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Self-Leadership, Learning Commitment, and Career Adapt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04 - 111  

배양자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순희 (동신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구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점수준, 취업의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요인으로는 연령, 학년, 취업의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적응을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및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생활 및 진로 상담 시 성별이나 학력 등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맞춤형 지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University adaptation on career adaptation through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mitment, and identified the regulatory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grade, grade level, and willingness to work).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for 289 co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학점수준, 대학활동 경험, 취업의향)에 따라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경로분석에서 유의한 8개의 경로(경로1: 교육의 질 적응⇒셀프리더십, 경로2: 관계적응⇒셀프리더십, 경로3: 공부적응⇒셀프리더십, 경로4: 교육의 질 적응⇒학습몰입, 경로5: 관계적응⇒학습몰입, 경로6: 공부적응⇒학습몰입, 경로7: 셀프리더십⇒진로적응성, 경로 8: 학습몰입⇒진로적응성)를 분석하였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적응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학습몰입 및 셀프리더십과도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과 학습몰입 및 셀프리더십,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들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세계와 환경상황에서도 잘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융합적인 접근 방법과 적합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셀프리더십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밝히는 경로를 발견하고 이를 조절하는 변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에 이르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한 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적응을 위한 매개 및 조절 변인들을 발견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고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인구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점수준, 취업의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적응을 독립변수로,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을 매개변수로, 진로적응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과 학습몰입 및 셀프리더십,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들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세계와 환경상황에서도 잘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융합적인 접근 방법과 적합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은? 셀프리더십은 개인에게 자율성과 책임감이 주어질 때 높은 성과를 올리도록 이끄는 힘이다[17].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자아관리의 능동적 역량과 자기내부의 발전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18].
대학생활적응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의미는? 또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육의 질 적응, 관계 적응, 대학공부 적응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대학생활에 적응을잘 한다고 해서 진로적응을 잘 한다기보다는 학습자가 학습에 몰입하기 위해 스스로를 통제하고 특정과목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숙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하여 창의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학생 시기에 해야할 일은? 한편, 대학생 시기는 직업의 세계에 순조롭게 전환하고 새로운 직업환경에 잘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적응성을 기르는 시기이다[3]. 대학생들이 현대의 급변하는 노동환경에서 예측이 어려운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성공적으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 진로적응성이라고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G Kim & K. H. Lee. (2016).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3), 205-223. 

  2. Korea Employers Federation(2016). 2016 new employee recruitment survey. http://kostat.go.kr 

  3. A. Hirschi. (2009).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2), 145-155. 

  4. P. J. Hartung, E. J. Porfeli., & F. W. Vondracek. (2008). Career adaptability in childhood.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7(1), 63-74. 

  5. P. J. Rottinghaus, S. X. Day & F. H. Borgen. (2005).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3-24. 

  6. V. Germeijs & K. Verschueren. (2007).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Consequences for choice implementatio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2), 223-241. 

  7. J. K. Young.(2009). The Development of the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ity Students.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8. A. K. Chung, J. H. Kim & J. S. Kim. (2013). The Effects of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6), 11-18. 

  9. J. Y. Par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Scale for Non-traditional Studen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5(3), 111-135. 

  10. K. A. Chung & J. H. Cho. (2015).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Jourm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143-155. DOI : 10.15207/JKCS.2015.6.5.143 

  11. H. W. Jong. (1996).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Studies on Korean Youth, 25, 83-101. 

  12. J. A. Kim., J. S. Kang & K. S. Seo. (2017). A Convergence Comparison of the Stres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process and Gra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99-112. 

  13. S. H. Kim & S. Y. Park. (2014).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57-1565. 

  14. H. K. Lee, L. A. Kim, J. E. Kim, Y. R. Lee, J. M. Lee, H. S. Han & H. K. Hwang. (2017). Converged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15-23. DOI : 10.22156/CS4SMB.2017.7.5.015 

  15. S. R. Noh & S. A. Bae. (2014).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n College Adapt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343-362. 

  16. J. H. Kim & M. K. Park. (2018).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ing Flow on in Self-Regulated Learning: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349-357. 

  17. C. C. Manz & H. P. Sims. (1991).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4), 18-35. 

  18. M. K. Jang & H. Y.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51-59. 

  19. C. C. Manz & H. P. Jr. Sims. (2001). New super 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Berrett-Koeher. 

  20. S. H. Lee, B. G. Nam & S. M. Cheon. (2018).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37(1), 81-107. 

  21. M. M. Handelsman, W. L. Briggs, N. Sulliva & A. Towler. (2005).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1. 

  22. Y. C. He (2009). Self-determination among adult Chines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3.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24. P. J. Rottinghaus. S. X. Day & F. H. Borgen. (2005).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3-24. 

  25. E. S. Choi & E. J. Ju. (2016). Influence of College Life Adjust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ocia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6), 145-173. 

  26. S. R. Noh & S. A. Bae. (2014).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n College Adapt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343-362, 

  27. S. Y. Sin & S. Y. Kwon. (2016).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utilizing multi-groupstructural equation mod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6), 293-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