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 효과의 양면성과 게임 규제 태도 연구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Game Playing Effect and Attitude toward Game Regulation :Focused on Game Gen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425 - 439  

정창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게임 플레이 효과에 대한 양면적인 측면의-긍정적(인지 욕구), 부정적(게임 중독)-효과를 분석하여 게임 규제 정책과 게임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했다. 게임 장르의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게임 플레이가 인지 욕구와 부정적 효과에(중독/과몰입)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게임 플레이 효과는 게임정책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므로, 게임 유저를 중심으로, 게임 장르와 게임 규제 정책에 대한 태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게임 장르의 특성에 따라 게임 플레이의 효과와 규제에 관한 태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게임을 오래 할수록 게임 중독 효과가 증가했지만, 동시에 인지 욕구도 상승했다. 게임 규제대상이었던 RAS(Role playing, AOS(Aeon of Strife), Strategy) 게임 장르를 플레이할수록 게임 중독을 상승시켰지만 동시에, 인지 욕구를 높이는 데도 기여했다. AR(Augmented Reality) 장르 플레이는 인지 욕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반면, 전반적인 게임 규제에는 찬성하는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게임 플레이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트레이드 오프 (trade-off)할 수 있는 밸런싱 전략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s at the social implications of gaming disorder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Korea. Focusing on specificity of game genres, this study analyzed two aspects of the game playing effect-positive(cognitive needs) and negative(game addiction)-and suggested directions for game regulation...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가 제시한 gaming disorder의 주요징후는? WHO는 gaming disorder의 주요 징후로 a) 통제 불능(게임 플레이 빈도, 강도, 지속 시간 등), b) 게임 세계를 현실보다 중요하게 인식, c) 일상에 부정적 영향 에도 게임을 지속하는 현상으로 제시했다. WHO의 진단은 게임 중독을 연구했던 많은 연구와도 일맥상통하 다 (e.
연구 설계단계부터 게임 중독에 국한된 연구들만으로는 게임 효과의 객관성을 정당화할 수 없는 이유는? 이러한 연구는 설계단계부터 중독성이 높은 게임 타이틀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종속변수를 게임 중독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많은 연구 가 게임의 부정적 영향/효과를 강조하고 있는데, 귀무 가설이 기각되지 않은 연구 결과에 대한 저널 출간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학계의 환경을 고려해 본다면(게임 연구에 나타난 출간 편향, e.g. [5-7]), 게임 중독 효과 가 발생하지 않아 출간되지 않았던 많은 연구도 존재할 수 있다. 즉, 연구 설계단계부터 게임 중독에 국한된 연 구들만으로는 게임 효과의 객관성을 정당화할 수 없을 것이다.
게임을 둘러싸고,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현황은 무엇인가? 2%는 인터넷 게임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됐다(보건복지부, 2017). 한국 정부의 각종 게임규제, 중국의 수출규제(판호 제재)와, WHO에서 게 임 중독 혹은 게임 장애를(Gaming disorder) 질병으 로 규정하는 국제질병분류기호(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개정안을 공개하면서 (2018년 6월) 게임을 둘러싸고,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A. Golub and K. Lingley, "Just like the Qing Empire: Internet Addiction, MMOGs, and Moral Crisis in Contemporary China," Games and Culture, Vol.3, No.21, pp.59-75, 2008. 

  2. J. Y. Kim, J. S. Lee, and S. Oh, "A path model of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Introducing online game addiction as a new risk factor,"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32, No.21, pp.3205-3225, 2017. 

  3. K. Kircaburun, P. K. Jonason, and M. D. Griffiths, "The Dark Tetrad traits and problematic online gaming: The mediating role of online gaming motives and moderating role of game typ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35, pp.298-303, 2018. 

  4. C. Lee and O. Kim, "Predictors of online game addi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ddiction Research & Theory, Vol.25, No.1, pp.58-66, 2017. 

  5. C. J. Fergus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A meta-analytic review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violent video games," Psychiatric Quarterly, Vol.78, No.4, pp.309-316, 2007. 

  6. C. J. Ferguson, "Do angry birds make for angry children? A meta-analysis of video game influences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aggression, mental health, prosocial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10, No.5, pp.646-666, 2017. 

  7. J. Savage, C. J. Ferguson, and L. Flores,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A meta analy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No.37, pp.91-101, 2017. 

  8. E. Klopfer and K. Squire, "Environmental Detectives-The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environmental simul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56, No.2, pp.203-228, 2008 

  9. A. G. LeBlanc and J. P. Chaput, "Pokemon Go: A game changer for the physical inactivity crisis?," Preventive medicine, Vol.101, pp.235-237, 2017. 

