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자생 감국 꽃 추출물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lavonoids Extracted from Dendranthema indicum Flower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259 - 1267  

현주미 ((사)제주산학융합원 연구개발팀) ,  조연정 ((사)제주산학융합원 연구개발팀) ,  김윤범 ((주)뉴메디온 제주천연물자원화연구소) ,  박성민 ((주)뉴메디온 제주천연물자원화연구소) ,  윤경섭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이남호 ((사)제주산학융합원 연구개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감국 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감국 꽃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우수한 nitric oxide (NO)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국 꽃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 및 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Cynaroside (1), Apigetrin (2). 분리된 화합물을 HPLC를 통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감국 꽃 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 2의 항염활성을 확인한 결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NO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국 꽃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및 항염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examined on the extract of Dendranthema indicum (D. indicum) flowers. The flowers were extracted two times for 24 h each with 70% ethanol. Upon the biological activities screening, the ethanol extract exhibited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자생 감국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활성 성분을 탐색하기 위해 단일물질 분리 과정을 진행하여 유효성분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또한 분리된 화합물의 활성을 확인하여 천연 항염 소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은 무엇인가? 염증은 우리 인체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써,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질적 작용 또는 화학물질, 세균 감염 등에 대한 생체 조직의 방어 반응 중 하나이며, 그 손상 부위를 수복하거나 재생하려는 기전이다[1,2].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는 macrophage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자극이나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 매개 물질들인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함으로써 통증, 부종, 열 등의 염증 반응을 유발시키고 염증부위로 면역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킨다[3,4].
실험 결과 나온 제주 자생 감국 꽃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무엇인가?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효성분을 찾고자 MPLC를 수행하여 단일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물질은 1H 및 13C NMR 분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확인한 결과 cynaroside(1), apigetrin (2)으로 확인되었다. 감국 꽃 추출물을 HPLC를 통해 분석한 결과 cynaroside (1)92.
인체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주요 세포는 무엇인가? 염증은 우리 인체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써,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질적 작용 또는 화학물질, 세균 감염 등에 대한 생체 조직의 방어 반응 중 하나이며, 그 손상 부위를 수복하거나 재생하려는 기전이다[1,2].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는 macrophage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자극이나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 매개 물질들인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함으로써 통증, 부종, 열 등의 염증 반응을 유발시키고 염증부위로 면역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킨다[3,4]. 면역력에 결함이 생겨 면역 반응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으면 감염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 면역을 위한 염증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만성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 R. Tizard, R. M. Schubot, "Veterinary Immunology: An Introduction", W. B Saunders Company, (2008). 

  2. I. R. Tizard, "Immunology, An introduction inflammation", Saunders Collage Publishing, Vol.2, pp.423-441, (1986). 

  3. E. S. Lee, H. K. Ju, T. C. Moon, E. Lee, Y. Jahng, S. H. Lee, J. K. Son, S. H. Baek, H. W. Chang,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kappa 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s", Biol Pharm Bull, Vol.27, pp.617-620, (2004). 

  4. M. Higuchi, N. Higashi, H. Taki, T. Osawa,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 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Vol.144, pp.1425-1431, (1990). 

  5. J. H. Park,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The J of Nat. Sci., Vol.32, pp.11-17, (1981). 

  6. S. J. Kim, Y. M. Park, S. T. Jung, "Anticariogenic Effects and Inhibition of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of Chrysanthemun indicum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Cult., Vol.20, pp.341-245 2005, 

  7. G. H. Bae, Y. H. Kim, B. S. Min, H. J. Jung, H. Huong, J. S. Lee, H. J. Ji, "The quality evaluation of chrysanthemi flos", Kor. J. Pharmacogn., pp.14-17, (1996). 

  8. K. S. Jang, "Studies on the Natural pH Adjusters for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Vol.18, No.3, pp.321-327, (1989). 

  9. G. S. Park, Y. J. Shin, J. G. Im, "Comparative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n Gamkugsulgie with Added of Gamku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0, No.6, pp.514-521, (2000). 

  10. G. S. Park, Y. J. Shin,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Gamkugsulgie-dduk by Different Addi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0, No.6, pp.514-521, (2000). 

