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군집지역 탐색방법에 따른 로드킬 다발구간 분석
Analysis of Roadkill Hotspot According to the Spatial Clustering Method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6, 2019년, pp.580 - 591  

송의근 (국립생태원) ,  서현진 (국립생태원) ,  김경민 (국립생태원) ,  우동걸 (국립생태원) ,  박태진 (국립생태원) ,  최태영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로드킬 다발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공간 군집지역 탐색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영주시, 문경시, 안동시, 청송군 로드킬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 지수인 Getis-Ord Gi* 통계량은 분석 단위를 달리하여 산출하였으며, 전체 도로면적 기준으로 300m에서 9%, 1km에서 14%의 핫스팟 지역을 도출하였다. 1km 단위 핫스팟 지역의 Z-score를 5개로 등급화한 결과, 예천군과 영주시 경계에 있는 28번 국도 구간의 Z-scor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커널 밀도 방법은 일반 커널 밀도 추정과 네트워크 커널 밀도 추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방법 모두 구역 단위의 분석보다 로드킬 다발구간의 시각적 확인이 용이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우선순위를 산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군집 분석방법에 따라 국지적인 핫스팟 지역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공통적으로 저감 대책이 시급한 지역은 영주시와 예천군을 통과하는 28번 국도의 다발구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로드킬 다발구간 도출 및 저감 대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roadkill hotspots in Yeongju, Mungyeong-si Andong-si and Cheongsong-gun to compare the method of searching the area of the spatial cluster for selecting the roadkill hotspots. The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Getis-Ord Gi* statistics were calculated by different units of 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로드킬 다발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공간 군집지역 탐색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범 적으로 영주시, 문경시, 안동시, 청송군 내 로드킬 접수건을 바탕으로 로드킬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로드킬 다발구간 분석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로드킬 발생의 분포현황과 종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로드킬 다발구간 분석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영주시, 문경시, 안동시, 청송군 로드킬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특성은 유사하였으나, 분석 방법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Getis-Ord Gi* 분석 단위는 선행연구와 탐색적 분석을 바탕으로 300m 및 1km를 선정하였으며, 커널 분석은 커널 밀도 추정과 네트워크 커널 밀도 추정 모두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방법에 따른 핫스팟 지역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드킬이란 무엇인가? 로드킬은 야생동물들이 파편화된 서식지를 이동하기 위해 도로를 횡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물 찻길 사고’로 정의된다(NIE 2018). 우리나라 도로의 연장과 교통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로드 킬이 해마다 증가하는 상황에서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일부 지자체 등에서는 로드킬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로드킬 현황을 조사해왔다.
로드킬 분석 시, 커널 밀도분석을 사용하는 것의 한계는? 특히 네트워크 커널 밀도 추정은 도로를 따라 네트워크 거리 기반으로 공간적 군집지역을 분석하기 때문에 일반 커널 밀도 추정보다 현실에 더 가까운 로드킬 핫스팟 지역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커널 밀도분석의 특성상 공간적 군집지역의 통계적 유의성 도출이 어렵기 때문에 로드킬 저감대책 수립시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 판단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로드킬 간 다중거리 분석이 가능한 K-function 함수의 적용을 필요로 하는, 커널 밀도 추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로드킬 빈도가 낮더라도 주변에 빈도가 높은 격자가 집중되어 있을 경우 같은 핫스팟 지역으로 묶이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격자별로 로드킬 빈도를 재확인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커널 밀도 추정의 경우 시각적인 로드킬 핫스팟 확인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탐색반경 내에서 로드킬 분포의 분산이 달라도 밀도 값이 같으면 동일한 값을 가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연구자가 선택한 범위 내에서 로드킬 간 거리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로드킬 간 다중거리 분석이 가능한 K-function 함수의 적용이 필요하다(Teixei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DH. 2013. Trends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spatial cluster analysis for count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5): 768-785. [Korean Literature] 

  2. Choi TY, Park JH. 2006. The effect of land use on frequency of mammal roadkil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52-58. [Korean Literature] 

  3. Clevenger AP, Chruszcz B, Gunson KE. 2003. Spatial patterns and influencing small vertebrate fauna road-kill aggrega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109: 15-26. 

  4. Cromley RG, Hanink DM. 2012. Focal location quotients: specification and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44(4): 398-410. 

