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자원 형성
At-Risk Adolescents' Inner Resource Through Resource-Oriented Song Psychotherapy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2, 2019년, pp.1 - 25  

윤주리 (이화뮤직웰니스센터) ,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자원을 알아보고자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구성하여, 조건부 기소유예 및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총 8회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종결 후 1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원 형성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에서 참여자가 경험한 심리적 자원은 총 128개의 개념으로 나타났고, 9개의 심리적 자원 유형이 도출되었다. 9개의 심리적 자원은 '소망/원함', '도전', '인내', '성취감', '유능감', '자부심', '참자기와의 만남', '용기', '내적평가소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 과정을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한 다양한 심리적 자원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경험하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 과정 및 치료적 역동을 심도있게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ner resources of at-risk adolescents evolved through resource-oriented song psychotherapy (RoSPT). For this study, an RoSP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Eight weekly group sessions of the RoSPT program were conducted with 25 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자원 형성을 목표로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음악심리치료의 3가지 수준(Wheeler, 1983) 즉, 지지적 수준(supportive level), 재교육적 수준(re-educative level), 재구성적 수준(reconstructive level) 중 지지적 심리치료(supportive psychotherapy)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위기청소년이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어떠한 심리적 자원을 경험하는가를 알아보고자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은 분석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지속적으로 비교하며 질적 내용의 의미 단위를 체계적으로 범주화하고 주제별로 구분하여 귀납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기반으로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구성하여 선도 조건부 기소유예 및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위기청소년들이 형성한 심리적 자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언급된 심리적 자원은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에 대처하고 자신의 발전을 돕는 잠재력과 능력 발현을 위해 필요한 개인 내적 힘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에서 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자원을 규명하고 참여자들이 자원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의 심리적 자원은 소망/원함, 도전, 인내, 성취감, 유능감, 자부심, 참자기와의 만남, 용기, 내적소재평가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회기별 치료목표 및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확보를 위해 5명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의뢰하였다. 자문단은 청소년 대상 임상경력 9년이상 보유하고 음악치료학 박사학위를 소지한 3명과 박사과정에 있는 2명으로, 모두 음악심리치료전문가로 구성되었다.
  • 또한 질적 자료를 양적 자료로 전환하는 코딩 과정을 통해 도출된 개념의 빈도를 파악한다(Rubin & Babbie, 199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자료로부터 타당한 추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사용하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에서 참여자가 경험한 심리적 자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적평가소재란 무엇인가? 내적평가소재(Internal locus of evaluation)는 경험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 및 가치부여의 기준이 자기 내면에 기인함을 뜻한다(Mearns et al., 2013).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1단계의 목표는? 프로그램의 1단계는 참여자가 일상에서 직면한 문제 보다는 음악을 매개로 자신의 자원들을 탐색하며 즐거운 정서 경험에 집중하도록 한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 중심이 아닌 새로운 관점과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Ray & Keeney, 1993; Rolvsjord, 2010;Schwabe, 2005). 2단계는 새로운 활동에 도전하며 잠재력을 발현하는 과정으로 음악적 도전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Peterson & Seligman, 2004; Ray & Keeney,1993)이 말한 위기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접근에서 치료 매체가 중요한 고려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이유는? 특히 위기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접근에서는 치료 매체가 중요한 고려점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즉흥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한 치료과정에서 내담자들이 개인의 강점과 고유한 자원을 보다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Peterson & Seligman, 2004; Ray & Keeney,1993). 이처럼 위기청소년 대상 심리치료 접근에 있어 치료 매체는 참여와 반응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도하는 친숙한 매체이면서 언어적 참여에 대한 부담이 적어야 한다(Aunol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unola, K., Stattin, H., & Nurmi, J.-E. (2000). Adolescents' achievement strategies, school adjustment,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3), 289-306. 

  2. Austin, D. (2008). The theory and practice of vocal psychotherapy: Songs of the self.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 Baglivio, M. T., Jackowski, K., Greenwald, M. A., & Howell, J. C. (2014). Serious, violent, and chronic juvenile offenders: A statewide analysis of prevalence and prediction of subsequent recidivism using risk and protective factors. Criminology & Public Policy, 13(1), 83-116. 

  4. Baker, F. A. (2015) What about the music? Music therapists perspectives on the role of music in the therapeutic songwriting process. Psychology of Music, 43(1), 122-139. 

  5. Baker, F. A., & Ballantyne, J. (2013). "You've got to accentuate the positive": Group songwriting to promote a life of enjoyment, engagement and meaning in aging Australian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2(1), 7-24. 