  11. J. Y. Nam, H. S. Lee, S. W. Lee, M. Y. Chung, E. S. Yoo, M. C. Rho, Y. K. Kim, "Effect of Kikkanol F Monoacetate and 5-Hydroxy-6,7,3',4'-tetramethoxyflavone Isolated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on IL-6 Production", Kor. J. Pharmacogn., Vol.36, No.3, pp.186-190, (2005). 

  12. K. Y. Jung, S. R. Oh, C. S. Kim, J. H. Kim, H. K. Lee, "A New Alkyl Alcohol Glycoside from Chrysanthemi Flos", Kor. J. Pharmacogn., Vol.27, pp.15-19, (1996). 

  13. Y. J. Shin, "Chemical composition of gamku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kuksulgie-dduk".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hD thesis, (1999). 

  14. N. Y. Park, "Volatile flavors of wild and cultivated Chrysanthemum and optimation of ethanol extractio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1995). 

  15. B. R. Lee, "Inhibitory effect of enzymetreated Chrysanthmum Indicum L.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in in vitro and in vivo models", Wonkwang University, MS thesis, (2019) 

  16. J. A. Lee, S. H. Kim, M. J. Kim, J. H. Ahn, H. J. Park, W. R. Lee, S. S. Roh, "Protective Effects of Chrysanthemi Indici Flos Extract and Flaxseed Oil Mixture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c Lesion Mice", Kor. J. Herbol. Vol.33, No.6, pp.19-28, (2018) 

  17. S. Y. Park, Y. J. Cho, "Anti-Gout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in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5, No.6, pp.797-804, (2016) 

  18. Y. J. Cho, B. O. Kim, H. J. Park, E. H. Lee, J. B. Jo, J. E. Lee, S. B.. Lim, Y. J. Kim, K. T. Park, M. Y. Choi, "Inhibition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ound Chrysanthemum indicum L. on Xanthine Oxidase", J of Life Science, Vol.27, No.8, pp.902-908, (2017) 

  19. M. R. Kong, S. J. Seo, M. R. Han, Y. S Lee, "Anti-oxidation and Anti-aging Activity of Three Compositae Species at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J Invest Cosmetol, Vol.12, No.1, pp.29-37, (2016) 

  20. J. Y. Sung, W. A. Joe, Y. H. Kim, S. J. Cheon, M. J. Jang, H. J. Choi, J. S. Lee, E. Y. Choi, H. S. Lee, D. I. Kim, J. O. Kim,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Chrysanthemum indicum L." J Appl Oriental Med, Vol.7, pp.1-5, (2007). 

  21.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pp.1199, (1958). 

  22.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xo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Vol.26, No.9, pp.1231, (1999). 

  23. C. Hirobe, A. S. Qiao, K. Takeya, H. Itokawa, "Cytotoxic flavonoids from Vitex agnus-castus", Phytochemistry, Vol. 46, pp.521-524, (1997). 

  24. S. Asnaashari, A. Delazar, S. Seyed Alipour, L. Nahar, Angela S. Williams, A. Pasdaran, M. Mojarab, F. Fathi Azad and S. D. Sarker, "Chemical composition, free-radical-scavenging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the aerial parts of Stachys Byzantina", Arch. Biol. Sci., Vol.62, No.3, pp.653-662, (2010). 

  25. H. Tominaga, M. Ishiyama, F. Ohseto, K. Sasamoto, T. Hamamoto, K. Suzuki, M. Watanabe, "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useful for colorimetric cell viability assay", Anal. Commun. Vol.36, pp.47-50, (1999) 

  26. K. L. Khanduja, A. Bhardwaj, "Stable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peroxidative properties of resveratrol compared in vitro with some other bioflavonoids", Indian Journal of Biochemistry & Biophysics, Vol.40, No.6, pp.416 (2003). 

  27. S. K. Jung, K. W. Lee, "Industrial Status of Orental Medicine Cosmetics", Food Science and Industry, pp.45, (2012) 

  28. K. D. Kim, S. J. Kim,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extracts and it's cosmetic application", J Kor Soc Cosmet, Vol.13, pp.221-227, (2007). 

  29. S. Y. Lee, H. S. Seo, "The Effects of Sulfur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J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ol.20, pp.68-76, (2007).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