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정된 한글 연명의료계획서(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분석을 통한 호스피스 병동 환자의 의료 중재 항목별 선호도 및 충실도 조사
Preference and Performance Fidelity of 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Items in Hospice Patients with Cancer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4, 2019년, pp.198 - 206  

한지희 (경상대학교병원 내과) ,  천혜숙 (경상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태희 (경상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록범 (경상대학교병원 권역심혈관센터) ,  김정훈 (경상대학교병원 내과) ,  강정훈 (경상대학교병원 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호스피스 및 완화치료 환자 또는 임종단계 환자를 위한 연명 치료 결정에 관한 법안은 2016년에 제정되어 2018년 2월부터 시행 되었다. 이 법안의 취지와 내용은 미국의 POLST에 근거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POLST를 변형하여 만든 MK-POLST를 호스피스 병동 환자들에게 적용을 한 뒤 각 항목에 대한 선호도 및 시행 일치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7년 2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경상대학교병원의 부속 호스피스 병동의 모든 입원 환자의 MK-POLST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7명의 연구대상자 중 295명의 환자가 MK-POLST를 작성했다. MK-POLST는 환자 자신이 133건(44.1%), 배우자가 84건(28.5 %), 자녀가 75건(25.4%) 작성했다. MK-POLST가 작성된 295 명의 환자 중 단 13명(4.4%)이 주사 영양제를 거부하였으며, 5명(1.7%)은 완화적 진정을 거부하였지만, 대다수인 288명(97.6%)이 심폐소생술인공호흡기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226명(76.9%)이 승압제 사용을 원하지 않았다. 인공호흡기, 심폐소생술 및 완화적 진정을 제외한 모든 MK-POLST 항목의 시행 일치율에 대한 Kappa 값은 낮았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들은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및 승압제 사용은 거부 했지만, 대조적으로 항생제, 주사 영양제 및 완화적 진정은 대다수 또는 절대적인 경우에 선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as enacted in 2016 and has taken effect since 2018 February. The content of this act was based on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OLST) in the United State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호스피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POLST 내용에 담겨 있는 의료 중재 선호도와 얼마나 충실히 이행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한 MK-POLST의 항목별 환자의 중재 선호도와 이에 대한 이행 충실도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이 법안의 취지와 내용은 미국의 POLST에 근거한다. 이 연 구의 목적은 미국의 POLST를 변형하여 만든 MK-POLST를 호스 피스 병동 환자들에게 적용을 한 뒤 각 항목에 대한 선호도 및 시행 일치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는 실제 환자와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연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심폐소생술 및 인공호흡기, 승압제, 영양제 및 항생제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는 실제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 이 연구의 또 다른 의미는 작성된 MK-POLST가 입원 기간 중에 얼마나 충실하게 이행되는지를 알아본 것에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POLST 항목별 선호도를 조사하는 면에서 그쳤고, POLST의 이행 일치율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시행된 것이 거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 병동에서 환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는 중요한 치료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호스피스 병동의 말기 암환자는 심폐소생술이나 인공호흡기 착용을 하는 상황에 직면하기 전에도 완화적 진정, 승압제, 항생제 사용 유무 등 환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는 중요한 치료 결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POLS에서는 법정 서식으로 내용 추가 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자들은 연명의료 계획서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병동에서 필요한 완화적 진정, 승압제, 항생제 사용에 관한 항목을 추가한 서식(Modified Korean-POLST, MK-POLST)을 만들었다.
POLST에 대한 관련 연구에는 어떤 사례들이 있나요? 그러나 POLST가 지닌 임상적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는 드물다. 그중 하나로는 미국 오레곤주에서 POLST에 서명한 31,294 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심폐소생술을 거부한 21,394 명을 중 1,211명(5.7%)만이 기도 삽관이나 인공 호흡기 등을 원한 것에 비해, 심폐소생술을 원한 9,765명 중 7,473명(76.5%) 이 모든 치료를 원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7). 국내에서는 Ahn 등(8)이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POLST 작성에 관한 타당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말기 암환자나 가족의 48%가 작성을 거부했는데, 여기에는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했다고 했다. 하지만 POLST를 작성한 환자들의 98%에서 심폐소생술을, 99%에서 인공호흡기를, 98%에서 투석을 거부할 정도로 절대 다수가 침습적인 의료 중재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연구로 Kim(9)은 전이성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77명의 환자 중 52명(68%)의 환자가 POLST 작성을 수락하였고, 이 중 46명(89%)은 임종기의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을 거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연명의료 결정법이 시행되기 이전 국내에서 종양내과 의사, 환자, 보호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설문조사 연구에서 90% 이상의 대다수가 POLST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작성 시기와 내용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였다(10).
연명의료계획서(physician order for life - sustaining treatment, POLST)가 무엇인가요? 연명의료결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명의료계획서(physician order for life - sustaining treatment, POLST)는 환자에게 연명의료와 관련된 네 가지 시술, 즉 심폐소생술, 혈액 투석, 항암제 투여, 인공호흡기 착용 등에 대해 그 의학적 의미를 설명하고, 시행 여부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POLST를 근간으로 만들었지만, 미국은 의학적 중재 방법을 침습도와 적극성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눠서 묻고 있는 점이 우리와는 다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yu KH. Consideration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Legal Theory Prac Rev 2019;7:191-211. 