  6. Baker, F. A., & MacDonald, R. A. R. (2014). Experiences of creating personally meaningful songs within a therapeutic context. Arts & Health, 6(2), 143-161. 

  7. Barrett, D. E., Katsiyannis, A., Zhang, D., & Zhang, D. (2013). Delinquency and recidivism: A multicohort, matched-control study of the role of early adverse experiences, mental health problems, and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2(1), 3-15. 

  8. Chamodraka, M., Fitzpatrick, M. R., & Janzen, J. I. (2017). Hope as empowerment model: A client-based perspective on the process of hope development.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3), 232-245. 

  9. Gardstrom, S. C., Carlini, M., Josefczyk, J., & Love, A. (2013). Women with addictions: Music therapy clinical postures and interventions.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2), 95-104. 

  10. Gloria, A. M., Kurpius, S. E. R., Hamilton, K. D., & Willson, M. S. (1999). African American students' persistence at a predominantly White university: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university comfort, and self-belief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0(3), 257-268. 

  11. Grunwald, H. E., Lockwood, B., Harris, P. W., & Mennis, J. (2010). Influences of neighborhood context, individual history and parenting behavior on recidivism among juvenile offende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9), 1067-1079. 

  12. Hobfoll, S. E. (2011). Conservation of resource caravans and engaged setting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4(1), 116-122. 

  13. Kim, J. W. (2018). Supportive songwriting to improve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2), 41-67. 

  14. Kruger, V., & Stige, B. (2015). Between rights and realities-music as a structuring resource in child welfare everyday life: A qualitative stud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4(2), 99-122. 

  15. Larsman, P., Eklof, M., & Torner, M. (2012). Adolescents' risk perceptions in relation to risk behavior with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antecedents and outcomes: A literature review. Safety Science, 50(9), 1740-1748. 

  16.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Mathews, A. D. (2009). Exemplifications of resource focused therapy as applied to incarcerated juveniles within the context of a reintegr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iana at Monroe, LA. 

  18. McFerran, K. (2010). Adolescents, music and music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for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19. McFerran, K., Baker, F., Patton, G. C., & Sawyer, S. M. (2006). A retrospective lyrical analysis of songs written by adolescents with anorexia nervosa.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14(6), 397-403. 

  20. Mearns, D., Thorne, B., & McLeod, J. (2013). Person-centered counselling in action (4th ed.). London: Sage Publications. 

  21. Miller, W. R., & Rollnick, S. (2002). Motivational interviewing: Preparing people for change. NY: Guilford Press. 

  22. Misch, D. A. (2000). Basic strategies of dynamic supportive therapy. The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9(4), 173-189. 

  23. Montello, L. (2003). Protect this child: Psychodynamic music therapy with a gifted musician. In S. Hadley (Ed.), Psychodynamic music therapy: Case studies (pp. 299-318).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24. Oddy, N. (2011). A Field of vocal discovery. In F. Baker & S. Uhlig (Eds.), Voicework in music 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pp. 83-100).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5. O'Grady, L. (2009).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creating and performing music with women in prison: A qualitative case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26. Olson-McBride, L., & Page, T. F. (2012). Song to self: Promoting a therapeutic dialogue with high-risk youths through poetry and popular music. Social Work with Groups, 35(2), 124-137. 

  27.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Portner, C. C. (2002). Children and household behaviour in developing countr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29. Rashid, T. (2015). Positive psychotherapy: A strength-based approach.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0(1), 25-40. 

  30. Ray, W. A., & Keeney, B. P. (1993). Resource focused therapy. London: Karnac Books. 

  31. Rogers, C. R. (1959).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In S. Koch (E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Vol. 3). New York, NY: McGraw-Hill. 

  32. Rolvsjord, R. (2010). Resource-oriented music therapy in mental health care.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33. Rubin, A., & Babbie, E. (1993). Empowerment series: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2nd ed.). Cengage Learning. 

  34. Schwabe, C. (2005). Resource-oriented music therapy: The development of a concept.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14(1), 49-56. 

  35. Seligman, M. E.,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36. Smeister, H. (2005). Sounding the self: Analogy in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37. Wheeler, B. (1983). A psychotherapeutic classific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s: A continuum of procedure. Music Therapy Perspectives, 1(2), 8-12. 

  38. White, M., & Epston, D. (1990).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39. Yun, J. R. (2014). Juvenile offenders experience of music therapy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A modified grounded theory study.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1), 6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