  10. C. Steinkuehler and K. Squire, Video games and learning,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 2014. 

  11. A. J. Van Rooij, M. T. Schoenmakers, and A. Vermulst, "Online video game addiction: Identification of addicted adolescent gamers," Addiction, Vol.106, No.1, pp.205-212, 2011. 

  12. 조재현, "게임내용 및 게임시간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고찰," 동아법학, 제64권, pp.145-175, 2014. 

  13. L. Chen, R. Liu, H. Zeng, X. Xu, R. Zhu, M. Sharma, and Y. Zhao, "Predicting the time spent playing computer and mobile games among 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cognitive theory: A cross-sectional survey in chongqi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8, p.1664, 2018. 

  14. D. J. Kuss, J. Louws, and R. W. Wiers, "Online gaming addiction? Motives predict addictive play behavior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5, No.9, pp.480-485, 2012. 

  15. S. H. Hsu, M. H. Wen, and M. C. Wu, "Exploring user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MORPG addiction," Computers & Education, Vol.53, No.3, pp.990-999, 2009. 

  16. 정겨운, 정호진, 이인혜, "MMORPG 이용자들의 게임 이용 동기와 인터넷 게임 중독의 사이에서 게임 내 행동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2, 547-570, 2018 

  17. V. Gonzalez-Bueso, J. Santamaria, D. Fernandez, L. Merino, E. Montero, and J. Ribas,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gaming disorder or pathological video-game use and comorbid psychopathology: A comprehens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4, p.668, 2018. 

  18. 장문선, 박기쁨, 정성훈, 우상우, "의존성, 회피성 성격 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 간의 관련성," 동서정신과학, 제14권, 제1호, pp.1-19, 2011. 

  19. W. K. Park, Mobile phone addic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Springer, London, pp.253-272, 2005. 

  20. 임지영, "남자 중학생들의 권태성향과 게임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10-618, 2014 

  21. 임지영, "게임중독 및 관여 수준에 따른 남자 청소년 게임사용집단의 분노표현양상과 인지 특성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0호, pp.339-348, 2017. 

  22. J. Shi, Z. Chen, and M. Tian, "Internet self-efficacy, the need for cognition, and sensation seeking as predictors of problematic use of the Internet,"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4, No.4, pp.231-234, 2011. 

  23. J. Y. Yen, Y. C. Yeh, P. W. Wang, T. L. Liu, Y. Y. Chen, and C. H. Ko, "Emotional regulation in young adults with internet gaming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1, p.30, 2017. 

  24. C. Ko, J. Yen, C. Chen, S. Chen, and C. Yen, "Gender differences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online gaming addiction among Taiwanese adolescent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3, pp.273-277, 2005. 

  25. J. H. Kwon, C. S. Chung, and J. Lee, "The effects of escape from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pathological use of Internet game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47, No.1, pp.113-121, 2011. 

  26. J. S. Lemmens, P. M. Valkenburg, and J. Peter, "Psychosocial causes and consequences of pathological gam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1, pp.144-152, 2011. 

  27. M. Rho, H. Lee, T. H. Lee, H. Cho, D. Jung, D. J. Kim, and I. Choi, "Risk factors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psychological factors and internet gaming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1, p.40, 2017. 

  28. 진창현, 정의철,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543-576, 2009. 

  29. 문성호, "국내 게임 중독 담론의 역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6권, 제1호, pp.29-35, 2013. 

  30. 조은하, "게임포비아, 호모루덴스에서 사이버스페이스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137-146, 2013. 

  31. K. S. Young, "Psychology of computer use X 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Vol.79, pp.889-902, 1996. 

  32. 김주환, 김민규, 김은주, 신의진, "온라인 게임 중독검사 개발과 타당화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19권, 제1호, pp.385-415, 2008. 

  33. 김소연, 전종설,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불안 및 정서조절 곤란과 인터넷 중독 간의 구조 모형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pp.159-183, 2006. 

  34. 이정은, 배성만, "대인관계 만족도, 인터넷 게임중독 및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 20권, 제3호, pp.687-701, 2016. 

  35. 한옥영, 김재현, "고등학생 대상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간 영향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3-31, 2012. 

  36. 이재윤, 강행봉, "EEG 및 ERP를 이용한 인터넷 게임과몰입 분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1325-1334, 2014. 

  37. B. K. Esen and M. Gundogdu,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peer pressur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olescen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ers, Vol.2, No.1, pp.29-36, 2010. 

