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응이동훈련과 슬링운동 결합 프로그램이 무릎넙다리통증 환자의 무릎통증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 연구
Effect of CLT and Sling Exercise Combined Program on Knee Pain in Patellofemoral Pain Patient: A Single-Subject Study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5 no.2, 2019년, pp.73 - 81  

김성환 (김성환 페달로 운동센터) ,  유성훈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세진 (OMPT 제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atellofemoral pain is one of the common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commended the application of exercise therapy to patellofemoral pain patients for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 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 질환이 병리적으로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비외상성 증상을 지닌 환자이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치료적 접근 가능성이 용이한 비외상성 증상의 무릎넙다리통증 환자를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무릎넙다리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CLT와 슬링운동 결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통증 수준과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본 단일사례 연구이다.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통증 수준을 클라크 검사, 전방 무릎 통증 척도, 원심성 계단내려가기 검사로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CLT와 슬링운동 결합 프로그램이 하지관절의 비외상성 증상 소견으로 발생한 무릎넙다리통증 환자의 무릎 통증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넙다리통증은 무엇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가? 무릎넙다리통증(patellofemoral pain)은 근육뼈대계 시스템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 중에 하나이다(Tahmasebi 등, 2019). 무릎넙다리통증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무릎관절 앞면의 통증의 상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Lankhost 등, 2012). 이 전문용어에 대한 일치된 의견은 없지만 무릎넙다리통증 증후군에는 다양한 동의어가 사용된다(Lack 등, 2015).
무릎넙다리통증 환자의 치료로 추천되는 것은 무엇인가? 무릎넙다리통증 환자의 치료는 수술적 방법보다 운동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고(Gaitonde 등, 2019), 많은 전문가들이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운동치료, 발보조기, 무릎뼈 테이핑 혹은 도수치료를 결합한 중재의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추천하고 있다(Collins 등, 2018).
무릎넙다리통증이 나타나는 환자군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릎관절 전면의 통증이 관절-내 병리(intra-articular pathology), 추벽증후군(plica syndromes), 신딩-라르센-요한슨 질병(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오스굿-슐레터 질병(OsgoodSchlatter disease), 윤활낭염 혹은 힘줄염, 신경종 및 병리적인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제외한 임상적으로 진단 받은 무릎관절 앞면의 통증이 있는 환자를 무릎넙다리통증이라고 할 수 있다(Thomee 등, 1999). 이 통증은 정형외과적 ‘수수께끼’라고 불리고(Dye, 2001), 활동적인 젊은 사람들에게서 종종 나타나며, 발생률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높다(Dolak 등, 2011). 하지만 높은 발생률에도 불구하고, 무릎넙다리통증의 병인에 대한 의견들은 일치되지 않고 있다(Dag 등,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latayud J, Borreani S, Colado JC. Muscle activity levels in upper-body push exercises with different loads and stability conditions. Phys Sports Med. 2014;42(4):106-119. https//doi.org/10.3810/psm.2014.11.2097. 

  2. Chang WD, Huang WS, Lee CL, et al. Effects of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s of sling exercise therapy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J Phys Ther Sci. 2014;26(9):1363-1366. https//doi.org/10.1589/jpts.26.1363. 

  3. Chang WD, Huang WS, Lai PT. Muscle activation of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in sling-based exercises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 740315. https//doi.org/10.1155/2015/ 740315. 

  4. Collins NJ, Barton CJ, van Middelkoop M, et al. 2018 Consensus statement on exercise therapy and physical interventions (orthoses, taping and manual therapy) to treat patellofemoral pain: Recommendations from the 5th International Patellofemoral Pain Research Retreat, Gold Coast, Australia, 2017. Br J Sports Med. 2018;52:1170-1178. https//doi.org/10.1136/bjsports-2018-099397. 

  5. Dag F, Dal U, Altinkaya Z, et al. Alterations in energy consumption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in young adul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cta Orthop Traumatol Turc. 2019;53(1):50-55. https//doi.org/10.1016/ j.aott.2018.10.006. 

  6. Dannelly BD, Otey SC, Croy T, et al.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and sling exercise strength training in women. J Strength Cond Res. 2011;25(2):464-471.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02e473. 

  7. Dietz B.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en im PNF-Konzept. Verlag. 2009. 

  8. Dolak KL, Silkman C, McKeon JM, et al. Hip strengthening prior to functional exercises reduces pain sooner than quadriceps strengthening in female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41(8):560-570. https//doi.org/10.2519/jospt.2011.3499. 

  9. Dye SF. Patellofemoral pain current concepts: an overview. Sports Med Arthrosc Rev. 2001;9: 264-272. 

  10. Gaitonde DY, Ericksen A, Robbins RC.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m Fam Physician. 2019;99(2):88-94. 

  11. Gong WT. Effects of bridge exercises with a sling and vibrations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J Kor Soc Phys Med. 2014;11(1):1-5 

  12. Hwang JK, Park JS, Lim JH.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program on low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Single-subject design. J Korean Soc Phys Med. 2017;12(4):47-59. https//doi.org/10.13066/kspm.2017.12.4.47. 

  13. Jeong WS, Park SK, Park JH, et al. Effect of PNF combination patterns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318-328 

  14. Ju JY, Seo BD, Park GH.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on gluteal medius by using sling.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4;8(4):149-154 

  15. Kim JS, Lee IS, Lee CW. The Effects of Combination Pattern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Ball Exercise on Pain and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2;7(1):1-9. 

  16. Lack S, Barton C, Sohan O, et al. Proximal muscle rehabilitation is effective for patellofemoral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Br J Sports Med. 2015; 49(21):1365-1376. https//doi.org/10.1136/ bjsports-2015-094723. 

  17. Lankhorst NE, Bierma-Zeinstra SM, van Middelkoop M. Risk factors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2;42(2):81-94. https//doi.org/10.2519/jospt.2012.3803. 

  18. Lim CG.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Pattern Exercise Using the Sprinter and the Skater on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the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 (4):249-256. 

  19. Nijs J, Van GC, Van DA, et al. Diagnostic value of five clinical tests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an Ther. 2006;11(1):69-77. https//doi.org/10.1016/j.math.2005.04.002. 

  20. Prins MR, van der Wurff P. Female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have weak hip muscles: a systematic review. Aust J Physiother. 2009;55(1):9-15. 

  21. Tahmasebi MN, Aghaghazvini L, Mirkarimi SS, et al. The influence of tibial tuberosity- trochlear groove distance on development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Bone Jt Surg. 2019;7(1):46-51. 

  22. Tang SF, Chen CK, Hsu R, et al. Vastusmedialis obliquus and vastus lateralis activity in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0): 1441-1445. https//doi.org/10.1053/ apmr.2001.26252. 

  23. Thomee R, Augustsson J, Karlsson J.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eview of current issues. Sports Med. 1999;28:245-262. https//doi.org/10.2165/00007256-199928040- 00003. 

  24. Watson CJ, Propps M, Ratner J, et al.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lower extremity functional scale and the anterior knee pain scale in patients with anterior knee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5;35(3):136-146. https//doi.org/10.2519/jospt.2005.35.3.136. 

  25. Willy RW, Hoglund LT, Barton CJ,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linked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rom the academy of orthopaedic physical therapy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2019;49(9):CPG1-CPG95. https//doi.org/10.2519/jospt.2019.03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