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tatistical Processes in Korean and U.S.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3 no.4, 2019년, pp.425 - 444  

전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래영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의 학습 기회를 교과서에서 어떻게 제공하고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나의 사례로서 미국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통계 단원의 학습 개념을 기준으로 미국 교과서에서 상응하는 단원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교과서 4종과 미국 중학교 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과제에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의 전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는 미국 교과서에서만 나타났을 뿐 한국 교과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한국 교과서의 경우 총 4단계 중 오직 한 단계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전체 문제의 93.3%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교과서는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을 포함한 과제들이 대체로 비슷한 형태의 유형(FPR, PR 유형)으로 구성된 반면 미국 교과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과제 유형들(FRI, PRI, FR, RI)로 제시되고 있었다.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의 단계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한국 교과서들은 각 단계에서 '문제 설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변환하기', '자료의 일부를 분석하기'와 같은 특정 하위 요소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계교육에서의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교육과 교과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ing to the U.S. mathematics textbooks, this study examines the opportunity to learn statistical processes re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reflecting 2015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four different kinds of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wo kinds of corresponding U.S. te...

주제어

표/그림 (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은 무엇인가?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은 통계적 탐구 과정, 통계 조사 과정 등으로도 불리며,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문제 설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과해석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통계적 사고와 소양은 실질적인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통합적으로 발전될 수 있으며 이때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을 단계로 분리하여 경험하는 것보다 하나의 흐름으로 전체 과정을 모두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발달을 위해 필요하다(이윤경, 200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 교육과정 상의 실용통계 교육은 어떻게 바뀌었나? 이러한교육이 학교 수업에 실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통계적 문제해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그라미’ 프로그램이 교육과정에 맞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되고 있으며, 실용통계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와 교사용 안내서가 보급되고 있다. 교육과정 상에서도 중학교 통계영역을 예로 들면, 중학교 1학년 통계의 단원명이 학습 내용을 나타내고 있지만, 통계 소양 교육을 나타내는 단원명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에 따라 ‘도수분포와 그래프’에서 ‘자료의 정리와 해석’으로 수정되었으며, 통계 소양 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업을 학습 부담 없이 진행하기 위하여 ‘확률과 통계’ 영역의 순서를 학년의 마지막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자료를 특성에 맞게 그래프로 표현하고 정리하는 등의 내용은 제시되고 있지만, 문제를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거나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내용은 교육 내용이나 성취기준에 명시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통계교육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정보 중에는 부정확하거나 오류가 있는 통계적 절차나 방법을 통해 제공되는 것도 있으므로 정보 소비자로서 비판적인 안목이 필요하며(Gal, 2002; Schield, 1999), 동시에 학생들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정보 생산자로 살아갈 때 필요한 통계적 사고도 할 수 있어야 한다(Gal, 2002; Schield, 2011; Watson, 2006). 그러나 기존의 통계교육은 계산, 기능, 절차 중심의 교수법에 치중되어 통계적 사고의 본질은 적절히 교육되지 못하고 있다(우정호, 2007; Ben-zvi & Garfield, 2004; Gal, 2002; Watson, 2002). 학교 통계교육도 학생들이 통계적 소비자와 생산자로서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에서 자료가 어떻게 처리되고, 각 단계에서 유의해야 할 점들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Kang, O., Kwon E., Hwang H., Jeon D., Noh, J., Woo, H., ... Jung, K. (2018).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Korea: Dong-A. 

  2. Kang, H., Shin, B., Ko, E., Lee, D., Shim, S., Kim, J., Goo, N., Jung, I., Choi, K., Hong, J., & Lee, S. (2014). Research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activation of statistics education. Seoul, Korea: Kofac. 

  3. Go, S. M., Kim, M. S., Jung, J. K., & Cho, W. Y. (2017). Analysis of the problems in statistics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3rd grade in terms of statistical literacy. School Mathematics, 19(4), 731-749. 

  4. Ko, E. S., & Lee, K. H. (2010). A study on knowledge for the teaching of variability and reasoning about vari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4), 493-509. 

  5. Ko, E., Kang, H., Shin, B., Kim, E., Jung, S., Hong, C., Jee, Y., Lee, J., Ha, B., & Tak, B. (2017). Teacher Guidebook for Practical Statistics Education.. Korea: Kofac. 

  6. Ko, E. S., & Park, M. S. (2017).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related to statistical problem solving. School Mathematics, 19(3), 443-459. 

  7.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Korea: Ministry of Education. 

  8. Kwon, N. Y., & Kim, J. H. (2017). Analysis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USA: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al Research, 69, 95-120. 

  9. Kim, G. Y., & Kim, R. Y (2019). Analyzing seventh graders' statistical thinking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 by phases and instructional setting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8(3), 459-481. 

  10. Kim, M. K., & Kim, H. W. (2011). A study on children's statistical thinking based on survey activities. School Mathematics, 13(1), 207-227. 