  38. P. C. H. Soh, K. W. Chew, K. Y. Koay, and P. H. Ang, "Parents vs peers' influence on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and risky online activiti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5, No.1, pp.225-236, 2018. 

  39. 최임숙, 서래원, "게임 장르에 따른 대학생의 게임중독과 자기주도 학습, 학교 적응 행동의 관계," 교육종합연구, 제8권, 제2호, pp.91-116, 2010. 

  40. 오창규, 정현성, 김영곤, "인터넷 게임 중독의 선행요인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0권, 제2호, pp.847-864, 2008. 

  41. L. J. Cronbach, R. E. Snow, Aptitudes and instructional methods: A handbook for research on interactions, Irvington, 2007. 

  42. J. T. Cacioppo and R. E. Petty, "The need for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2, No.1, p.116, 1982. 

  43. 김지연, 도영임,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 제20권, 제3호, pp.263-280, 2014. 

  44. H. B. Brosius and D. Engel, "The causes of third-person effects: Unrealistic optimism, impersonal impact, or generaliz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dia influ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8, No.2, pp.142-162, 1996. 

  45. S. C. Hong, "Do cultural values matter?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support for the regulation of violent video gam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46, No.7, pp.964-976, 2015. 

  46. J. D. Ivory and S. Kalyanaraman, "Video games make people violent-Well, maybe not that game: Effects of content and person abstraction on perceptions of violent video games' effects and support of censorship," Communication Reports, Vol.22, No.1, pp.1-12, 2009. 

  47. 김인숙, "인터넷 게임에 대한 낙관적 편견, 제3자 효과, 게임 중독법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pp.5-36, 2014. 

  48. 유홍식, "인터넷게임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33-364, 2001. 

  49. S. H. Paik, H. Cho, J. W. Chun, J. E. Jeong, and D. J. Kim, "Gaming device usage patterns predict Internet gaming disorder: Comparison across different gaming device usage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4, No.12, p.1512, 2017. 

  50. T. Althoff, R. W. White, and E. Horvitz, "Influence of Pokemon Go on physical activity: Study and implication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8, No.12, p.40, 2016. 

  51. L. D. Kaczmarek, M. Misiak, M. Behnke, M. Dziekan, and P. Guzik, "The Pikachu effect: Social and health gaming motivations lead to greater benefits of Pokemon GO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5, pp.356-363, 2017. 

  52. O. Marquet and C. A. J. Alberico, "Pokemon GO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ollege students: A study using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81, pp.215-222, 2018. 

  53. M. Faccio and J. J. McConnell, Death by Pokemon GO: The Economic and Human Cost of Using Apps While Driving, Available at SSRN 3073723, 2018. 

  54. D. Williams, N. Ducheneaut, L. Xiong, Y. Zhang, N. Yee, and E. Nickell, "From tree house to barracks: The social life of guilds in World of Warcraft. Games and culture," Vol.1, No.4, pp.338-361, 2006. 

  55. C. Martin and C. Steinkuehler, "Collective information literacy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E-Learning and Digital Media, Vol.7, No.4, pp.355-365, 2010. 

  56. K. Squire, "From information to experience: Place-based augmented reality games as a model for learning in a globally networked socie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2, No.10, pp.2565-2602, 2010. 

  57. K. Squire, Video games and learning: Teaching and participatory culture in the digital age. Technology, Education-Connections (The TEC Series). Teachers College Press. 1234 Amsterdam Avenue, New York, NY 10027, 2011. 

  58. N. Yee, "Befriending ogres and wood-elves: Relationship formation and the social architecture of Norrath," Game Studies, Vol.9, No.1, 2009. 

  59. 최우석, "응용분야 사례 분석을 통한 기능성 게임의 특성요인 전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8호, pp.409-416, 2017. 

  60. M. Graafland, W. A. Bemelman, and M. P. Schijven, "Game-based training improves the surgeon's situational awareness in the operation ro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urgical Endoscopy, Vol.31, No.10, pp.4093-4101, 2017. 

  61. M. B. Jalink, J. Goris, E. Heineman, J. P. E. Pierie, and O. Henk, "Face validity of a Wii U video game for training basic laparoscopic skill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209, No.6, pp.1102-1106, 2015. 

  62. P. Pasquier, S. Merat, B. Malgras, L. Petit, X. Queran, C. Bay, and J. P. A. Perez, "Serious game for massive training and assessment of French soldiers involved in forward combat casualty care (3D-SC1): Development and deployment," JMIR Serious Games, Vol.4, No.1, 2016. 

  6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pp.1-213, 201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