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당성 평가지표를 활용한 터널식 공동구 설치가능지역 검토
Review of the installable area of multi-utility tunnel using feasibility assessment index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1 no.6, 2019년, pp.795 - 810  

오원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건설환경연구실) ,  진규남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건설환경연구실) ,  나귀태 ((주)한국종합기술 구조부) ,  조중연 (유니콘스(주)) ,  심영종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건설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획득이 가능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교통량, 인구밀도, 방재지수(종사자수) 및 시가화율 4개의 타당성 지표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공동구 설치 가능 지역 중 터널식으로 설치 가능한 노선에 대한 타당성 지표의 평균값과 최소값을 고려하여 설치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 지역은 14개의 권역을 기준으로 200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 지표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터널식 공동구는 교통량 및 인구 등이 많은 39개 지역에 설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군' 단위 등은 '시, 구'에 비하여 인구가 넓게 분포되어 공동구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지표의 최소값을 중심으로 지표값이 커질수록 터널식 공동구 설치 지역이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method to roughly determine the area and length of the multi-utility tunnel before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of the multi-utility tunnel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four feasibility indexes were used: traffic density, population density, disaster...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전국단위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 결정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도입 설치가능 지역의 결정과 연장에 관한 전국단위 기본구상에 대한 검토 방법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PDCA의 구상단계 및 최적화단계에서 공동구가 설치되는 지역의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지표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어야 하므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모든 지역의 공동구 설치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 결정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도입 설치가능 지역의 결정과 연장에 관한 전국단위 기본구상에 대한 검토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구 활성화에 많은 어려움을 주는 요소는? 그러나 공동구 설치계획은 국가 및 지자체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비교적 높은 건설비용과 수용기관별 요구사항 등으로 공동구 활성화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공동구 설치를 위해서는 설치지역 선정, 설치구간 검토, 수용시설항목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지만 도입결정을 위한 체계적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도 공동구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도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공동구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공동구는 필수적인 사회기반시설 중 하나로 인식되어가고 있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또한,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공간의 확보 및 불필요한 예산 낭비 방지, 최근 빈발하는 지진이나 태풍 등 자연재난에 대비한 안전 확보, 생활공급시설의 안정적 공급, 유지관리 비용 절감, 장기 수용의 탄력적 대응 등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절감하기 위하여 공동구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Kang and Choi, 2015).
공동구 설치계획을 주도하는 곳은? 그러나 공동구 설치계획은 국가 및 지자체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비교적 높은 건설비용과 수용기관별 요구사항 등으로 공동구 활성화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공동구 설치를 위해서는 설치지역 선정, 설치구간 검토, 수용시설항목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지만 도입결정을 위한 체계적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도 공동구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C.Y., Sim, Y.J., Kim, H.K., Lee, P.Y., Lee, M.J. (2018), "Analysis of importance by category for quantitative economic evaluation of multi-utility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1, pp. 119-130. 

  2. Chung, J.S., Na, G.T. (2018), "A study on the feasibility assessment model of urban utility tunnel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1, pp. 131-144. 

  3. http://kostat.go.kr 

  4. http://www.road.re.kr 

  5. Kang, Y.K., Choi, I.C. (2015), "Economic feasibility of common utility tunnel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5, pp. 29-36. 

  6. Lee, S.W., Chung, J.S., Na, G.T., Bang, M.S., Lee, J.B. (2019), "A study on the feasibility evaluation technique of urban utility tunnel by using quantitative indexes evaluation and benefit ? cost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1, No. 1, pp. 61-77. 

  7. Oh, W.J., Jin, K.N., Kang, Y.K., Cho, C.Y., Sim, Y.J. (2019), "Decision technique for accommodation facilities of multi-utility tunnel in basic planning phase",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1, No. 1, pp. 79-92. 

  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A report of the feasibility and basic planning establishment for urban utility tunnel in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p. 193-231. 

  9. Sim, Y.J., Jin, K.N., Oh, W.J., Cho, C.Y. (2017),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optimum design of multi-utility tunnel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9, No. 3, pp. 437-447. 

  10. Sim, Y.J., Jin, K.N., Oh, W.J., Cho, C.Y. (2018), "Optimal alternative decision technique of accommodation facility in multi-utility tunnel using VE/LCC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2, pp. 317-3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