 현실충격의 사전적 정의는 현재 실제로 존재하는 사실이나 상태에서 뜻밖의 사건 따위로 마음에 받은 심한 자극이나 영향을 뜻한다[8]. 또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단순한 스트레스나 심리적 갈등과는 구별되는 심리적 충격으로[9], 갈등은 대인관계 속에서 나타나며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긍정적인 해결을 볼 수 있는 반면[10] 현실충격은 이상과 실제의 가치의 차이로 개인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반응을 말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The Ministry of Healthcare Resources Policy Division. Reorganization nursing workforce system. References to deliberate.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ternet]. Seoul: The Ministry of Healthcare Resources Policy Division, 2013 [cited 2015 January 2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sch/index.jsp (accessed Aug, 10, 2016) 

  2. H. N. Lee, A torrent of surgery, would it pull out it to have to pull out leaving the 'white angels' [Internet]. Seoul: Media Today; 2013 [cited 2015 January 24]. Available from: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Print.html?idxno112143 (accessed Aug., 10, 2016) 

  3. J. H. Park, I. S. Jeon,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newly employed nurs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 9, no. 2, pp. 99-110, 2008. 

  4. K. O. Park, J. K. Kim,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594-605, 2008.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94 

  5. K. N. Jeong, H. J. Lee, H. J. Kwon, "The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Field Adaptation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6895-6904,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6895 

  6. D. H. Moon,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8, pp. 646-653,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8.646 

  7. M. G. Choi, H. K. Kim,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Ego-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5 pp. 3257-326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5.3257 

  8.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ternet]. Seoul; Naver linguistic dictionary; 2014 [cited 2014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accessed Aug, 10, 2016) 

  9. H. A. Kim, study of reality shock and teacher efficacy among inservice teachers: Focus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2, pp. 151-173, 2012. 

  10. D. Zapf, C. Gross, "Conflict escalation and coping with workplace bullying: A replication and extens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 Psychology, vol. 10, no. 4, pp. 497-522, 2001. DOI: http://dx.doi.org/10.1080/13594320143000834 

  11. M. Kramer, "Realit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 75, no. 5, p. 891, 1975. DOI: http://dx.doi.org/10.2307/3423480 

  12. K. C. Cho, "Concept development of client advocacy using Hybrid model,"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96. 

  13. D. Schwartz-Barcott, H. S. Kim,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p. 129-159. Philadelphia, Saunders, 2000. 

  14. K. R. Shin, J. W. Hwang, S. J. Shin, "Concept analysis on the clin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dult Nursing, vol. 20, no. 5, pp. 707-718, 2008. 

  15. S. Veenman,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4, pp. 143-178, 1984. DOI: http://dx.doi.org/10.3102/00346543054002143 

  16. E. Corcoran, "Transition shock: The beginning teachers' paradox,"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32, no. 3, pp. 19-23, 2008. DOI: http://dx.doi.org/10.1177/002248718103200304 

  17. G. Muller-Fohrbrodt, B. Cloetta, H. D. Dann, De praxisschock bei junger Lehrern (Reality shock of young teachers), Stuttgart: Klett, 1978. 

  18. N. D. Weinstein, "Preservice teachers' expectations about the first year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 4, no. 1, pp. 31-40, 1988. DOI: http://dx.doi.org/10.1016/0742-051X(88)90022-4 

  19. R. Hertel, "Burnout and the med-surg nurse," Medsurg Matters, vol. 18, no. 3, pp. 1-6, 2009. 

  20. B. M. Jennings, Work stress and burn out among nurses: Role of the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 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pp. 136-158, 2008. 

  21. K. M. Sin, J. O. Kwon, E. Y. Kim,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 292-301,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22. M. J. Kim, "Panel discussion: Biculturalism in nursing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0, no. 4, pp. 63-65, 1981. 

  23. S. Y. Hwang, E. J. Lee, D. M. Na, G. S. Lee, G. S. Sun, G. S. Lee, "The Clinical experiences of newly-qualified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8, no. 2, pp. 261-271, 2002. 

  24. J. Y. Kim, I. S. Kim, "Experience of preceptorship for newly employed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0, no. 2, pp. 75-88, 2005. 

  25. M. Kramer, B. B. Brewer, P. Maguire,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 35, no. 3, pp. 348-383, 2013. DOI: http://dx.doi.org/10.1177/0193945911403939 

  26. M. S. Yoo, "Concept analysis of moral distress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no. 1, pp. 49-62, 2004. 

  27. C. Bowles, L. Candela, "First job experiences of recent RN graduate: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5, no. 3, pp. 130-137, 2005. DOI: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503000-00006 

  28. K. E. Kim,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 in Nurse's Intension to Leave The Job,"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04. 

  29. S. A. Kim, H. W. Jeon, "Experience of Turnover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8, no. 3, pp. 644-657, 2014.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644 

  30. H. S. Park,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2. 

  31. C. S. Yoo, J. H. Kim, M. Y. Kim, S. J. Kim, Y. S. Kim, J. A. Kim, et al.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8, no. 2, pp. 239-250, 2012. 

  32. H. H. Park,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Reality Shock of the New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