  11. Kim, W., Cho M., Oh, J., Lim, S., Kim, D., Kang, S., ... Kim, Y. (2018).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Korea: Visang. 

  12. Kim, J. R., & Kim, Y. H. (2017). A study of the policy change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with an analysis of America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20(2), 163-186. 

  13. Kim, H., Na, G., Lee, M., Lee, Y., & Kwon, Y. (2018).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Korea: Sinsago. 

  14. Ryu, H., Sunwoo, H., Shin, B., Jeong, D., Jang, Y., Sul, J., & Park, S. (2018).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Korea: Chunjae. 

  15. Bae, H. J. & Lee, D. H (2016). An analysis on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1), 55-69. 

  16. Song, S. E. (2019). The analysi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recognition and knowledge about statistical problem solving.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7. Oh, Y. Y., & Lee, M. Y. (2008). Exploring direc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tatistic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9(1), 1-13. 

  18. Oh, I. S. (2019). Statistical thinking level of ninth grade students using tongrami-centered for scatter diagram and correlation unit.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9. Woo, J. H. (2007). A Educational foundation on school mathema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20. Lee, K. H., & Ji, E. J. (2008). The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s -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MiC's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8(3), 353-372. 

  21. Lee, K. H., & Goo, N. Y. (2015). Use of technology in statstics and probability. In Ko, S. S.(Ed.), Technological tools in mathematics education(pp.285-313). Seoul, Korea: Kyungmoonsa.. 

  22. Lee, Y. K. (2009). The Effect of Project Classes on Statistical Teaching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3. Lee, J. H., & Kim, W. K. (2011). Effects of Spreadsheet-used Instruction on Statistical Thinking and Attitude.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183-211. 

  24. Lee, J., Choi, B., Kim, D., Lee, J., Kim, S., Won, Y., Kang, H., ... Kang, S. (2018).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Chunjae 

  25. Janh, A. R., & Kim, I. S.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n Statistical Reasoning Questions in Textbooks-focused o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 1-10. 

  26. Ju, M. K., Kim, S. Y., Bae, K. T., Jeong, H. S., & Jung, S. Y. (2018).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tatistical Literacy: Students' Achievement and Difficulties of Statistical Inquiry. School Mathematics, 20(4), 661-683. 

  27. Chung, Y. O. et al. (2016).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among the United States, Singapore, England, Japn, Australia, and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6(3), 371-402. 

  28. Ben-Zvi, D. & Garfield, J. (2004).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Goals,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3-15).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29. de Jong, J. A., Wijers, M., Bakker, A., Middleton, J. A., Simon, A. N., & Burrill, G. (2006). Mathematics in Context: Dealing with Data. Chicago, IL: Encyclopedia Britannica. 

  30.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pre-K-12.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1.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32. Lappan, G., Phillips, E. D., Fey, J. T., & Friel, S. N. (2014a), Connected Mathematics 3: Grade 6.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33. Lappan, G., Phillips, E. D., Fey, J. T., & Friel, S. N. (2014b), Connected Mathematics 3: Grade 7.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34. Lappan, G., Phillips, E. D., Fey, J. T., & Friel, S. N. (2014c), Connected Mathematics 3: Grade 8.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35. MacKay, R. J., & Oldford, R. W. (1994). Stat 231 Course Notes Fall 1994. Waterloo: University of Waterloo. 

  36. MacKay, R. J., & Oldford, R. W. (2000). Scientific method, statistical method and the speed of light. Statistical Science, 15(3), 254-278. 

  37. Mooney, E. S. (1999).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atistical thinking frame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llinois state University. 

  38. Mooney, E. S. (2002). A framework for characterizing middle school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4, 23-64.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40. Newton, J., Dietiker, L., & Horvath, A.(2011). Statistic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reasoning and the statistical process. In C. Batanero, G. Burrill, & C. Reading(Eds.),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 - 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p. 9-14). New York, NY: Springer. 

  41. Pfannkuch, M. (2005). Thinking tools and varia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4(1), 83-91. 

  42.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Schield, M. (1999). Statistical literacy: Thinking critically about statistics. Of Significance, 1(1), 15-20. 

  44. Schield, M. (2011). Statistical literacy: A new mission for data producers. Statistical Journal of the IAOS, 27(3), 173-183. 

  45. Schoenfeld, A. H. (1987). What's all the fuss about metacognition?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89-21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6. Watson, J. M. (2002). Discussion: Statistical literacy before adulthood.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26-30. 

  47. Watson, J. M.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Mahwah, NJ: Lawrence Erlbaum. 

  48. Wijers, M., de Lange, J., Bakker, A., Shafer, M. C., & Burrill, G. (2006). Mathematics in context: Insights into data.. Chicago, IL: Encyclopedia Britannica. 

  49.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