  5. EEA (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2011, Landscape fragmentation in Europe, EEA Report, 87pp. 

  6. Fahrig L. Rytwinski T. 2009. Effects of roads on animal abundance - an empirical review and synthesis. Ecology and Society 

  7. Forman RTT, Alexander LE. 1998. Roads and their major ecological effec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9: 207-231. 

  8. Gilsta D, DeVault TL, DeWoody JA. 2009. A review of mitigation measure for reducing wildlife mortality on road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1: 1-7. 

  9. Girardet X, Contruyt-Rogeon G, Foltete JC. 2015. Does regional landscape connectivity influence the location of roe deer roadkill hotspot?.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61(5): 731-742. 

  10. Jeong KS, Moon TH, Jeong JH. 2010. Hotspot analysis of urban crime using space-time scan statistic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 14-28. 

  11. Jo NH, Jun CM, Kang YO. 2018. A visualization of traffic accidents hotspot along the road network.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8(1): 201-213. [Korean Literature] 

  12. Kim KM, Serret H, Clauzel C, Andersen D, Jang IK. 2019.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s of the endangered leopard cat Prionailirus bengalensis euptilura roadkills in the Republic of Korea. Global Ecology and Conservation 19: e00673. 

  13. Knox EG. 1989. Detection of clusters, in Elliott P ed. Methodology of Enquiries into Disease Clustering, London: Small Area Health Statistics Unit, 17-20. 

  14. Lee KJ, Tak JH, Park SI. 2014.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n wildlife road-kill on highway in Korea.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31(4): 282-287. [Korean Literature] 

  15. Malo JE, Suarez F, Diez A. 2004. Can we mitigate animal-vehicle accidents using predictive model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 701-710. 

  16. Mohaymany AS, Shahri M, Mirbagheri B. 2013. GIS-based method for detecting high-crash-risk road segments using network kernel density estimation.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2): 113-119. 

  17.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undamental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Korean Literature] 

  18. Oh YJ, Lee KJ. 2018. A study on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roadkill and traffic accidents on roads in Chungcheongnam-do. Environmental Policy 26(2): 147-166. [Korean Literature] 

  19. Okabe A, Okunuki K, Shiode S. 2006. SANET: A Toolbox for Spatial Analysis on a Network. Geographical Analysis 38(1): 57-66. 

  20. Park SI, Lee KJ. 2015. A study on building methodology for identifying road-kill hotspots on highways and its empirical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3): 319-333. [Korean Literature] 

  21. Ramp D, Caldwell J, Edwards KA, Warton D, Croft DB. 2005. Modelling of wildlife fatality hotspots along the snowy mountain highway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Biological Conservation 126: 472-490. 

  22. Seo CW, Thorne JH, Choi TY, Kwon HS, Park CH. 2015. Disentangling roadkill: the influence of landscape and season on cumulative vertebrate mortality in South Korea. Landscape Ecology Engineering 11: 87-99. 

  23. Seo HJ. 2017. Spatial change analysis and future prediction of urban green spaces in Dadgu - a case study of forests and grasslands -. Dissertation of Ph,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4. Seok SM, Lee JY. 201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oad-kill hotspot and habitat patches.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4(3): 233-243. [Korean Literature] 

  25. Shilling FM, Waetjen DP. 2015. Wildlife-vehicle collision hotspots at US highway extents: scale and data source effects. Nature Conservation 11: 41-60. 

  26. Silverman BW. 1986. Probability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 NY. 

  27. Son HG, Park KH. 2008. A spatial statistical method for exploring hotspots of house price volatil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3): 392-411. [Korean Literature] 

  28. Teixeira FZ, Coelho IP, Esperandio IB, Oliveira NR, Peter FP, Dornelles SS, Delazeri NR, Tavares M, Martins MB, Kindel A. 2013. Are road-kill hotspots coincident among different vertebrate groups?. Oecologia Australis 17(1): 36-47. 

  29. Xie Z, Yan J. 2008. Kernel density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s in a network space.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 35(5): 396-406. 

  30. Xie Z, Yan J. 2013. Detecting traffic accident clusters with network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local spatial statistics : an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1: 64-71. 

  31. Yang JH, Kim JO, Yu KY. 2016. 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 a case study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tography 34(3): 221-23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