  2.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1997-2019. [cited 2019 Nov 0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823#0000. 

  3. Bomba PA, Kemp M, Black JS. POLST: An improvement over traditional advance directives. Cleve Clin J Med 2012;79:457-64. 

  4. 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1997-2019. [cited 2019 Oct 2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8830. 

  5. Hickman SE, Nelson CA, Moss AH, Hammes BJ, Terwilliger A, Jackson A, et al. Use of the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OLST) paradigm program in the hospice setting. J Palliat Med 2009;12:133-41. 

  6. Fromme EK, Zive D, Schmidt TA, Cook JN, Tolle SW. Association between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Scope of Treatment and in-hospital death in Oregon. J Am Geriatr Soc 2014;62:1246-51. 

  7. Schmidt TA, Zive D, Fromme EK, Cook JN, Tolle SW.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OLST): lessons learned from analysis of the Oregon POLST Registry. Resuscitation 2014;85:480-5. 

  8. An HJ, Jeon HJ, Chun SH, Jung HA, Ahn HA, Lee KH, et al. Feasibility Study of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Cancer Res Treat 2019;51:1632-8. 

  9. Kim JW. Completion rate of physician orders for life sustaining treatment (POLST) in patients with metastatic or recurrent cancer when suggested by physicians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 2019. Korean. 

  10. Keam B, Yun YH, Heo DS, Park BW, Cho CH, Kim S, et al. The attitudes of Korean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oncologists, and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toward advance directives. Support Care Cancer 2013;21:1437-44. 

  11. McHugh ML. Interrater reliability: the kappa statistic. Biochem Med (Zagreb) 2012;22:276-82. 

  12. Kong BH, An HJ, Kim HS, Ha SY, Kim IK, Lee JE, et al. Experience of advance directives in a hospice center. J Korean Med Sci 2015;30:151-4. 

  13. Lee RY, Sathitratanacheewin S, Engelberg RA, Curtis J, Kross EK. POLST-Discordant Intensive Care Near the End of Life. B94 Addressing palliative and psychosocial needs among patients at end of life, their families, and the chronically critically ill. American Thoracic Society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2018 May 18-23; San Diego (CA), USA. AJRCCM 2018:197:A4169. 

  14. Bruera S, Chisholm G, Dos Santos R, Crovador C, Bruera E, Hui D. Variations in vital signs in the last days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4;48:510-7. 

  15. Rhee C, Dantes R, Epstein L, Murphy DJ, Seymour CW, Iwashyna TJ, et al. Incidence and Trends of Sepsis in US Hospitals Using Clinical vs Claims Data, 2009-2014. JAMA 2017;318:1241-9. 

  16. Park HY, Kim YA, Sim JA, Lee J, Ryu H, Lee JL, et al. Attitudes of the General Public,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and Physicians Toward Advance Care Planning: A Nationwide Survey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J Pain Symptom Manage 2019;57:774-82. 

  17. Kim YS, Song HN, Ahn JS, Koh SJ, Ji JH, Hwang IG, et al. Sedation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South Korea. Medicine (Baltimore) 2019;98:e14278. 

  18. Won YW, Chun HS, Seo M, Kim RB, Kim JH, Kang JH. Clinical Pattern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Palliative Sedation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 Descriptive, Observational Study. J Pain Symptom Manage 2019;58:65-71. 

  19. Lipuma SH. Continuous sedation until death as physician-assisted suicide/euthanasia: a conceptual analysis. J Med Philos 2013;38:190-204. 

  20. Anquinet L, Raus K, Sterckx S, Smets T, Deliens L, Rietjens JA.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ntinuous sedation until death and euthanasia - professional caregivers’ attitudes and experiences: a focus group study. Palliat Med 2013;27:553-61. 

  21. Sanjo M, Miyashita M, Morita T, Hirai K, Kawa M, Akechi T, et al. Preferences regarding end-of-life cancer care and associations with good-death concepts: a population-based survey in Japan. Ann Oncol 2007;18:1539-47. 

  22. Morita T, Hirai K, Okazaki Y. Preferences for palliative sedation therapy in 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J Palliat Med 2002;5:375-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