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462 - 473  

문지영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진로결정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광주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vidence on how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n produc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in 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보고하면서[36][37], 진로관련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확신이 있을수록 진로선택부터 진로준비과정까지 모두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제시하였다[36].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3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기에[25][26]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과 함께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연구의 모형과[그림 1]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비판적 사고성향의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준비행동에 영향하는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 지역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검증 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이 있어 표집지역을 확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 또한 제남주와 방설영의 연구(2018)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 비판적 사고성향임을 보고하면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증진이 셀프리더십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주장하였으며[13], 여러 선행연구들에서도 간호대생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14][27-29].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 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과 함께 두 변인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을 변인으로 하여 관계나 영향을 검증한 직접적인 연구는 없었으나,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해결능력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14-16], 문제해결력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문제해결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긍정적인 진로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5].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해 볼 수 있겠으며, 이를 본 연구를 통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 현재 간호학과는 인증평가 기준에 맞춘 성과중심의 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기에 진로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학생들은 진로정보를 주로 대중매체, 친구나 선배를 통해서 획득하고 있는 실정이다[20].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증진에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진로 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직업적 목표설정과 달성을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은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 명확한 직업목표를 가지고 다양한 임상에서의 간호실무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대학과정에서부터 진로준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증진에 영향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셀프리더십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많은 관심을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과 관련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33],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행사하게 되는데, 이런 영향력은 진로결정 과정에서의 인지적 능력 뿐 아니라 진로와 관련된 동기 수준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된다[34]. 진로 결정과 진로중재에 대한 중요성 때문에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은 다른 영역보다 진로 연구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35].
셀프리더십은 무엇인가? 둘째, 셀프리더십은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기주도와 자기 동기부여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목적달성을 위해 스스로 자신의 틀을 확립하여 나가는 것이다[18]. 다시 말하면 리더가 부하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리더십과 달리 자기가 스스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 개인이 스스로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서 행동과 생각을 통제하는 것, 즉 개별적인 자기통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19].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함양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결과[20-22]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 [25][26]와도 맥을 같이한다. 이는 셀프리더십이 발달 되면, 대학생들에게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진로목표설정에 도움과 목표성취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또한 진로에 대한 탐색과 계획이 확고해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가 더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진로결정에 있어 보다 자신감을 갖고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준비하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함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김광현, 강성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253-293, 2016. 

  2. 박순주, "진로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59-267, 2012. 

  3. 박수경, 조경미, "간호대학생의 임상분야 진로선택의 유형과 관련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107-122, 2016. 

  4.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83-391, 2004. 

  5. 임보미, 박종민, 김미진, 김수연, 맹정호, 이루리, 강경아, "종합병원근무 신규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13-322, 2015. 

  6. 이종선, 고형면, 정헌주, 김호진, "전국보건의료노동자 노동실태 분석," 노동연구, 제33권, pp.169-197, 2016. 

  7.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8," 2019,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 

  8. 정윤경, 김동심,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고정신념의 상승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5호, pp.493-511, 2018. 

  9.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상담치료, 제9권, 제1호, pp.311-333, 1997. 

  10. 김명숙, 박정, 김광수, "비판적 사고력 검사 예비 문항 개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1. 김태형, "칼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에서 본 비판적 사고성향의 중요성," 인문과학연구, 제39권, pp.395-415, 2013. 

  12. 윤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9-166, 2008. 

  13. 제남주, 방설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825-835, 2018. 

  14. 김지현, 강현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8호, pp.435-450, 2017. 

  15. 김미연,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4호, pp.299-316, 2017. 

  16.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1-78, 2011. 

  17. 김유신, 한태용, 최성범, "체육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 진로행동의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5-47, 2015. 

  18. C. P. Neck and J. D. Houghton,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J.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No.4, pp.271-295, 2006. 

  19. C. C. Manz,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No.3, pp.585-600, 1986. 

  20. 황완희, 윤천성,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조절효과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9권, 제5호, pp.74-98, 2014. 

  21. 배경의, "성격발달수준, 셀프리더십,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7호, pp.515-525, 2019. 

  22. 장태정, 문미경,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44-352, 2016. 

  23. V. S. Solberg, G. E. Good, A. R. Fischer, S. D. Brown and D. Nord,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earch activities: Relative effect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human agency,"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4, pp.448-455, 1995. 

  24. 김수영, 배성아,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2호, pp.429-448, 2014. 

  25. 김경하,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399-408, 2018. 

  26. 안민권,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93-102, 2019. 

  27. 이선영, 전선영, 임윤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55-165, 2016. 

  28. 이도영, 조진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561-569, 2018. 

  29. 강혜승, 김윤영,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617-625, 2017. 

  30. 김건희, 황은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436-445, 2016. 

  31. 배성아, 성소연,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271-292, 2016. 

  32.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69-92, 2013. 

  33.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1, pp.63-81, 1983. 

  34. N. E. Betz and D. A. Luzzo, "Career assessment and the car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J. of Career Assessment, Vol.4, pp.313-328, 1996. 

  35. A. M. Paulsen and N. E. Betz, "Basic confidence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2, No.4 pp.354-362, 2004. 

  36. 주영주, 고경이, 정유진,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65-83, 2015. 

  37. 곽미선,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불확실성, 자기개념명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통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50권, 제1호, pp.151-177, 2018. 

  38.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4. 

  39. J. D. Houghton and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 of Managerial Psychology, Vol.17, No.8, pp.672-691, 2002. 

  40. 신용국, 김명석, 한영석, "셀프리더십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3호, pp.313-340, 2009. 

  41. N. E. Betz, K. L. Klein, and K. M. Taylor, "Evaluation of a short fro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 of Career Assessment, Vol.4, No.1, pp.47-57, 1996. 

  42.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27-136, 2000. 

  43.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2003. 

  4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45.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2. 

  46. 문미경, 김소연,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2권, 제2호, pp.162-169, 2017. 

  47.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 of Vocational Behavior, Vol.45, No.1, pp.79-122, 199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