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순환학습기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물체조작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ircle-bas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Physical Movemen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Spatial Abilit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6, 2019년, pp.139 - 167  

정기분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arning cycle model-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physical motion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spatial abil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시기에 관심을 보이는 인재상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이용해서 능동적으로 새로운 방법을 찾아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에 관심을 보이는데, 학문 간 융합을 통하여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차원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김영진, 2018). Harlan(1992), Chaille과 Britain(1997)은 과학 활동이 여러 영역과 통합되어 진행될 때 과학적 개념 획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하였다.
유아기는 어떤 시기이며 주변 세계를 탐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기는 다양한 감각 능력을 통해 사고기술을 경험하고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 주변의 사물과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세상을 이해하게 되는 결정적 시기로, 유아는 태어나면서 과학자와 같은 성향이 있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끊임없이 주변 세계를 탐구한다(Abruscato, 2000; Chaille Britain, 2003; Worth & Grollman, 2003). 유아는 사물 간의 차이를 지각하거나 정확하게 식별하는 능력을 넘어 사물을 변화시키고 사물에 행위를 가함으로써 학습한다(박정현, 한미라, 2009).
유아가 학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주변의 사물과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세상을 이해하게 되는 결정적 시기로, 유아는 태어나면서 과학자와 같은 성향이 있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끊임없이 주변 세계를 탐구한다(Abruscato, 2000; Chaille Britain, 2003; Worth & Grollman, 2003). 유아는 사물 간의 차이를 지각하거나 정확하게 식별하는 능력을 넘어 사물을 변화시키고 사물에 행위를 가함으로써 학습한다(박정현, 한미라, 2009). 특히 만 5세 시기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Piaget, 1966)에서 전조작기와 구체적 조작기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과학적 경험을 통하여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을 받아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이순형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구선희 (1995). 목적물 맞추기 활동이 유아의 공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은정 (2013).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던지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연구, 15(2), 303-330. 

  3. 김경미, 김현주, 송연숙 (2013). 현장중심유아과학: 3차 표준보육과정과 3-5세 누리과정 연계. 서울: 창지사. 

  4. 김경아 (2002). 전통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물리적, 논리-수학적 지식활동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정, 김지현 (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doi:10.14698/jkcce.2015.11.097 

  6. 김영진 (2018).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치곤, 윤경옥, 오세경, 박종수, 김명숙, 신미숙 (2012).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6), 49-72. 

  8. 김한나 (2010). 물체의 움직임 관련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2, 99-119. 

  9. 남기원, 조형숙 (2015).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만 3세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441-462. 

  10. 박대근 (2005). 유아기 대.소근육 운동 발달의 과정적 특성. 중앙대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정현, 한미라 (2009). 롤러활동 과정에 나타나는 유아의 과학적 태도 양상.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153-184. 

  12. 손은경 (2009). 예술 활동을 통한 유아과학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민서, 홍순옥 (2019).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4(1), 425-449. dio:10.20437/KOAECE24-1-17 

  14. 송수연, 김승희 (2018). 확산적 발문을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8(1), 53-78. dio:10.18023/kjece.2018.38.1.003 

  15. 유경숙 (2000).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75-197. 

  16. 윤병호 (1993).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3(1), 357-358. 

  17. 윤화영 (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4. 

  19. 이경민 (2003). 상호작용적 과학교수법이 유아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7(2), 311-331. 

  20. 이순형, 권혜진, 권기남, 김헤라, 최나야, 김지현 등(2015). 영유아과학지도. 파주: 교문사. 

  21. 이윤미, 김승희 (2018). 과학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3), 303-325. doi:10.21183/kjcm.2018.09.17.3.303 

  22. 이정애, 김영옥 (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6(1), 135-135. 

  23. 임부연, 손은경, 오정희 (2010).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5, 37-57. 

  24. 장숙현, 김지현 (2017a).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육아정책연구, 11(2), 115-147. dio:10.5718/kcep.2017.11.2.115 

  25. 장숙현, 김지현 (2017b).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4), 91-119. doi:10.21213/kjcec.2017.17.4.91 

  26. 장희식 (2008). 방과 후 학교에서의 구기운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물체조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상은 (2018). 신체표현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신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생활주제 '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효은, 지성애 (2009). 탐구-표상 중심 유아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언어능력, 공간지능과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2), 125-142. 

  29. 조홍자, 김영옥 (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119-154. 

  30. 홍혜경 (2001). 유아 공간능력의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1(4), 189-210. 

  31. 황의명, 조형숙 (2019).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파주: 정민사. 

  32. Abruscato, J. (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 A discovery approach (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3. Biddulph, F., & Osborne, R. (1984). Making scene of our world : An interactive teaching approach. Hamilton, New Zealand : Science Education Research Unit, University of Waikato. 

  34. Chaille, C., & Britain, L. (1997).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5. Chaille, C., & Britain, L. (2003).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Science Education (3rd ed.). New York: Harper Colins. 

  36. Del Grande, J. (1990). Spatial sense. Aritbmetic Teacber, 73(6), 14-20. 

  37. Gabbard, C. P. (2008). Lifelong Motor Development(5th ed.). San Francisco: Benjamin Cummings. 

  38. Gallahue, D. L. (1996). Development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Dubuque, IA: Brown & Benchmark. 

  39. Gallenstein, N. (2003).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Olney, M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40. Gauld, C. (1982). The scentific attitude and science education; A Critical Reappraisal. Science Education, 66(1), 109-121. doi:10.1002/sce.3730660113 

  41. Harlan, J. D. (1992).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5th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42. Haywood, K. M., & Getchell, N. (2005). Life Span Motor Development (4th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43. Kamii, C., & DeVries, R. (1990).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 물리적 지식활동: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과학교육(이경우, 문미옥 역). 서울: 창지사(원판 1978). 

  44. Atkin, J., & Karplus, R. (1962). Discovery or invention. The Science Teacher, 29(5) 45-51. 

  45. Kim, C. I., Han, D. W., & Park, I. H. (201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II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Applying AHP.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4), 800-807. doi:10.1016/j.ridd.2014.01.019 

  46. Lind, K. K. (199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New York: Delmar. 

  47. Martin, D. J. (2012).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Cengage Learning. 

  48.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수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공역). 서울: 경문사(원판 1989). 

  49. NRC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 Press. 

  50. Payne, V. & Isaacs, L. (2008). Human Motor Development: A lifespan approach. New York: McGraw Hill. 

  51. Piaget, J. (1966).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and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42(9), 528-528. 

  52. Slater, L. M., Hillier, S. L., & Civetta, L. R. (2010). The clinimetric properties of performance-based gross motor tests us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Pediatric Physical Therapy, 22(2), 170-179. doi:10.1097/PEP.0b013e3181dbeff0 

  53. Suryawati, E., Osman, K., & Meerah, T. S. M. (2010). The effectiveness of RANGKA contexual teaching and learning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9, 1717-1721. doi:10.1016/j.sbspro.2010.12.389 

  54. Ulrich, D. A. (2000).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2nd.). Austin, TX: Pro-Ed, Inc. 

  55. Wessel, J. A., & Kelly, L. E. (1986). Achievement-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 PA: Lea & Febiger. 

  56. Worth, K, & Grollman, S. (2003). Worms, shadows, and whirlpools: Scienc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YC young Children, 59(3), 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