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증진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및 또래 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Young Children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6, 2019년, pp.117 - 137  

강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  김진욱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A total of 4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5-year-old children attending S...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 또래 유능성, 정서지능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권의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확장된 공감활동(이야기 꾸미기, 이야기 나누기, 극 놀이, 그룹 토론)을 유아들과 진행하며 유아의 공감능력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이다.
  • 이렇게 공감한 바를 상대방에게 언어적․비언어적으로 표현하여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유아의 공감능력 발달을 추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그림책 속의 상황을 느끼는 대로 이야기 해 보고, 공감되는 내용을 또래들과 다양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자신이 느낀 정서로 상황을 몸으로 직접 표현하는 극 놀이 경험과 또래 간 토론을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유아의 공감능력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이다.
  • 또한 공감은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 의사소통적 요소로 구별할 수 있는데 이 요소들이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흐름이나 계열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유아의 공감능력증진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으로 순환적 공감모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에 적용하고자 한다. BarretLennard(1981)의 순환적 공감모형은 공감에 대해 보다 분화된 수준의 연구를 위해 제안한 모형으로 공감적 주의집중, 공감적 공명, 표현된 공감, 지각된 공감, 공감의 순환 다섯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아의 공감능력, 또래 유능성,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유아가 유능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적응하는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 또래 유능성, 정서지능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권의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확장된 공감활동(이야기 꾸미기, 이야기 나누기, 극 놀이, 그룹 토론)을 유아들과 진행하며 유아의 공감능력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이다. 유아기는 발달 특성상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면서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 이 가능해지고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말, 기호, 행동 등으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또래에 대한 양보와 배려가 나타나는 시기로 유아기가 공감교육의 최적기라고 할 수 있다(김은주, 김미경, 안세정, 2011).
  • 순환적 공감모형은 유아가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인지적으로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공감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이렇게 공감한 바를 상대방에게 언어적․비언어적으로 표현하여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유아의 공감능력 발달을 추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그림책 속의 상황을 느끼는 대로 이야기 해 보고, 공감되는 내용을 또래들과 다양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능력을 기르는 최적의 시기가 유아기인 이유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이타적 행동의 발현으로 원만한 관계 구성과 바람직한 사회적응을 돕는 공감능력의 발달은 유아가 유능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주요한 요인이 된다. Howe(2013)는 유아가 또래와의 경험을 통해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아기가 공감능력을 기르는 최적의 시기라고 하였다(조수연, 2017). 또한 3~5세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가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더 불어 살아가는 능력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보건복지부, 2015).
공감능력이란? 인간은 혼자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태어나고 관계를 형성하며 이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성장해 나간다. 타인의 감정이나 심리적인 상태 그리고 내적인 경험을 대리적으로 느끼고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는 공감능력은 긍정적 인간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매체에서 집단 따돌림으로 인한 우울증, 자살 등의 사건이 일어나는 보도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관계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회적 문제로부터 기인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을 위해 누리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Howe(2013)는 유아가 또래와의 경험을 통해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아기가 공감능력을 기르는 최적의 시기라고 하였다(조수연, 2017). 또한 3~5세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가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더 불어 살아가는 능력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보건복지부, 2015). 이처럼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은 타인의 정서이해, 행동 문제의 최소화,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감소와 더불어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도덕성을 증진시키는데 핵심적 요소로 작용한다(Batson, Fultz, & Schoenrade,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간명주 (2016).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조절전략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소미 (2007). 게임중심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교육관계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귀숙 (2019).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5. 구이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기남 (2017). 유아의 정서적.인지적 공감 및 또래유능성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1), 217-231. doi:10.5723/kjcs.2017.38.1.217 

  7. 김광수, 김경집 (2008). 초등학생 용서 능력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학연구, 46(4), 207-231. 

  8. 김민선, 김진선 (2010).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2), 29-38. 

  9. 김영옥, 홍지명, 이규림 (2010). 우정증진 활동이 유아의 친구관계 개념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79-301. 

  10. 김은주, 김미정, 안세정 (201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교사교육연구, 50(3), 119-135. doi:10.15812/ter.50.3.201112.119 

  11. 김창순 (2013).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태훈 (2015). 공감에 관한 연구. 초등도덕교육, 47, 1-28. doi:10.17282/ethics.2015..47.1 

  13. 김형회 (2005). 게임을 활용한 공감훈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4(1), 263-284. 

  14. 류현강 (2015).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유아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서희 (2014).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17.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18. 오영희, 양승지 (2001). 동화를 통한 통합교육의 실제: 동화로 열린 생각을. 서울: 양서원. 

  19. 유아영 (2012). 드라마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선미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오후 재편성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희, 이효자 (2014).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교육연구, 1(2), 25-48. 

  22. 이미상 (2017). 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병래 (1997). 정서지능 개념의 성립.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95-214. 

  24. 이보영 (2016). 인성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7(6), 159-176. doi:10.22143/HSS21.7.6.10 

  25. 이한종 (2015). 아동의 주장성과 공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6(3), 49-69. doi:10.15854/jes2015.09.46.3.49 

  26. 임미혜, 문미옥 (1999). 생각하기 느끼기 행동하기 유아 정서교육과정의 효과연구. 아동학회지, 20(4), 213-229. 

  27. 장문희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수경 (2000). 공감전달이 정서표현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승영 (2015). 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하나, 지성애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5-31. doi:10.18023/kjece.2015.35.6.001 

  31. 조수연 (2017).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수랑 (2002).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공감수준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지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한유진 (2006).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6. 

  35. 한보람 (2014). 유머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유머 이해, 또래 유능성,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종순 (2005).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준아, 김지현, 조윤주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227-244. doi:10.22251/jlcci.2017.17.16.227 

  38. Barret- Lennard, G. F. (1981). The empathy scales: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2), 91-100. doi:10.1037/0022-0167.28.2.91 

  39. Batson, C. D., Fultz, J. & Schoenrade, P. A. (1987). Distress and empathy: Two qualitative distinct vicarious motion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consequences. Journal of Personality, 55(1), 19-39. doi:10.1111/j.1467-6494.1987.tb00426.x 

  40. Broke, H. (1971).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Egocentrism or empathy? Developmental Psychology, 5(2), 263-269. doi:10.1037/h0031267 

  41.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 in Psychology, 10, 85-103. 

  42. Decety, J., & Jackson, P. L. (2004).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human empathy. Behavioral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views, 3(2), 71-100. doi:10.1177/1534582304267187 

  43. Gopnik, A. and Schulz, L., eds (2007). Causal Learning: Philosophy, Psychology and Compu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4. Harter, S. (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 system.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4th ed., pp. 275-385). New York: John Wiley. 

  45. Howe, D. (2013). Empathy: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공감의 힘(이진경 옮김). 서울: 지식의 숲. 

  46. Krznaric, R. (2014). Empathy, 공감하는 능력(김병화 옮김). 서울: 샨티. 

  47. Miller, P. A., & Eisenberg, N. (1988).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3(3), 324-344. doi:10.1037/0033-2909.103.3.324 

  48. Petrides, K. V., Sangareau, Y., Furnham, A., & Frederickson, N. (2006).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at school. Social Development, 15(3), 537-547. doi:10.1111/j.1467-9507.2006.00355x 

  49. Redmond, M. V. (1989). The Functions of Empathy(Decentering) in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42(7), 593-605. doi:10.1177/001872678904200703 

  5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51. Shaffer, D. R. (2000). 발달심리학(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